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 로빈스의 책 <음식혁명> 요약
(다음은 존 로빈스의 책 <음식혁명> 요약 입니다.)
1장 서문 : 음식혁명이란 무엇인가?
나는 인간과 지구 공동체의 건강이
기업의 이익 창출보다 중요하다고 믿는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인 욕구가 기업의 탐욕보다 우선하는
세상을 이루기 위한 투쟁에 반드시 필요한, 확실하고
근거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음식혁명>을 집필하고 있다.
나는 우리가 우리에게 생명을 주는 것에서 유리된 채
이 지구를 더럽히도록 저주받은 존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나는 우리가 결점을 안고 있기는 하지만 배워 나가는,
실패를 하면서도 지혜를 향해 발전해 나가는, 무지하지만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 지구 공동체를 존경하는 존재라고 믿는다.
나는 결점 투성인 인간에게는
여전히 모든 생명체가 번성하고 생존해 나갈 방법을
창조할 능력이 있다고 믿는다.
내가 베스킨 라빈스와 그에 따른 부를 버린 것은
그보다 더 심오한 이상이 내 안에 있음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절망케 하고 냉소케 하는 것들에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여전히 우리에게는 더 나은 삶과 더 사랑스런 세상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는 공통된 꿈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모든 생물체가 굶주리지 않기를.....
모든 생물체가 치유 받게 되기를...
모든 생물체가 사랑받기를...
2장 건강한 생활, 건강한 심장
-치즈가 들어간 더블 와퍼 햄버거에 들어있는 포화지방은
성인기준 하루 권장 섭취량의 130%다.
-치즈가 들어간 더블 와퍼 햄버거에 들어있는 포화지방은
8살짜리 어린이 기준 하루 권장 섭취량의 200%이상이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1% 낮아질 때마다
심장질환에 걸릴 가능성은 3~4%씩 낮아진다.
-채식주의자들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는 비채식주의자에 비해 14%낮다.
-채식주의자가 심장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은 비채식주의자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비건(우유나 계란도 먹지 않는 순수채식주의자, vegan)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는
비채식주의자보다 35%낮다.
-비채식주의자들은 매일 300~500mg의 콜레스테롤을 섭취한다.
-락토오보(lacto-ovo,유제품은 먹지만 달걀은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들은
콜레스테롤을 매일 150~300mg 가량 섭취한다.
-비건들이 섭취하는 콜레스테롤은 제로(0)이다.
-미국인의 평균 콜레스테롤 수치는 210 이다.
-미국 채식주의자들의 평균 콜레스테롤 수치는 161이다.
-미국 베전들의 평균 콜레스테롤 수치는 133이다.
-미국에서 의사를 찾는 가장 큰 이유는 고혈압 때문이다.
-이상적인 혈압수치는 110/70 이하다 (약의 도움 없이)
-채식주의자의 평균 혈압 수치는 112/69 이다.
-비채식주의자의 평균 혈압 수치는 121/77 이다.
-고혈압은 사람이 휴식을 취하는 상태에서 심장의 최고 수축수가
지속적으로 140을 넘거나 최저 수축수가 지속적으로 90을 넘는
상태를 말한다.
-육식을 하는 사람이 고혈압에 걸릴 확률은 채식주의자의 3배에 달한다.
-육식을 하는 사람이 극히 위험한 고혈압에 걸릴 확률은
채식주의자의 13배가 넘는다.
-극히 위험한 고혈압 환자가 채식 위주 식단으로 전환하여 건강이
좋아질 확률은 30~75%이다.
-고혈압 환자가 의사에게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당신은 평생 이 약을 먹어야 할 것입니다”이다.
-고혈압 환자가 저나트륨, 저지방, 고섬유질 채식위주 식단으로
섭생방법을 전환한 후 약을 복용하지 않게 되는 비율은 58%이다.
-고혈압으로 고생하고 있는 미국 노년층은 50%가 넘는다.
-전통적으로 저지방 채식 위주로 음식을 섭취하는 나라에서
노인들이 고혈압에 걸릴 확률은 사실상 0%이다.
3장. 암을 예방하는 방법
-미국에서 유방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10만명당 22.4명이다.
