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안녕하세요?
경상대 수의대 편입에서는 매년
임용 기출문제(생물)를 비슷하게 출제하고 있어 풀고 있는데요.
생물이지만
자유에너지 관련한 부분이라
선생님께 여쭤보는 게 적당한 듯 싶어 여기에 질문을 올립니다.
"H2O2는 온도를 높였을 때 쉽게 분해된다.
온도를 높였을 때 반응 자유에너지는?"
정답이 공개된 것은 없지만
기출문제를 분석해 주시는 분은
△G = △H - T·△S 식에 따라
온도를 높였을 때 반응 자유에너지가 '낮아진다'를 답으로 보았는데요.
1. H2O2가 온도를 높였을 때 쉽게 분해된다는 명제가 주어져있음.
△G = △H - T·△S 식을 참고하려면 엔트로피 변화를 알아야 할 것 같은데
저 명제를 통해 엔트로피 변화가 양의 값이라는 걸 알 수 있는 걸까요?
온도를 높였을 때 정반응이 많이 일어난다는 건 그냥 흡열반응이라는 얘기가 아닌가요?
(아니라면 H2O2의 표준상태를 알고 화학식을 세워봐야 하는 것인지..)
2. 흡열 or 발열 반응이라는 것만 알고 있을 때(엔트로피 변화를 모를 때)
르 샤틀리에 원리와 자유에너지를 연결시켜 말할 수 있나요?
제목양식:
강의교재 질문: 해당과정, 단원, 페이지, 문제번호 명시 (적중 2000제 516페이지 34번)
편입기출문제 질문 : 학교, 연도, 문제번호를 명시(중앙대 2022년도 12번)
1. 질문의 의문문마다 각각 번호를 붙여주세요.
2. 질문글 하나에 문제 하나만 질문 해주세요.
3. 문제의 그림이나 사진을 첨부하시면 답변을 빨리 받으실 수 있습니다.
4. 한번에 정확히 질문해주세요. 답변에 대한 추가 질문들에는 답변드리지 않습니다.
5. 이렇게 풀면 왜 답이 안나오나요? 유형의 질문에는 답변드리지 않습니다.
첫댓글 1. 엄밀하게 말하면 온도에 따라 델타G0가 작아지는지 커지는지는 델타S의 부호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그런데, 문제 분위기상 그런것까지 고려해서 출제하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그냥 상식적으로 더 쉽게 분해된다면 그 반응이 더 자발적으로 진행되는것이고 델타G0는 더 음수쪽으로 변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문제의 수준과 눈높이에 맞춰서 풀어야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