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교사고시 필기시험 공부 KEY WORD 요약(2)
동화사대구불교대학 2017. 2. 18. Rev.7
3. 불교역사 및 역대조사 초기불교
∎ 불교 시대구분
: 근본(불멸후45년)→원시(불멸후100년)→부파(BC300~BC100)→대승(1~8세기)→밀교(5~13세기)
∎ 중국불교 전래
→ AD67년 후한 명제, 인도 축법란/가섭마등, 사십이장경, 낙양 백마사
∎ 달마대사 :
남인도 향지국(香至國)의 3째 왕자, 520년경 중국 소림사(少林寺)에서 9년간 면벽좌선
★불심천자(佛心天子)로 불리던 양무제(464~549)와 ‘無功德’ 문답후 ‘하남성 정주시 숭산’의 소림사로 가서 구법정진
∎ 안심법문
: 달마가 혜가에게 이른 법문.「불안한 마음을 가져와 봐라. 그러면 편안하게 해주겠다.」
∎ 중국선종5가(조운법위임)
→ 조동종 운남종 법안종 위앙종 임제종
∎ 중국선종계보
: 달마→혜가→승찬→도신→홍인→(6조)혜능→남악회양→마조도일→백장회해→황벽희운→(11조)임제의현
∎ 중국불교 최전성기
: 마조도일의 제자→ 백장회해, 서당지장(제자 도의국사), 남전보원(제자 조주종심), 대혜종고
∎ 중국 5조 홍인의 2제자
【혜능】→남종선(돈오선) ·‥한국으로 전파
【신수】→북종선(점오선)
∎ 백장 회해선사
→ 선원청규(백장청규) 제정, 일일불작 일일불식(日日不作.日日不食)
∎ 대혜종고
→ 중국 송나라, 『서장(書狀)』을 저술, 간화선을 체계화
∎ 현장 법사
→ 17년간 인도여행후 대당서역기 저술, 당 태종의 후원으로 많은 경전을 번역, 반야심경 번역
∎ 거사불교(중국 근대불교)
→ 불교연구회, 중국불교회에서 경전과 논서의 발행 운동을 통해 부흥을 꾀함.
∎ 티베트 불교 전래
→ 손챈캄포왕, 640년경 당태종의 수양딸 문성공주와 혼인동맹
∎달라이라마
→ 티베트 불교의 가장 대표적인 종파인 겔룩파의 수장, 자비와 용서를 실천, 정신적·정치적 지도자
∎ 현재의 달라이라마(뜻: 환생하는 큰스승)
→ 제14대 텐진걈초 (2015년 기준)
∎ 티베트 불교의 중요 진언
→ 옴 마니 반메 훔 (육자대명왕 진언)
∎ 삼국불교 전래
★ 고구려 → 372년 전진왕 부견이 순도보냄, 374년 아도-소수림왕 성문사 이불란사 건립
★ 백제 → 384년 침류왕때 동진 마라난타, 한산에 사찰건립, 10명을 출가
★ 신라 → 527년 법흥왕때 이차돈 순교후 불교 공인
★ 가야 → 건국직후 김수로왕때 인도 출신 허왕후 (삼국유사 기록)
∎ 신라왕실의 정치적 이론
→ 전륜성왕, 진종(眞種)의식
∎ 신라 자장율사 (통도사 창건)
→ 선덕여왕때, 내 차라리 계(戒)를 지키고 하루를 살겠다.
∎ 신라 원광스님(진평왕)
→ 왕명으로 걸사표 지음, 점찰보 개설, 화랑도 세속오계 제정
∎ 신라 태현스님
→ 해동 유가종의 개조, 경주 용장사지를 거점
∎ 발심수행장
→ 원효 저술, 지혜 있는 자는 쌀을 쪄서 밥짓고, 지혜 없는 자는 모래를 쪄서 밥을 짓는다.