-일본에서 유방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10만명당 6.3명이다.
-중국에서 유방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10만명당 4.6명이다.
위에 나타난 차이점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중국 사람과 일본 사람은 미국 사람보다 동물성 식품을 덜 먹는 대신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고
체중이 덜 나가며 술을 덜 마시고 운동을 많이 한다.
-동물성 식품을 많이 먹는 이탈리아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그렇지 않은 이탈리라 여성의 3배에 달한다.
-동물성 식품을 자주 먹는 우루과이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간혹 먹거나 전혀 먹지 않는 우루과이 여성의 4.2배에 달한다.
-고기를 매일 먹는 부유한 일본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간혹 먹거나 전혀 먹지 않는 가난한 일본 여성의 8.5배에 달한다.
-몸무게가 정상체중보다 45파운드 더 나가는 성인 여성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그렇지 않은 여성의 2배다.
-세계를 통틀어서 사람을 가장 많이 사망케 하는 암은 폐암이다.
-매년 미국에서만 15만 명이 폐암으로 사망한다.
-남이 피우는 담배 연기를 곁에서 맡기만 해도 극히 위험할 만큼
담배가 폐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다.
-푸른잎 채소와 오렌지, 노란잎 채소를 자주 먹는 사람이
폐암에 걸릴 확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20~60% 낮다.
-폐암 예방 효과가 가장 큰 채소는 당근이다.
-사과, 바나나, 포도를 많이 먹는 사람이 폐암에 걸릴 확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40% 낮다.
-영국에서 남자 채식주의자가 폐암에 걸릴 확률은
보통 영국인의 27%에 불과하다.
-영국에서 여자 채식주의자가 폐암에 걸릴 확률은
보통 영국인의 37%에 불과하다.
-미국 남자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은 전립선암이다.
-유제품을 많이 소비하는 남자가 전립선암에 걸릴 가능성은
그렇지 않은 남자보다 70%나 높다.
-두유를 매일 마시는 사람이 전립선암에 걸릴 가능성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70%나 낮다.
-혈중 베타카로틴(적색의 결정성 물질로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의 양이 적은 사람이
전립선암에 걸릴 가능성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45% 높다.
-베타카로틴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은
당근, 고구마, 얌(마과에 속하는 만생 식물)이다.
-리코펜이 풍부한 음식을 주로 섭취하는 남자가
전립선암에 걸릴 가능성은 그렇지 않은 남자보다 45% 낮다.
-리코펜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은 토마토다.
-육류, 유제품, 계란에는 베타카로틴과 리코펜이 전혀 들어 있지 않다.
-십자화과 채소 (브로콜리, 방울 양배추, 양배추, 꽃양배추, 케일,
겨자잎, 순무)를 많이 먹는 남자가 전립선암에 걸릴 가능성은
그렇지 않은 남자보다 41% 낮다.
-동물성 식품과 전립선암의 상관관계를 알고 있는
미국 남자의 비율은 2%에 불과하다.
-미국에서는 매년 5만 5천여명이 결장암으로 사망한다.
-매일 레드미트를 먹는 여성이 결장암에 걸릴 확률은
한 달에 한 번 이하를 먹는 여성보다 250% 높다.
-일주일에 한 번 레드미트를 먹는 사람이 결장암에 걸릴 확률은
전혀 먹지 않는 사람보다 38% 높다.
-일주일에 한 번 사육 조류(닭, 칠면조, 오리 따위)를 먹는 사람이
결장암에 걸릴 확률은 전혀 먹지 않는 사람보다 55% 높다.
-일주일에 네 번 사육 조류를 먹는 사람이 결장암에 걸릴 확률은
전혀 먹지 않는 사람보다 250% 높다.
-일주일에 두 번 콩, 완두콩, 렌즈콩을 먹는 사람이
결장암에 걸릴 확률은 이러한 식품을 피하는 사람보다 50% 낮다.
-비타민B의 합성물인 엽산이 풍부한 음식을 주로 섭취하는 사람이
결장암에 걸릴 확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75% 낮다.
-엽산을 가장 많이 함유한 식품은 진녹색잎 채소, 콩, 완두콩 등이다.
