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비에 새잎 나거든
조선의 풍류남아 임제, 詩·퉁소 가락으로 평양 기생 ‘寒雨’ 녹이다
임제가 선비들과 어울려 시를 짓고 풍류를 즐기던 영모정(나주시 다시면 회진리). 임제의 조부 임붕을 기려 지은 정자로, 앞에는 영산강이 흐른다.
임제가 항상 지니고 다녔다는 거문고·옥퉁소·보검(백호문학관). 임제는 “아름다운 거문고와 보검이면 행장은 족하고, 바둑판과 찻잔은 세상사의 찌꺼기에 불과하다"고 말하곤 했다.
임제의 친필 작품인 ‘금선요(金仙謠)’. 금선요는 임제가 불교 이야기를 도교적으로 풀어낸 장시 작품이다.
‘북천(北天)이 맑다 해서 우장(雨裝) 없이 길을 나섰더니
산에는 눈이 오고 들에는 찬비로다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얼어 잘까 하노라’
조선의 풍류남아 백호(白湖) 임제(1549~87)가 기생 한우(寒雨)에게 지어 준 시다. ‘찬비’는 기생의 이름 ‘한우(寒雨)’를 동시에 의미하는 표현이다. 한우에 대한 마음을 담아 멋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임제는 당대의 대표적 한량(閑良)이었다. 40세를 채우지 못한 채 요절한 그였지만, 여인들과 많은 염문과 정화(情話)를 뿌리고 간 주인공이다. 그는 시문에 능하여 주옥 같은 작품 700여수를 남겼다. 한시뿐만 아니라, 시조도 6수를 남겼는데 모두가 여인들과의 사랑 노래다.
◆ 기생 한우와 동침하게 된 사연
임제가 관서도사(關西都事)로 근무할 당시 평양에 ‘한우(寒雨)’라는 기생이 있었다. 그녀는 미모에다 시문에도 능했다. 거문고와 가야금에도 뛰어나고, 노래 또한 명창이었다. 재색을 겸비한 그녀에게 접근하려는 한량이 많았지만 언제나 차갑게만 대해 ‘한우’라는 이름이 주어졌다고 한다.
한량인 임제가 한우를 모르고 지낼 리는 없었다. 여러 번 연회에서 그녀를 보게 되면서 호감을 갖게 되었다. 하루는 두 사람이 술자리에서 제대로 어울리게 되었다. 시를 논하고 세상을 개탄하면서 술잔이 여러 순배 돌았다. 한우가 거문고를 타면 임제는 퉁소를 불며 화답했다. 임제는 항상 품에 옥퉁소를 지니고 다녔다. 취기에다 서로에 대한 호감으로 두 사람의 기분이 도도해지는 가운데 임제가 즉흥적으로 위의 시조를 읊었다.
당대 여인들과 많은 염문
항상 옥퉁소 지니고 다녀
시문 능해 작품 700여수
생선장수로 변장 詩 화답
명기 일지매 콧대 꺾기도
그대가 ‘찬비’를 뿌리면 얼어 잘 수밖에 없는데, 당신의 마음은 어떠한지 떠보는 것이었다. 노래를 들으며 머리를 숙이고 있던 한우가 이윽고 고개를 들었다. 오늘 같은 날을 기다렸다는 듯이 곧바로 거문고를 타며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어이 얼어 자리 무슨 일로 얼어 자리 원앙침(鴛鴦枕) 비취금(翡翠衾)을 어디 두고 얼어 자리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녹아 잘까 하노라’
임제의 ‘한우가(寒雨歌)’에 화답한 이 시조에는 그녀의 뜨겁고도 은근한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임제가 ‘오늘 그리던 한우 너를 맞아 함께 몸을 녹이며 자고 싶은데 혼자 외롭게 자야 하겠는가’라며 마음을 떠본 것인데, 이에 대한 한우가 기발한 시로 화답을 한 것이다. ‘무엇 때문에 찬 이불 속에서 혼자서 주무시렵니까. 저와 같이 따뜻하게 주무시지요’라고 한 것이다.
‘청구영언(靑丘永言)’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보인다. ‘임제는 금성인(錦城人)이다. 선조 때 과거에 급제, 벼슬은 예조정랑에 이르렀다. 시문에 능하고, 거문고를 잘 타며, 노래를 잘 부르는 호방한 선비였다. 이름난 기생 한우를 보고 한우가를 불렀다. 그날 밤 한우와 동침하였다.’
‘해동가요’에도 비슷한 기록이 전하고 있다.
◆ 임제와 일지매
임제가 콧대 높기로 유명했던 평양 기생 일지매를 꺾은 일화도 전한다.
