광주교육청 AI광주미래교육 정책설명회·특성화고 글로벌 현장학습’ 사전 언어교육 실시...중등 8개 과목 출제 역량 강화 직무 연수 '성료'[미래교육신문]
광주교육청 ‘상상을 현실로, AI광주미래교육 정책설명회’ 운영
인공지능 시대에 맞춤 미래인재를 기르는 광주교육 실현
[광주=차승현기자] 광주교육청이 4월 8~9일 광주창의융합교육원에서 각급 학교 교감과 교원, 교육전문직 500여 명을 대상으로 ‘상상을 현실로, AI광주미래교육 정책설명회’를 진행했다.
이번 설명회는 AI광주미래교육 주요 정책 설명과 AI·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통한 학생 맞춤형 교육 방향성 등을 중심으로 정책 설명과 특강으로 진행됐다.
우선 주요 사업 도입 배경과 추진상의 유의해야 할 점 등을 공유했다. 이와 더불어 미래교육 정책에 대한 학교 현장의 이해를 높이고자 AI미래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지원 정책을 안내했다. 특히 ▲AI미래교육 환경 구축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AI미래 교육과정 활성화 ▲과학·융합교육 ▲건전한 정보문화 형성 등 디지털 전환 교육에 대한 학교 현장의 관심도를 반영했다.
이어 ‘AI·디지털로 변화될 미래교육환경 교육’을 주제로 AI전문가를 초빙한 특강을 진행했다. 최신 기술의 동향, 생성형 AI,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혁신 사례를 살펴볼 수 있는 유익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특히 개인용 맞춤형 AI를 활용하는 1인 1 AI시대 등 광주교육의 미래를 미리 살펴볼 수 있었다.
이정선 교육감은 “인공지능 시대에 미래인재를 기르는 광주교육을 펼칠 것이다. 앞으로 광주교육은 미래사회의 주역인 학생들이 시대의 변화에 맞춰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인프라 조성과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설명회는 기후환경 변화 문제를 생각해 별도의 책자를 제작하지 않았다. 참석자들은 학교에 보급한 스마트 기기에 설명회 자료를 담아 참석하도록 안내받았다.
광주교육청 ‘특성화고 글로벌 현장학습’ 사전 언어교육 실시
1차 면접전형 합격자 39명 대상, 최종 면접을 통해 27명 선발
오는 7월 호주에서 현장 학습을 통해 글로벌 인재로 성장
광주교육청이 올해 7월에 있을 ‘광주지역 특성화고 학생 글로벌 현장 학습(호주)’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1차 면접 전형 합격생 39명에게 지난 8일부터 사전 언어교육을 진행한다. 학생들은 22일간 44시간의 영어교육을 받을 예정이며 앞으로 있을 최종 면접을 통해 현장 학습에 참가할 27명의 학생을 최종 선발한다.
이번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은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지난 1일 1차 면접전형 합격자를 발표했으며 사전 언어교육과 최종면접을 거쳐 최종 선발된 학생들은 앞으로 광주창의융합교육원 글로벌지원센터에서 사전 준비교육과 안전교육을 받고 오는 7월 중순 시드니에서 현장학습을 진행한다.
학생들은 호주에서 분야별 직무 관련 영어교육과 기술교육을 받고 국외 취업을 위한 현장 견학에도 참가할 계획이다. 이후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시교육청 차원에서 호주 현지와 연계해 취업 지원의 혜택을 받게 된다.
박철영 진로진학과장은 “특성화고 글로벌 현장학습이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를 선택하고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이번 사전 언어교육을 시작으로 글로벌 현장학습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정선 교육감은 “지·산·학 협력을 통해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우수한 취업처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국내외를 막론하고 특성화고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 강화와 취업 기회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광주교육청 중등 8개 과목 출제 역량 강화 직무 연수 '성료'
신뢰도 높은 평가 문항 제작과 분석으로 학생 발달 도모
광주교육청은 지난 6일 광주교육연수원에서 중등 사회(도덕)·과학과 교원 215명 대상으로 출제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
이번 연수는 출제 역량 강화로 학생 평가 전문성을 높이고자 일반사회, 지리, 역사, 도덕,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8개 교과를 대상을 했다. 지필고사 출제 시작 전 4월 초 연수 개최로 교사들이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연수는 교육과정상 성취기준에 기반 둔 신뢰도 높은 평가 문항 제작과 분석에 초점을 뒀고 과목별 특성을 고려한 이론과 실습을 병행했다. 특히 사회(도덕), 과학 교과의 선택형 평가 문항 개발 출제 역량 강화 연수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앞으로 2학기 연수에는 사회(도덕), 과학 교과의 서·논술형 출제 역량 강화 연수와 국어, 영어, 수학 교과의 선택형 평가 문항 출제 역량 강화 연수가 진행될 예정이며 그 밖의 교과는 연차적으로 과목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 평가계획서 작성 역량 강화 연수, 성취평가제 연수 등 교사의 평가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연수를 실시한다.
연수 참가 교사들은 “1차 지필고사 출제를 앞두고 걱정이 앞섰는데 사전에 출제한 문항을 검토, 분석해 주셔서 많은 도움이 됐다“, ”오류가 있는 평가 문항을 수정하는 실습이 도움이 많이 됐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과 문항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 좋았다.“고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정선 교육감은 “이번 연수가 높은 신뢰도 평가 문항 제작에 어려워하는 교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됐길 바란다. 앞으로도 다양한 연수를 확대해 교사들이 평가 업무에 어려움이 없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기사더보기:
http://www.miraenews.co.kr/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1060000&gisa_idx=95216
#광주교육청 #이정선교육감 #AI미래교육 #특성화고 #글로벌현장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