-고기를 적게 먹으면 결장암에 걸릴 확률도 낮아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미국인은 2%에 불과하다.
4장. 미국의 위대한 다이어트 롤러코스터
-매년 과체중 관련 질병으로 사망하는 미국인은 28만 명이다.
-비만인 사람이 당뇨병에 걸릴 확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의 40배 이상이다.
-전체 미국인의 비만율은 18%다.
-채식주의자들의 비만율은 6%다.
-베전(순수채식자)비만율은 2%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 ]
-애트킨스와 고단백질,저탄수화물 다이어트의 옹호자들은 이렇게 주장한다.
고단백질 다이어트는 삶의 모든 면을 향상시킨다.
-과학적 진실 (비만과 관련된 신진대사 장애에 관한
국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름) ;
고단백질 다이어트는 정신 기능에 손상을 준다.
-과도한 단백질 소비로 인한 주요 질병으로는 골다공증과 신장질환이 꼽힌다.
-미국에서 골다공증과 신장질환이 발생한 건수는 천만 건이 넘는다.
-미국에서 흡연이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지출되는
연간 의료비는 650억 달러다.
-미국에서 고기 소비가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지출되는
연간 의료비는 600억에서 1,200억 달러다.
<< 채식주의자이면서 세계 챔피언인 사람들 >>
Ridgely Abele (리즐리 아벨, 전국 가라테 선수권대회 8회 우승자)
Surya Bonaly (쉬르야 보날리,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챔피언)
Peter Burwash (피터 버워시, 데이비스컵에서 우승한 프로 테니스 스타)
Andreas Cahling (안드레아스 칼링,스웨덴 올림픽 스키점프 금메달 리스트)
Chris Campbell (크리스 캠벨,올림픽 레슬링 챔피언)
Nicky Cole (니키 콜,북극을 탐험한 최초의 여성)
Ruth Heidrich (루스 하이드리히,철인 여성 대회에서 여섯 번 우승한 USA 트랙 및 필드 마스터스 챔피언)
Keith Holmes (키스 홈스,복싱 미들급 세계 챔피언)
Desmond Howard (데스먼드 하워드,하이스먼 트로피에서 우승한 미식 축구 스타)
Peter Hussing (피터 후싱,복싱 슈퍼헤비급 유럽 챔피언)
Debbie Lawrence (데비 로렌스,여자 5킬로미터 경보 세계 기록 보유자)
Sixto Linares (식스토 리나레스,24시간 트라이애슬론 세계 기록 보유자)
Cheryl Marek and Estelle Gray (셰릴 마렉과 에스텔 그레이,크로스컨트리 탠덤 사이클링 세계 기록 보유자)
Ingra Manecki (잉그라 마네키,원반던지기 세계 챔피언)
Bill Manetti (빌 마네티,역도 세계 챔피언)
Ben Mathews (벤 매튜스,US 마스터스 마라톤 챔피언)
Dan Millman (댄 밀먼,체조 세계 챔피언)
Martina Navratilova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프로 테니스 챔피언)
Paavo Nurmi 파보 누르미 (올림픽 메달을 9개나 딴 장거리 육상선수로 세계 기록 20회 기록)
Bill Pearl (빌 펄,네 차례나 미스터 유니버스에 오른 보디빌더)
Bill Pickering (빌 피커링,수영 세계 기록 보유자)
Stan Price (스탄 프라이스,역도 벤치프레스 세계 기록 보유자)
Murray Rose (머레이 로즈,올림픽 수영에서 많은 금메달을 따냄, 세계 기록 보유자)
Dave scott (데이브 스콧,철인 트라이애슬론에서 여섯 번 우승)
혈액형 다이어트 원리에 따르면
혈액형이 A형인 사람만 채식주의 식단에 적합하기 때문에,
산술적으로 말한다면 이 사람들은 혈액형이 모두 A형이어야 한다.
이 사람들이 같은 혈액형일 확률은 350억분의 1이다.
6장. 뼈 손상과 단백질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
-유제품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핀란드, 스웨덴, 미국, 영국 순이다.
-골다공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나라는 핀란드, 스웨덴, 미국, 영국 순이다.