∎ 5교 9산(신라말)
★ 5교 (법법계열화)
→ 법상종(진표) 법성종(=삼론종,원효) 계율종(자장) 열반종(보덕) 화엄종(의상)
★ 9산선문 (가사를 성실히 동봉하여 희사하면 수미산간다)
→ (가지,사굴,성주,실상,동리,봉림,희양,사자,수미)산문
∎ 보조국사 지눌
→ 고려중기 정혜결사(定慧結社)결성, 선교 양종의 조화를 도모, 조계종의 중천조,「수심결」저술
∎ 고려말 삼화상(三和尙)
→ 지공, 나옹, 무학
∎ 고려말 유행한 수행법
→몽산 덕이(蒙山德異)의 사상을 수용, 간화선이 당시 고려불교계의 주류가 됨.
∎ 스님별 사상
【유식학】①원측(신라왕손, 중국거주) ②의영(백제)
【화쟁사상】원효(회통불교)
→ 소성거사, 무애가(화엄경-일체무애인 일도출생사), 요석공주(설총 낳음)
동발이라는 악기 두드리며 춤추고 ‘대안 대안’하면서 소리지름, 정토신앙을 강조함.
【화엄사상】의상(해동화엄초조)
→ 7언시 30언구로 응축한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 저술
【백제 율종】겸익 ‥ 최초로 율장을 인도로부터 직접 전해와 번역하여 백제 율종의 기원을 이룩
∎ 신돈(편조 스님)
→ 고려말 공민왕때 요승, 토지개혁을 위해 전민변정도감 설치. 창녕 옥천사의 여노비와 지방호족 사이 태어남
∎ 승병궐기 계기 만든 스님
→ 기허대사 영규, 800여 명의 의승군을 조직, 의병 조헌과 합동작전
∎ 서산대사(청허 휴정)
→ 「선가귀감」저술, 조선시대 선(禪)을 부흥
∎ 조선 보우스님(고려말 태고 보우국사와는 다른 스님)
→ 중종의 계비 문정왕후의 후원, 승과와 도첩제 실시
∎ 세종대왕
→ 모친 원경왕후 민씨는 불심이 돈독, 불교의식집 및 음악집 편찬, 수양대군에게 석보상절 짓게함
∎조선시대 승려의 도성출입금지 해제
→ 1895년
4. 사찰의 전각 및 불교문화
∎ 불멸 후 최초로 불상이 만들어진 두 곳
→ 간다라 , 마투라
∎ 세계적 불교유적
★중국→돈황석굴, 용문석굴
★인도네시아→보르부드르사원
★캄보디아→앙코르와트
★베트남→옌뜨
∎ 최초의 사찰
→ 죽림정사 : 마가다국, 가란타 장자가 기증한 죽림원에 빔비사라왕이 건립
∎ 국가별 최초사찰
→죽림정사(인도) 백마사(중국) 성문사(고구려) 불갑사(백제) 도리사(신라) 흥륜사(신라, 공인후 최초)
∎ 부처님이 가장 오래 머무신 사찰
→ 기원정사(기수급고독원) : 사위국, 기타 태자의 땅에 수닷타장자가 건립
∎ 국가별 탑의 특징
→ 한국(석탑) 중국 (전탑) 일본(목탑)
∎ 탑의 층수
★삼국시대탑→ 5층
★고려시대탑→ 3층
∎ 사찰의 문(일금천불)
→ 일주문, 금강문(밀적,나라연), 천왕문(동방 지국천왕,남방 증장천왕,서방 광목천왕,북방 다문천왕), 불이문(해탈문)
∎ 사찰 경내의 범위
→ 법당을 기점(基点)으로 한 반경 5000미터 이내로 설정
∎ 대표적 평지 가람
→ 경주 황룡사지, 익산 미륵사지
∎ 당간지주
: 【당】→깃발 【당간】→깃대 【당간지주】→깃대를 고정하는 2개의 돌기둥
∎ 심우도(십우도)
→ 심우, 견적, 견우, 득우, 목우, 기우귀가, 망우존인, 인우구망, 반본환원, 입전수수
∎ 팔상(성)도
→도솔래의상, 비람강생상, 사문유관상, 유성출가상, 설산수도상, 수하항마상, 녹원전법상, 쌍림열반상
∎ 불전사물(佛前四物)
→ ①범종(천상,지옥중생) ②법고(육상중생) ③목어(수중중생) ④운판(하늘중생)