당시 평양에는 재색을 겸비한 명기 일지매(一枝梅)가 유명했다. 절개가 굳고 자긍심이 유달리 강해 웬만한 남자는 거들떠보지도 않았으며, 평안감사도 마음대로 하지 못했다. 무반 출신의 평안감사가 위협적으로 수청을 강요해도 ‘지음(知音)’을 만날 때까지는 수절을 하겠다며 거절했다.
그 후임 감사로 임제와 친한 김계충이 부임하게 되었다. 그가 한양을 떠날 때 서대문 천연정(天然亭)에서 환송연이 있었는데, 그 자리에서 임제가 일지매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평양에 가면 수청 안 들기로 유명한 일지매란 기생이 있다는데 만약 자네가 뜻을 이루지 못하면 나한테 알리게. 그러면 내가 가서 내 것으로 만들어보겠네.”
“그래? 자네가 실패하면 어떻게 할 텐가.”
“그렇게 되면 자네를 아버지라 부르겠네. 그 대신 내가 성공하면 뭘 해줄 텐가.”
“그때는 두 사람을 위해 사랑의 보금자리를 마련해 주겠네.”
김계충이 평안감사로 부임한 후 일지매를 불러놓고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해 수청을 들게 하려 했으나 결국 뜻을 이루지 못했다. 소문대로 특별한 기생임을 확인한 김계충은 임제에게 자신은 실패했음을 알렸다.
연락을 받은 임제는 바로 평양으로 출발했다. 이곳저곳 명소를 둘러본 뒤 남루한 옷의 생선장수로 변장해 일지매 집을 찾아갔다. 생선 몇 마리를 사서 지게에 지고 일지매 집 문 앞에서 “생선 사려~”를 외쳤다. 계집종이 나와 몇 마리를 사주자, 임제는 해가 저물었으니 하룻밤 묵고 가도록 해달라고 간청했다. 몇 번이고 조른 끝에 헛간에 머물 수 있게 됐다.
임제는 헛간에서 멍석 위에 팔베개를 하고 누웠다. 마침 보름달빛이 교교한 초여름 밤이었다. 잠시 후 항상 가지고 다니던 옥퉁소를 꺼내 한 곡조 뽑으려고 하는데 거문고 소리가 들려왔다. 안채의 일지매가 적적한 마음을 달래려 거문고를 뜯으며 노래를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절창이었다.
임제는 거문고 연주가 끝나자 바로 퉁소를 불며 화답했다. 쉽게 들을 수 없는 멋진 소리였음은 물론이다. 일지매는 마당으로 나와 퉁소 소리의 주인공을 찾아보았으나 헛간에서 잠을 청하고 있는 생선장수 말고는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
일지매는 시험 삼아 헛간 쪽을 향해 “창가에는 복희씨 적 달이 밝구나(窓白羲皇月)”라고 읊었다. 그러자 바로 “마루에는 태고의 바람이 맑도다(軒淸太古風)”라는 대구(對句)의 화답이 들려왔다.
놀란 일지매는 생선장수의 음성임이 분명함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짐짓 모르는 척하면서 다시 “비단이불은 누구와 덮을까(錦衾誰與共)”라고 읊자 헛간에서 다시 “나그네 베갯머리 한 편이 비어있네(客枕一隅空)”라는 대답이 들려왔다.
‘지음’을 확인한 일지매는 바로 헛간으로 들어가 임제 앞에 절을 한 뒤 “제가 기다리던 사람이 바로 당신”이라고 고백하며 임제를 안방으로 안내했다. 그 뒤의 일이야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임제의 풍류와 파격을 잘 보여주는 일화이다.
정가극/ 북천이 맑다커늘 - 월하예당
북천이 맑다커늘 - Brown Eyed Soul
첫댓글 이제라도 옥퉁수를 배울까? ㅋㅋ 그 보다는 색소폰이 더 어울릴것 같은데 ㅎㅎ 여인의 마음을 얻는데야...그 당시 일개 기생이 평안감사의 말을 안듣는다? 미투도 없던땐데,,, 흠,
자고롤 여인을 품을려면 그녀의 호감부터 사야,,, 다이아반지가통할지 아니면 진주목걸이가 통 할지,,,기타치며 부르는 멋진 노래가 통 할지,,,ㅎㅎㅎ
송창식의 사랑이야를 멋지게부르면 될지도, ㅎㅎ
당신은누구시길래 이렇게
내 마음 깊은거기에찾아와
조용히 촛불 하나 이렇게 피워 놓으셨나요,,,일절만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