-미국 흑인이 섭취하는 칼슘 양은 하루에 1,000mg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이 섭취하는 칼슘 양은 하루에 196mg이다.
-미국 흑인의 골절률은 남아프리카공화국 흑인에 배해 9배나 높다.
-중국 시골에 사는 사람이 섭취하는 칼슘양은 미국인의 절반이다.
-중국 시골에 사는 사람들의 골절률은 미국인의 5분의 1이다.
-소변을 통해 칼슘을 배출시키는 음식은 동물성 단백질, 소금, 커피다.
-여성이 햄버거를 하나 먹었을 때 소변으로 잃는 칼슘의 양은 28mg이다.
-여성이 커피를 한 잔 마셨을 때 소변으로 잃는 칼슘의 양은 2mg이다.
-미국에서 생산되는 우유에 허용되는 항생 물질 수치는 80이다.
-두유에는 항생 물질이 전혀 없다.
-변비약으로 치료할 수 없을 만큼 고약한 만성 변비에 걸린 어린이가
우유 대신 두유를 마시면서 자연적으로 치유된 비율은 44%다.
-전세계적으로 우유를 마시지 않는 사람이 얼마나 될 것 같으냐는
질문에 보통 미국인들은 1%정도 것이라고 답했다.
-전 세계적으로 우유를 마시지 않는 사람의 비율은 65%다.
7장. 안전한 식품 그릇이 없다.
-E.coli 0157:H7의 주요 감염원은 햄버거와 그라운드 비프다.
-치명적인 E.coli 0157:H7 박테리아 섭취로 인한 잠재적인 결과로는
다양한 기관의 기능 저하와 사망률이 매우 높은 무서운 질병의 발생이 꼽힌다.
- E.coli 0157:H7에 중독된 사람들은
장기적으로 간질, 시력 상실, 폐 손상, 신부전등으로 고생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에서 발생하는 가장 주된 식인성 질병의 원인은 캄필로박터다.
-미국에서 캄필로박터에 감염되어 병에 걸리는 사람의 수는
매일 5,000여명 이상이다.
-미국에서 캄필로박터에 감염되어 사망에 이르는 사람은
연간 750여명 이상이다.
-캄필로박터의 주요 오염원은 오염된 닭고기 살이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닭고기 중
병을 일으킬 정도로 캄필로박터에 감염된 닭고기의 비율은 70%정도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칠면조 고기 중
병을 일으킬 정도로 캄필로박터에 감염된 칠면조 고기의 비율은 90%정도다.
-위스콘신 대학 연구원들이 양계장 세 곳에서 골라낸
캄필로박터에 감염된 암탉은 2,300마리였다.
-그때 캄필로박터에 감염되지 않은 암탉은 8마리뿐이었다.
-미국에서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달걀을 먹고
질병에 걸리는 사람은 연간 65만명 이상이다.
-미국에서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달걀을 먹고
사망하는 사람은 연간 600여명이다.
-날계란이나 덜 조리한 달걀을 먹고 살모넬라균에
중독된 건수가 1976년부터 1986년까지 무려 600%나 급증했다.
-스웨덴에서 살모넬라균에 감염되어 질병이 발생하는 비율은
연간 1만명당 1명꼴이다.
-미국에서 살모넬라균에 감염되어 질병이 발생하는 비율은
연간 200명당 1명꼴이다.
-노르웨이에서 사육하는 닭이 캄필로박터균에 감염되는 비율은 10%다.
-미국에서 사육하는 닭이 캄필로박터균에 감염되는 비율은 70%다.
8장. 병균에 대한 정책
-미국에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사람에게 투여하는 항생제의 양은
연간 300만 파운드에 달한다.
-미국에서 질병 치료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가축에게 투여하는 항생제의 양은
연간 2,460만 파운드에 달한다.
-덴마크에서 질병치료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가축에게 투여하는 항생제의 양은 제로(0)다.
-덴마크에서 가축에게 사용하는 항생제 양을 줄여서 동물이 건강상 입은 부작용은 전혀 없다.
-덴마크에서 가축에게 사용하는 항생제 양을 줄여서 목축업자들이 입은 손해는 전혀 없다.