∎ 우리나라 범종 특징
→ 주악 비천상 또는 공양자상이 표현, 용뉴에는 한 마리 용, 연꽃 봉오리는 36개
∎ 기타 법구
→ ★죽비 ★금강령(요령) ★불자(자루끝 털이 달림) ★소통(疏筒)경전보관 대바구니
∎ 탱화
→ 비단이나 삼베에다 불보살의 모습이나 경전 내용을 그려 벽에 걸 수 있게 만든 그림
∎ 괘불
→ 재(齋)나 법회를 야외에서 봉행할 경우 본존불상을 대신하여 야외에 봉안하는 초대형 그림
∎ 화청
→ 순수 한글로 이루어진 사설형식의 가사를 개개인의 독특한 음성으로 부르는 범패
∎ 진감국사
→ 쌍계사 비문의 기록, 많은 제자들에게 범패를 전수
∎ 대표적인 주심포 건축물
→ 안동 봉정사 극락전(가장 오래됨),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
∎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다포식 건축물
→ 안동 봉정사 대웅전
∎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 안동 봉정사 극락전
∎우리나라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석탑
→ 전북 익산 미륵사지 석탑
∎우리나라 현존하는 유일한 목탑
→ 법주사 팔상전
∎우리나라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부도
→ 전, 흥법사 염거화상탑
∎우리나라 기록상 가장 오래된 부도
→ (삼국유사) 원광법사 부도
∎우리나라 가장 아름다운 부도
→ 전남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범종
→ 상원사 동종
∎ 무구정광대다라니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 1966년 불국사 석가탑 보수작업시 발견 됨
∎ 직지심체요절(선의 요지를 기술)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 백운 경한선사 저술
∎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불서→ 석보상절‥세종의 2남인 수양대군(세조)이 세종대왕의 지시로 지음
∎ 전각과 주존불 비로자나불→ 비로전, 화엄전, 대적광전, 대광명전
아미타불→ 미타전, 극락전, 무량수전, 보광명전, 수마제전(동화사 금당선원)
약사여래불→ 약사전, 만월보전, 유리광전, 보광전
미륵불→ 미륵전, 용화전, 자씨전명부전 [冥府殿] 十王殿 雙世殿
석가모니불→ 대웅전, 대웅보전(← 약사여래불, 비로자나불이 좌우 협시로 있는 경우)
관세음보살→ 관음전, 대비전, 원통전 ※왼손에 연꽃, 32응신 몸을 나툼
★ 지장보살→ 지장전, 명부전(冥府殿), 쌍세전(雙世殿)
★ 십대왕→시왕전(十王殿)
★ 아라한→ 영산전, 응진전, 나한전
★ 팔상도를 봉안→ 팔상전
∎ 조계종 25교구 본사
→조용신월법 마수직동은 불해쌍범통 고금백화선‥선암 송대관선봉‥선운
조용히 신월(새달)의 법을 받아, 첫 마수로 직접 동화사가 은혜를 받기 위해, 불해(불교의 바다)에 쌍범이 통로를 지키니, 고금을 통해 백명의 화상이 선언하였도다. 가수 송대관도 이 사실을 알리기 위해 선봉에 섰도다.
