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가짜 약(僞藥)을
의미하는 단어인 placebo(프라시보)입니다
인터넷에 나오는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입니다
☕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위약 효과(僞藥效果)는 심리학 및 의학 분야의 용어로, 효과가 없는 약제를
진짜 약으로 생각하고 섭취하였을 때 환자의 증상 또는 병세가 호전되는 현상이다
대표적인 예로 임상실험의 대조군에 아무 효과도 없는 약(포도당 등)을 처방했을 때
그 중 일부에서 보이는 호전 반응을 들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내가 기쁘게 해주지(I shall please)’
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플라세보'로, 14세기 즈음엔 죽은 사람들을 위한
저녁 기도문에쓰였다고 한다 이는 한국어로 '위약(僞藥)',
즉 가짜 약으로 번역된다. |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도
우리말로 풀어보면 재밌습니다
“(가짜약을) 팔았어삐 (결과를) 내삤다”가 되겠지요
유명인터넷에도 어원은 없었습니다
바로 세계의 언어들을 찾아 봤습니다
그런데 전혀 다른 뜻인데도
같이 들어 있네요
이런 경우는 거의 대부분 우리말의 발음으로
비슷한 경우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발음도 우리말, 의미도 우리말
이렇게 풀어져야 진짜 영어가 한글이겠지요
결국 “죽은 이를 위한 저녁기도”는
“(죽은 자를) 불렀어삐”가 되고
“위약(僞藥)”은
“(가짜 약을) 팔았어삐”가 됩니다
“아첨(阿諂)”은
“(입에) 발렸어삐”가 되네요
희한합니다
어쩜 우리말과 발음과 뜻이 비슷한 지
“영어는 이렇게 우리말입니다”
세계의 언어들도 자기네 언어들이 없는지
아니면 현대어라서 그런지 별 단어가 없네요
이럴 때일수록 영어는 우리말이라서
한꺼번에 풀어지는 것이 참 재밌습니다
아니면 제가 착각을 하는 것일까요?
그런데 이런 가짜약으로 긍정적인 생각이
만들어져 병이 낫는 것은
우리들이 가진 창조력 때문이랍니다
3234. placebo (프러씨보, 위약, 아첨,
죽은 이를 위한 저녁기도):
1. (죽은 자를) 불렀어삐
(⇒ 죽은 이를 위한 저녁기도)
2. (가짜 약을) 팔았어삐 (⇒ 위약(僞藥))
3. (입에) 발렸어삐 (⇒ 아첨(阿諂))
* 라틴, 남아프리카,
크로아티아, 체코,
덴마크, 네덜란드,
프랑스, 튀르키예,
헝가리, 이탈리아,
노르웨이, 그리스,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독일: placebo [프러씨보⇒ 가짜 약]
((가짜 약을) 팔았어삐)
* 핀란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튀르키예: plasebo [플라쎄보⇒가짜약]
((가짜 약을) 풀었어삐)
* 베트남: giả dược [자 즈억⇒ 가짜 약(假藥)]
(가(짜로) 지으까?)
* 일본: 僞藥(にせやく) [니세야꾸⇒ 가짜 약]
(위약)
* 중국: 安慰劑 [안웨이치⇒ 가짜 약]
(안위제)
* 한국: 위약(僞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