농촌 지도사들과 사료업자들은 죽은 가축을 사료로 재이용하는 행위는 지속되고 있으며
‘자의적인 금지’가 있은 후에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고 주장한다.
-편집에서 잘려 오프라 쇼에서 방영되지는 않았지만 목축업자들이
중요하게 여겨 방송에 나왔어야 했다고
생각하는 게리 웨버의 주장은 이런 것이었다.
“가축에게 먹인 사료는 …높은 온도에서 충분히 살균한 것이다”
현실 ; 광우병 전염성 인자(infectious agent)는
680도의 고온에 1시간을 노출 –납이 용해될 정도-시켜도 살아 남고,
항생제,끓는물,표백제,포름알데히드,다양한 솔벤트, 세척제를 비롯하여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대부분 죽이는 것으로 알려진
효소 처리과정에서도 살아남는다.
10장. 맥도널드는 공장식 축산농장을 운영했다.
닭들은 작은 서류함에 여러 마리를 우겨넣은 것처럼 보이는
공간에서 짧은 삶을 살다 도살된다.
그래서 "목축업자들이 이룩한 가장 위대한 업적 중 하나는
소비자들이 대부분 동물을 어떻게 키우고 처리하는지
전혀 감을 잡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육식을 하는 소비자가 대량 생산 방식의 계사를 방문하여
닭들을 어떻게 사육하고 어떻게 추수하며,
또 조류 처리공장에서 어떻게 다루는지 알게 된다면
아마 십중 팔구는 하늘에 맹세코 닭고기뿐만 아니라
어쩌면 모든 육류를 끊겠다고 맹세하게 될 것이다.
소비자가 고기를 입에 집어넣기 전까지의 과정에 무지하면 할수록
그만큼 현대식 축산업계에 유리한 것이다. "
-피터 R. 치키 박사(<동물과학 저널> 편집위원)
영국의 '맥라이벌'이라 불리는 명예 훼손 법정 싸움은
두 사람의 동물운동가가 재정 지원이 없는 상태에서
세계 최대 다국적 기업 중 하나인 맥도널드를 상대로 한
오랜 싸움을 통해 맥도널드 사가 식품으로 사용한 동물들이
잔인한 대우를 받은 것이 사실이며, 따라서 그 잔인성과 관련하여
비난받을 만한 책임이 있다고 밝히는 승리를 얻어낸 사건이었다.
11장. 잔인한 메뉴
-새끼 소가 어미젖을 자연스럽게 떼려면 8개월이 필요하다.
-미국에서는 태어난 후 24시간 안에 새끼 소를 어미 소의 곁에서
떼어내 송아지 우리로 옮긴다.
-미국의 젖송아지 중 태어난 지 24시간 안에 개별 우사로 옮기는 비율은 90%다.
-오늘날 8주 된 닭의 유방 조직은 25년 전에 비해 7배나 비대하다.
-사육하는 닭 중 6주 정도 자라면 더 이상
걸을 수 없을 만큼 비만해지는 비율은 90%다.
-고기 생산을 위해 미국에서 사육하는 돼지는 모두 9,000만 마리다.
-그중 도살장에 끌려갈 때까지 빛이 전혀 들어오지 않는
우리 안에 갇혀 지내는 돼지의 수는 6,500만 마리다.
-미국에서 도살당할 때 폐렴에 걸려 있는 돼지의 비율은 70%다.
13장. 건강한 환경을 위한 선택
-캘리포니아 대학의 축산 전문가들 밑에서 농업지도자 과정을
이수 중인 토양과 수자원 전문가들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에서
1파운드의 식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은 다음과 같다.
1파운드의 상추 : 23갤런
1파운드의 토마토 : 23갤런
1파운드의 감자 : 24갤런
1파운드의 밀 : 25갤런
1파운드의 당근 : 33갤런
1파운드의 사과 : 49갤런
1파운드의 닭고기 : 815갤런
1파운드의 돼지고기 : 1,630갤런
1파운드의 쇠고기 : 5,214갤런
-1995년 6월 21일, 노스캐롤라이나 뉴 리버(New River)로
흘러 들어간, 부패한 돼지의 배설물 양은 2,500만 갤런이고,
그날 현재 배설물로 뒤덮인 바다 밑 석호 지대는 무려 8에이커에 이른다.