∎ 총림
→ 교구본사로서 강원, 율원 , 선원을 모두 갖춘 사찰
∎ 8대총림(송해수백통+동쌍범)
송광사(조계) 해인시(해인) 수덕사(덕숭) 백양사(고불) 통도사(영축) 동화사(팔공) 쌍계사(쌍계) 범어사(금정)
∎ 5대적멸보궁(정법통상봉)
정암사(태백산) 법흥사(사자산) 통도사(영축산) 상원사(오대산) 봉정암(설악산)
∎ 삼보사찰
★ 불보사찰→통도사
★ 범보사찰→해인사
★ 승보사찰→송광사
∎ 금강계단
→ 불보사찰인 통도사에서 가장 성스러운 곳, 부처님의 진신 사리를 봉안한 곳
∎ 석가모니불 좌/우 협시
→ 약사불/아미타불, 아난존자/가섭존자, 문수보살/보현보살
∎ 아미타불 좌/우 협시
→ 관음보살/대세지보살
∎ 동국역경원
→ 해인사 소장 고려대장경을 한글대장경으로 간행, 1964년 동국대학교 부설로 설립된 불경 번역기관
∎호류지(법륭사,法隆寺)
→현존하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일본 성덕태자 건립, 담징의 금당벽화
5. 조계종단 관련법식, 불교의식 및 근대불교
∎ 사부대중과 계 : (재가男) (재가女) (출가男) (출가女) (출가男) (출가女) (출가女)
(★표 포함시 7부대중)↓ ↓ 20세이상 20세이상 20세미만 18세미만 18~20세
우바새 우바이 비구 비구니 ★사미 ★사미니 ★식차마나
(삼귀의계, 오계, 보살8재계, 십선계) 250계 348계 10계 (10계+8경계+8기계)
∎ 삼보륜 의미 :
3개점→불법승 삼보,
큰원→법륜, 화합과 불국정토 구현,
금색/가사색/흑색을 사용
∎ 조계종 명칭
→ 중국 6조 혜능이 주석하던 소주(韶州)의 조계산에서 비롯됨
∎ 조계종 소의경전
→ 금강경 및 전등법어
※조계종은 통합종단이므로 타종단의 의식도 배척하지 않고 섭수한다.
∎ 종헌 제1조
→ 신라 도의국사가 창수한 가지산문에서 기원하여 고려 보조국사의 중천을 거쳐
태고 보우국사의 제종포섭으로서 조계종이라 공칭하여 이후 그 종맥이 면면부절한 것이다.
∎ 조계종 종지
→ 자각각타 각행원만 한 근본교리를 봉체하고 직지인심 견성성불 전법도생을 종지
∎ 조계종 종무기관
★중앙종회→입법
★호계원→사법
★총무원→행정
※1994년부터 행정 3원 체제 출범 (총무원, 포교원 , 교육원)
∎ 종무기관장 임기
★종정→4년(중임 제한없음)
★원로회의 의장→5년(호선)
★중앙종회의장→2년(단임)
★호계원장→4년(단임)
★총무원장→4년(1차 중임가능)
★포교원장 및 교육원장 →5년(1차 중임가능)
∎ 조계종 비구스님의 법계
: 사미 → 견덕 → 중덕 → 대덕 → 종덕 → 종사 → 대종사
∎ 조계종 구족계 수여시 의거하는 율장
→ 오분율
∎ 태고선원
: 대한불교조계종 특별선원, 조계종 구산선문의 하나였던 봉암사에 위치
∎ 조계종단 출가자 의무 수행제도
→ 결계와 포살, 2008년부터 시행
∎ 결계
→ 청정수행을 위하여 수행자에게 의·식·주에 대한 제한을 두는 것
∎ 포살
→ 보름마다 자신의 허물을 대중 앞에 고백하고 참회하는 의식, 정기법회의 시초
∎ 자자
→ 하안거가 끝나는 음력 7월15일 자기 반성을 하고 대중스님들의 지적과 조언을 받는 것
∎수계사 삼사(三師)