-돼지 배설물로 죽어간 물고기 수는 1,000만 ~1,400만 마리에 이른다.
-축산 폐기물로 중동부 해안의 어종 중 절반 정도가 멸조 되고 말았다.
-축산 폐기물 때문에 조개류조차 잡을 수 없게 된 바닷가는 36만 4,000에이커에 이른다.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 700만 마리에 달하는 돼지가 쏟아내는 오물량은
650만 인구가 배출하는 오물량의 4배에 달한다.
-돼지 배설물에 들어 있는 병균의 양은
인간의 배설물보다 10배에서 100배 가까이 많다.
15장. 기아확산의 저지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
-세계 인구 중 식량 부족과 영양실조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은 12억 명이다.
-세계 인구 중 음식을 과다하게 섭취하면서도 영양실조 상태에 있는 사람은 12억명이다.
-허기진 사람이나 비만인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높은 질병 및 장애 발생률, 생명의 단축, 낮은 생식력 등이다.
-식량 부족과 체중 미달 상태에 처한 방글라데시 어린이 중
건강이 나빠지고 있는 어린이의 비율은 56%다.
-음식물 과잉 섭취하여 비만인 미국 성인 중
건강이 나빠지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55%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옥수수 중 인간이 먹어치우는 것은 2%에 지나지 않는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옥수수 중 가축이 먹어치우는 것은 77%다.
-미국에서 채소를 재배하는 경작지는 400만 에이커다.
-미국에서 가축이 먹을 여물을 재배하는 경작지는 5,600만 에이커다.
-미국의 가축이 먹어치우는, 콩을 비롯한 곡물은
사람 14억 명이 양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량이다.
-미국의 인구는 고작 전세계 인구의 4%다.
-미국인이 먹어치우는 소고기 양은 전세계 소고기 소비량의 23%다.
-농경지 2.5에이커에서 생산하는 식품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수만큼 인간의 에너지를 충족시킨다.
양배추를 생산하면 23명이 에너지를 충족시킬 수 있다.
감자를 생산하면 22명이 에너지를 충족시킬 수 있다.
쌀을 생산하면 19명이 에너지를 충족시킬 수 있다.
옥수수를 생산하면 17명이 에너지를 충족시킬 수 있다.
밀을 생산하면 15명이 에너지를 충족시킬 수 있다.
닭고기를 생산하면 2명 이 에너지를 충족시킬 수 있다.
우유를 생산하면 2명이 에너지를 충족시킬 수 있다.
소고기를 생산하면 1명이 에너지를 충족시킬 수 있다.
-매해 배고픔과 기아 관련 질병으로 죽어가는 전세계 인구를
충분히 먹일 수 있는 곡물의 양은 1,200만 톤이다.
-곡물 1,200만 톤은 미국인이 소고기 소비를 10%만 줄이면
얻을 수 있는 분량이다.
산업국가들은 육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사료용으로
곡물과 콩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집중적인 사육테크닉을 채택하고 있다.
세계 곡물 생산량의 거의 40%를 가축 사료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은 1990년대 초반만 해도 곡물 수출국이었지만,
지금은 육식이 증가한 탓에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곡물을
많이 수입하는 나라로 전락하고 말았다.
소련은 30여 년 전만 해도 곡물을 자급자족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세계 3위의 곡물 수입국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가축이 먹어치우는 곡물의 양이 사람이 먹는 양의 3배에 달하기 때문이다.
20여년 전에는 볼 수 없던 기아가 만연하는 등 심각한 상태다.
태국에서는 사료로 사용하는 곡물의 양이
20여 년 전만 해도 전체 생산량의 1%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30%로 껑충 뛰어 올랐다.
요르단은 현재 필요한 곡물의 91%를 수입하고 있고,
이스라엘은 87%, 리비아는 85%, 사우디아라비아는 50%를 수입해서
사용하고 있다.
과테말라는 영양실조가 하도 심각해 네 살까지 살아남는 어린이가
50%에 불과할 정도다.