: ①교수사 ②갈마사 ③전계사 (새벽-다게례, 저녁-향)
∎ 새벽예불 순서
: 도량석→종송(종성)→사물(법고→범종→목어→운판)→오분향례,칠정례→축원(발원문)→반야심경
∎ 재가불자 5계(살도음망주)
→ 살생, 도둑질, 음행, 망어, 술
각각의 해당 종자 → 자비/복덕/청정/신뢰/지혜
∎ 재가불자 십선계
→ 살생,도둑질,음행,망어(5계에서 술이빠짐) +기어, 악구, 양설, 탐애. 진에, 치암
∎ 재가불자 팔관재계
→ 6재일에 식사와 행동을 삼가고 몸과 마음을 청정히 하는 것
∎ 월별 10재일 (중요한 3가지) : 음력기준
★약사재일→8일
★지장재일→18일
★관음재일→24일
∎ 육법공양(六法供養) 향초차꽃과쌀
→ 향, 초 ,차 ,꽃 ,과일, 쌀
∎ 백중(우란분절)음7.15
→ 수행대중 공양 공덕으로 지옥의 어머니를 구제한 목련존자 효행에서 비롯
∎ 재의 종류
★ 77재→49재
★ 예수재→생전에 자기공덕 미리닦음
★ 수륙재→물과 땅에 공양하여 중생구제, 중국 양무제가 지공선사에게 부탁한 것이 시초
∎ 청법가
→ 덕 높으신 스승님 사자좌에 오르사 사자후를 합소서 감로법을 주소서.
옛 인연을 이어서 새 인연을 맺도록 대자비를 베푸사 법을 설하옵소서.
∎ 공양 오관게
→ 이 음식이 어디서 왔는가.
덕행이 부족한 나로서 받기가 부끄럽네.
마음의 온갖 욕심을 버리고
육신을 지탱하기 위한 약으로 알아
도업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計功多小量彼來處 村己德行全缺應供 防心離過貪等爲宗 正事良藥爲療形枯 爲成道業應受此食
∎ 호궤합장
← 수계식때 양 무릎을 바닥에 붙이고 다리를 세운 채 합장하는 자세
∎ 고두례
← 절의 마지막에 머리를 조아려 무수히 예경하고픈 간절한 심정의 아쉬움을 표하는 예법
∎ 용상방(龍象榜)
: 당나라 때 총림 개설하면서 유래됨, 소임별로 스님의 법명을 적은 방(榜)
∎ 소임별 스님명칭(약80여종 소임)
★방장→ 총림 사찰에서의 최고 어른 스님
★조실→ 선(禪)으로 일가를 이룬 한 파의 정신적 지도자
★회주→ 하나의 일가(一家)를 이끌어 가는 큰 스님 또는 법회의 주관 법사
★주지→ 사찰의 일을 주관하는 스님
★찰중→ 사부대중의 잘잘못을 살피고 질서를 담당
★유나→ 선원에서 규율과 기강을 담당
★다각→ 마실 차나 과일을 준비
★병법→ 의식을 집전하는 스님, 법주라고도 함
★원주→ 후원 살림을 맡는 집사
∎정근 염불
★석가모니불 정근→ 나무 영산불멸 학수쌍존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 (반복)
★아미타불 정근→ 나무 서방대교주 무량수 여래불 나무아미타불 ‥‥ (반복)
★지장보살 정근→ 나무 남방화주 대원본존 지장보살 ‥‥ (반복)
★관세음보살 정근→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관세음보살 ‥‥ (반복)
∎ 3․1독립선언문 서명한 33인중 불교계 대표 2명
→ 한용운, 백용성(대각교운동 전개로 불교정화 운동을 펼침)
∎ 금강산 4대사찰(유장표신)
→ 유점사, 장안사, 표훈사, 신계사(조계종 지원하여 2008년 복원 완료)
∎ 전통사찰보존법
→ 1988년 제정ㆍ공포 및 시행, 일제시대 사찰령에 기원을 두고있음
∎ 인터넷포교
★장점→ 시공 초월, 쌍방향 의사소통, 실시간 정보생산
★단점→ 개인정보 보호에 취약, 저급 문화의 양산
∎ 군포교 활성화, 군승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조계종의 교구
→ 군종특별교구 (2005년 설치)
∎ 조계종 종단의 신도교육체계
→ ①기본교육 ②전문교육(불교대학) ③재교육
∎ 조계종 신도품계(2011년부터 시행)
→ ①발심(신도등록) ②행도(기본교육) ③부동(전문교육) ④선혜(지도자교육)
∎ 간화선
→ 조계종 수행지침서, 조계종교육원에서「전국선원수좌회」와 공동 편찬하여 2005년에 간행
∎ 봉암사결사
→ 성철․ 청담․ 향곡 스님들 주도, 왜색불교 척결, 수행종풍을 진작,
‘부처님 법대로 살자’라는 기치 아래 1947년 조직한 수행결사
∎ 백일법문
→ 1967년 해인사 초대방장 취임후 성철스님이 동안거 기간동안 설법
∎ 암베드카르
→ 1956년 ‘나그푸르’에서 50만명 불교로 개종시킴. 불가촉천민의 해방자, 현대 인도불교 중흥자, 법무장관 역임
∎ 태국(타이) 불교
→ 국민의 95%가 불교도, 20세 이상 국민은 5일~3개월 의무 단기 출가, 교단 통치법 발효
∎ 슐락 시바락사(태국)
→ 1989년 세계참여불교연대 설립, 불법으로 세상바꾸기 시도, 신자유주의를 반대,
지속 가능한 개발과 평화운동으로 사회참여를 통한 불교 포교활동을 전개
∎ 국제불교도기
: 1950년 스리랑카,「세계불교도 우의회, WFB(World Fellowship of Buddhists)」에서 채택
★수평줄→ 전세계의 모든 인종이 서로 화합
★수직줄→ 전세계의 영원한 평화
★5색조합→ 부처님의 가르침은 보편적
★청색→ 자비 (부처님의 머리카락)
★황색→ 중도 (부처님의 피부)
★적색→ 축복 (부처님의 살)
★백색→ 청정과 해탈 (부처님의 뼈와 치아)
★등색→ 지혜 (부처님의 손바닥, 뒤꿈치, 입술)
6. 포교이해론 및 기타
∎ 승가구분
★사방승가→석존이후 모든 승가
★현전승가→현재 수행 및 포교 활동중인 모든 승가
∎ 성도(成道)후 부처님의 포교(布敎) 순서‥칠정례에 나오는 1,200 제대 아라한은 실제로는 1,260명
① 녹원전법 5비구(五比丘)
…꼰단냐(Kondanna), 밧디야(Bhaddiya), 왑빠(Vappa), 마하나마(Mahaanaama), 앗사지(Assaji)
② 야사(耶舍)와 그의 친구를 포함한 55명
…야사를 찾으러 왔다 귀의한 4명 및 그 이후에 단체로 귀의한 50명
★야사의 부친→ 카시 왕국(수도: 바라나시)의 부호인 구리가 장자 ★야사의 모친→ 수자타 부인
③ 불을 섬기는 사화외도(事火外道)였던 카사파(가섭) 3형제 1,000명을 교화
★우루벨라가섭→500명 ★나제가섭→300명 ★가야가섭→200명
∎ 포교(布敎)와 같은 뜻
= 전법(傳法) = 전도(傳道) = 교화(敎化)
∎ 포교의 정의
→ 불교를 신해행증(信解行證)으로 이끌도록 노력하는 모든 행위
★信→믿게하고
★解→교리를 이해시키고
★行→실천하게 하고
★證→궁극적 목표에 도달시킨다.