그런데도 과테말라는 매년 4,000만 파운드의 육류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부자의 입으로 들어갈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가난한 사람들이 먹을 주식의 생산을 줄이는 국가가 계속해서 늘고 있는 것이다.
25년 전만 해도 브라질에서는 콩을 거의 경작하지 않았다.
하지만 콩은 현재 브라질 최고의 농작물로 자리를 잡았고,
대부분 가축 사료용으로 일본이나 유럽으로 수출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은 무려 2/3가 영양실조에 걸린 상태다.
중남미에서는 농경지의 2/3를 가축 사료용 곡물을 생산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도 빈곤층은 대부분 고기를 사먹을 수 없는데,
이는 부유층의 입에 들어가거나 수출하기 때문이다.
2초마다 어린이 한 명이 기아로 인한 질병으로 사망하고 있는 세상에서
중앙 아메리카에서는 주곡 생산이 소 사육으로 대체되어 왔고,
지금은 경작지의 2/3를 목축업에 이용하고 있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옥수수 중 인간이 먹어치우는 것은 2%에 지나지 않는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옥수수 중 가축이 먹어치우는 것은 77%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옥수수를 비롯한 곡물 중 사료용으로
사용하는 비율은 70%다. 2,000파운드의 곡식을 먹여
겨우 120파운드의 식용 쇠고기를 손에 쥔다는 의미다.
1985년만 해도 식품으로 사용하는 전세계 물고기의 5% 정도만 양식업으로 조달했다.
하지만 2000년에는 양식업으로 조달한 물고기 양이
전체 소비량의 3분의 1에 이를 만큼 껑충 뛰어올랐다.
미국에서 소비되는 메기는 전부, 무지개송어는 2분의 1,
새우는 2분의 1, 연어는 3분의 1이 양어장에서 생산한 것들이다.
야생 물고기는 크릴새우(남극새우라고도 한다)를 잡아먹어
부분적으로 연분홍색을 띄지만, 양식장 물고기는 백신과 호르몬 외에도
원하는 색깔을 내기 위해 인공 도료까지 받아먹어야 한다.
1990년에는 전세계적으로 소비되는 연어 중 양식장 연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6%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1998년에는 40%로 껑충 뛰어올랐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연어 양식장에서
800만 인구가 배출하는 쓰레기 양과 맞먹는 쓰레기를 배출하여
스코틀랜드 해안을 오염시키고 말았다.
스코틀랜드 전체 인구는 500만 명도 채 되지 않는다.
16장. 판도라의 식품창고
-전세계적으로 유전자 변형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 면적은 1995년의 경우 무시해도 좋을 정도였다.
-전세계적으로 유전자 변형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 면적은 1996년의 경우 400만 에이커였다.
-전세계적으로 유전자 변형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 면적은 1997년의 경우 2,700만 에이커였다.
-전세계적으로 유전자 변형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 면적은 1998년의 경우 6,900만 에이커였다.
-전세계적으로 유전자 변형 작물을 재배하는 경작지 면적은 1999년의 경우 9,900만 에이커였다.
17장. 파마게돈(최후의 농업전쟁)
자연은 종의 경계를 침범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개는 고양이와 교배할 수 없다.
하지만 유전공학은 벡터 즉 병원균이나 매개동물을 창조하여
자연이 구축해 놓은, 지구상에서 수십억년 동안 살아온 생물들의
형질을 변경하기 전에는
한 번도 시도된 적이 없는 경외스런 장벽을 뛰어 넘으려 한다.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에서 추출된 벡터들은 종의 장벽을 부수고,
다양한 종 사이를 오갈 수 있도록 특별히 디자인된다.
"유전공학자들은 실험관 안에서는 유전인자들을 매우 정밀하고 베고
접합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인자들을 살아있는 유기체에 집어넣는 과정은 극도로 부정확하고,
정밀하지 못할 뿐 아니라 통제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한 조작으로 인해 그 유기체의 기능을 손상시키는 변종이 출현할 수 있다.
일단 유기체로 들어간 인자는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과학자들이 어느 유기체에서 DNA 한 조각을 잘라내 다른 유기체에 넣으면
그 속에는 바이러스 같은 유전적 기생충들도 같이 휩쓸려 들어간다."
지난 30여년 동안 인간에게는 에볼라, 에이즈, C형 간염, 라임병,
한타 바이러스 같은 새로운 질병이 몰아 닥쳤고 앞으로도 새로 출현할 것이다.
2200만 명 이상 목숨을 앗아간 1918년의 전염성 스페인 독감은
수평적 유전자 주입 때문에 생긴 것으로 믿어진다.
유전자 조작된 식품중 콩을 예로 들면, 콩단백질의 활동을 억제하는
트립신 억제제와 알레르겐 역할을 하는 렉틴이 많이 든 콩을 먹으면
어린이 성장지체와 위험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런 잠재적인 위험성 때문에 유전자 변형 식품은 마땅히 의약품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그 부작용이 미미하다 할지라도 세월이 흐르면서 축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유전공학 처리한 우유 중 어떤 것에도
라벨을 부착하지 않는 것처럼 소비자들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알리는 일조차 제한당해 오고 있다.
이것은 모두 유전공학 기업들의 실체가 얼마나 이기적이고
무모한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에 불과한 것이다.
18장. 제국의 새로운 식품들
-2000년 현재, 유전자 변형 콩 경작지의 면적은 형질 변형 작물을 재배하는 전세계 농경지의 54%다.
-2000년 현재, 유전자 변형 옥수수 경작지의 면적은 형질 변형 작물을 재배하는 전세계 농경지의 28%다.
-2000년 현재, 유전자 변형 목화 경작지의 면적은 형질 변형 작물을 재배하는 전세계 농경지의 9%다.
-2000년 현재, 유전자 변형 캐놀라 경작지의 면적은 형질 변형 작물을 재배하는 전세계 농경지의 9%다.
-몬샌토 사가 2003년이나 2004년에 대량 보급하려 하고 있는 유전자 변형 작물은
라운드업 레디 밀(Roundup Ready wheat)이다.
19장. 형세의 전환
육식을 조금만 줄여도, 전체 농경지를 유기 농경지로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충제와 유전공학의 위험으로부터 우리 자신과 환경과 후손을 구하고,
더 건강한 식품을 대량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20장. 결론 : 우리의 음식, 우리의 미래
당신이 생명 속에 내재된 존엄성을 인정하고
살아있는 지구의 아름다움, 마력, 신비를 존중하기로
마음만 먹는다면, 당신에게는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된다.
누군가가 당신의 노력을 인정하느냐와 상관없이,
당신이 얼마나 약하고 결점 많은 사람이냐 와 상관없이
분명 어떤 일이 일어난다.
그 어떤 일이란 우리 인간들이 알고 있는 모든 눈물과 기도의 가치를 지닌,
미래를 위하여 노력해 온 사람들의 긴 대열 속에 합류하는 것이다.
당신의 삶이 인간의 가능성을 말해주는 증거가 된다.
당신의 삶이 더 건강하고, 더 동정적이고,
더 생존 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것이다.
절망이 있는 곳에 희망을, 암흑뿐인 곳에 빛을 던지기 위해
노력하는 당신에게 사의를 표하고자 한다.
삶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당신에게 고맙다는 말을 하고자 한다.
===[ http://cafe.naver.com/funnyvegan ]===
출처: 정법도량 원각정사
|
첫댓글
존 로빈스 [ John Robbins ]
존 로빈스(John Robbins)는 세계 최대의 아이스크림 기업인
배스킨라빈스의 상속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이스크림을 비롯한
각종 유제품과 축산물에 대해 감춰졌던 진실을 폭로한 환경운동가.로
지은 책으로는 『육식 건강을 망치고 세상을 망친다』, 『음식혁명』 등이 있다.
존 로빈스는 갈수록 사람들은 자신이 늙는 것을 외면한 채
더 젊어지려고 한다. 덕분에 인간의 평균수명이 점점 더 길어지고 있지만
현대인들은 생의 10%가 넘는 시간을 질병에 시달릴 뿐이다.
존 로빈스는 이 책에서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정력적이고 활기 있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존 로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