∎ 포교지침
→ ①삼보에대한 굳건한 신심과 보살의 서원으로 교화
②불타의 교법을 올바로 이해, 수행 정진하여 불법홍포
③동사섭의 정신을 사회속에 구현
④대승원력으로 요익중생과 교단발전을 위하여 교화
∎ 직접포교
→ 포교자와 포교대상자 사이에 직접적인 대화나 접촉을 통한 포교
간접포교
→ 인터넷,방송,신문 등 미디어 매체 / 다큐멘터리,슬라이드 등 시청각 교재 / 영화,무용,체육 등 행사 매체
★인터넷포교
※장점→시간과 공간 무제약, 쌍방향 의사소통으로 신규 정보를 생산·수정, 세분화된 계층에 대한 정보전달 용이
※단점→개인정보 보호에 취약하며 저급문화의 양산․보급의 통제가 어렵다.
∎ 부처님의 3가지 설법(說法)종류
①대기(對機)설법=응병여약(應病與藥) ②차제(次弟)설법 ③비판(批判)설법
① 대기설법(근기와 상황에 따라)
…비유법, 문답법, 인연법, 수기법, 무기법, 반어법, 대비법, 고조법, 위의법, 전의법, 자비법
② 차제설법(단계적으로 수준을 높임)
…아함경의 시론(施論), 계론(戒論), 생천론(生天論) 3론의 교화방법이 대표적
③ 비판설법(냉철한 판단과 이성적 비판으로 상대를 굴복)
…육사외도(신의론,숙명론,우연론) 등의 불합리한 사상을 절복
∎ 삼사교화(三事敎化)
→카사파 3형제를 교화했던 방법
①신족(神足)교화 … 동굴속 불을 뿜는 독룡을 제압. 신변자재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교화
②언교(言敎)교화 … 법문으로써 교화
③훈회(訓誨)교화 … 깨닫도록 지도하여 교화
∎ 비유법 (比喻法) 8종류
…순유(順喩) 역유(逆喩) 현유(現喩) 비유(非喩) 변유(偏喩) 선유(先喩) 후유(後喩) 선후유(先後喩)
①순유…발생 순서에 따른 비유. 큰비가 내려 홍수가 나듯이~
②역유…발생 역순에 따른 비유. 큰 바다의 근원도 냇물이듯이~
③현유…현재 사실을 들어 비유. 값진것을 보면 탐이 나는데, 중생의 마음도 그와 같다.
④비유(非喩)…가설(假說)한 사물을 들어 비유. 내가 짐승이라 칩시다. 짐승이 어떻게 보시를 하겠어요?
⑤변유…모든 상황을 비유로 설명. 저들은 아수라같이 다투고 있고, 우리는 승가처럼 화합하고 있지요.
⑥선유…먼저 비유에다 설법을 합함. 잘 조율된 거문고 소리는 아름답다. 수행도 그와 같이 중도의 방법으로 하느니~
⑦후유…먼저 설법후 비유를 제시. 수행은 중도의 방법으로 해야 한다. 거문고의 줄이 너무 세거나 느슨하지 않은 것과 같이~
⑧선후유…설법 전후에 모두 비유를 제시. 발정난 망아지 같이 캥거루가 뛰네. 마치 발에 스프링 매단 듯이 튀는구나.
∎ 법화칠유 (法華七喩)
…『법화경』에는 총25가지의 비유가 나오는데 그 중 중심사상을 비유한 7가지를 말한다.
①화택유(火宅喩 비유품) ②궁자유(窮子喩 신해품) ③약초유(藥草喩 약초유품) ④화성유(化城喩 화성유품)
⑤의주유(衣珠喩 수기품) ⑥계주유(髻珠喩 안락행품) ⑦의자유(醫子喩 수량품)
∎ 백유경(百喩經)
…5C 인도 승려 상가세나(Sanghasena)가 교훈적 우화들을 모아서 편찬한 작품.
구나브리디(Gunavrddhi)가 492년에 한역. 원래 100가지였는데 현재 98가지의 우화만이 전해짐.
랍비의 지혜를 기록한 유대교의 탈무드(Talmud)에 비견
∎ 전법자가 갖출 조건
→ 양고승전(梁高僧傳)에 성(聲)ㆍ변(辯)ㆍ재(才)ㆍ박(博)
★성→감동시키는 목소리
★변→때와 장소에 적합한 언설
★재→임기응변
★박→박학다식
∎ 사무애변(四無礙辯)
→ 자유자재하여 장애가 없는 네가지 이해 표현 능력 → 법(法) 의(義) 사(辭) 요설(樂說)
①법무애변(法無礙辯)→교법에 통달하여 걸림없이 표현
②의무애변(義無礙辯)→말하고자 하는 요의(要義)를 정확히 표현
③사무애변(辭無礙辯)→언어에 통달하여 자유자재 표현
④요설무애변(樂說無礙辯)→듣기 좋도록 언설하는 능력
∎ 격의불교(格義佛敎)
→ 중국 불교전래시 한역불전을 이해하는데 노장사상 등의 중국사상을 연관시켜 설명하는 풍조
∎ 여시본말구경(如是本末究竟)
→ 포교의 본질부터 마지막 과보까지 즉 포교의 어떤 과정도 부처님의 뜻과 가르침과 다르지 않야야 한다.
『법화경 방편품』의 십여시(十如是)에 언급.
∎ 선재동자(善財童子)
→ 남순동자(南巡童子)라고도 하며 해수관세음보살의 좌보처 불상으로 봉안됨.
(우보처는 ‘큰 바다’라는 뜻의 사가라 용왕)
★ 선재동자는『화엄경 입법계품』에 맨 처음 문수보살을 친견 후 53선지식을 참방하고 마지막에 보현보살을 친견후 불도를 이루었다.
∎ 무차대회(無遮大會)
→ 고려시대. 승속,남녀노소,귀천의 차별없이 평등하게 잔치를 베풀어 물품을 나눠주는 법회
∎ 개산대재(開山大齋)
→ 산문을 열어 사찰을 처음으로 세운 날을 기념하여 지내는 재
∎ 점안식(點眼式) 또는 개안식(開眼式)
→신앙대상인 불상, 불화 등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 귀의의 대상으로 모시는 의식
∎ 종무기관장 법명(2017년 2월 현재)
★종정→ 제14대 진제 ★원로회의 의장→ 종산 ★(입법)중앙종회 의장→ 원행 (2017년 2월 현재)
★(사법)호계원장→성타 ★(행정)총무원장→자승 ★포교원장→지홍 ★교육원장→현응
∎ 일수사견(一水四見)→
유식학. 같은 물이라도 천인은 유리보석, 사람은 물, 아귀는 피고름, 물고기는 자기집으로 본다.
비슷한 뜻 군맹평상(群盲評象)→열반경(涅槃經). 장님들이 코끼리를 만지며 좁은 소견으로 전체를 판단한다는 뜻.
∎ 사유설(四有設)
→사생(胎生,卵生,濕生,化生)이 윤회를 거듭하는 상태인 생유(生有), 본유(本有), 사유(死有), 중유(中有)
∎ 위의교화(威儀敎化)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인격과 심덕으로 상대방에게 감화를 주고 깨우치게 하는 교화 방법
∎ 육성취(六成就)
→ 경전의 첫머리에 여섯가지의 필수요건
①如是 ②我聞 ③一時 ④佛 ⑤在舍衛國 祇樹給孤獨園 ⑥與大比丘衆
①신성취(信成就) ②문성취(聞成就) ③시성취(時成就) ④주성취(主成就) ⑤처성취(處成就) ⑥중성취(衆成就)
|
첫댓글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ㅇㅇ
관세음보살 ()()()
관세음보살 _()_
소중한 자료 담아갑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