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녘 어부들이 개척한 뱃길의 역사
임병식
오래전부터 여수 지방에는 노동요 술비소리가 전해온다. 이 소리는 주로 여수 거문도와 초도 어부들이 어구용 밧줄을 꼬거나 배를 부릴 때 불러온 소리다. 지금도 그 맥이 끊기지 않고 이어져 오고 있다. 이 노동요는 가락도 어기차지만 듣고 있노라면 여간 흥이 돋고 힘이 솟는 게 아니다.
이 노래가사에는 이 지역 뱃사람의 역사가 담겨 있다. 옛날 멀리 울릉도와 독도까지 나아가 뱃길을 열고 어장을 개척한 숨결이 담겨 있는 것이다.
에헤야 술비야/어기영차 뱃길이야
울고 간다 울릉도야/알고 간다 아랫녘아
(중략 )
돛을 달고 노니다가/울릉도로 향해 가면
고향 생각 간절하다
울릉도를 가서 보면/에헤야 술비야
좋은 나무 탐진 미역/구석구석 가득 찼네.
이 노랫말에서처럼 거문도와 초도 사람들은 일찍이 울릉도와 독도로 배를 타고 나가 고기를 잡고 좋은 목재를 실어 왔던 것이다. 동력선도 없던 시절에 어떻게 그 먼 곳까지 진출하여 뱃길을 열고 어장을 개척했을까. 놀랍기만 하다. 그때는 풍선이라고 해도 돛조차 시원치 않았을 때가 아닌가. 그럼에도, 망망대해를 누빈 것은 풍향을 꿰뚫어 본 것은 물론, 뛰어난 항해술을 갖추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당시의 항해술을 유추해 볼 수 있는 단서가 있다. 거문도 초도 사람들은 옛날부터 생존전략으로서 항해술을 익히지 않으면 아니 되었다. 그것은 지리적으로 손죽도와 거문도 사이의 바다가 워낙 풍랑이 드세어 그곳을 건너자면 대단한 단련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런 단련이 자연스레 독자적인 항해술도 발전시키고 진취성도 키워 주었던 것이다.
이 밖에도 울릉도를 드나든 물적 증거는 지금도 초도 마을에 고스란히 남아있다. 1880년대에 지어진 김충석가(家 -현 여수시장)가 있는데, 그 집의 마루 벽이 여느 나무와는 달리 두터운 판목으로 짜야져 있는 것이다. 인근에는 그만한 목재가 나는 곳이 없는 것을 고려하면 이게 어디서 가져왔는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지 않은가.
그뿐만 아니다. 또 다른 증거로는 독도(獨島)라는 지명을 들 수 있다. 전라도에서는 보통 돌덩이를 보고 ‘독’이라고 하는데 독도라는 이름이 붙은 것도 ‘돌섬’이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아무튼, 먼 뱃길 개척의 역사는 흥미롭기만 하다. 그 먼 곳까지 가는 데는 전적으로 풍향을 이용하여, 겨울철은 샛바람이나 높새바람이 불어오므로 바람을 맞서게 되는 그 시기는 피하고, 하늬바람이나 마파람이 부는 봄철에 떠났을 것이다. 그리고 항해 코스는 지금도 많이 이용하는 손죽도와 소리도를 거쳐, 경상도 욕지와 부산의 절영도를 통해서 올라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울릉도와 독도는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는 더 해산물이 풍부했을 것이다. 특히 울릉도는 수목도 울창하여 질 좋은 목재도 마음껏 가져올 수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고기잡이뿐 아니라 나무를 실어오는데도 힘을 써 튼튼한 집을 지을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전해오는 말로는 이때 향나무도 함께 베어왔는데 이것은 제수로 귀한 대접을 받아 몇 배 이문을 남겼다고 한다.
문헌에 보면 조선은 수 세기 동안 섬을 비워 두는 공도(空島)정책을 폈다. 태종 때부터로 왜구의 침탈을 막고 군역을 피하거나 죄를 짓고 숨어드는 자를 막기 위해서였다. 그 어간을 이용하여 거문도 어부들이 어장을 개척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일본은 노략질을 그치지 않았다. 자국에서 인기가 있던 강치(바다사자)를 잡으려고 몰려들었다. 당시 일본에서 강치는 인기 품목이어서 가격이 무려 소 열 마리 값에 이르렀다고 한다. 소가 15엔일 때 강치는 무려 200엔을 호가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잡아간 강치의 숫자가 자그마치 일만 사천여 마리나 되었다는 것이다. 그들의 자료에 나와 있는 숫자이다.
이처럼 매력적인 어장이었는데 어찌 욕심을 내지 않겠는가. 마침 그들은 기회를 잡았다. 러일전쟁에서 승리하자 동해를 장악하고 마각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그 일련의 행위가 1905년 독도를 시마네 현에 편입시키고 다께시마라고 영유권을 주장하기에 이른 것이다.
하나 이것은 명백한 침범이다. 그들이 둘러대기를 조선의 공도 정책도 스스로 자국 땅이 아님을 공표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하지만, 어처구니없는 괴변이다. 술비소리가 관리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지 않은가. 우리 어부들이 꾸준히 지켜온 터전임을 노래가사는 담아 두고 있지 않은가. 그런 점에서 볼 때 거문도 어부들의 바다 개척의 역사는 의미가 남다르다 하지 않을 수 없다.
돌이켜보면 거문도는 특이한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 러시아가 남하정책을 펴며 해양을 지배하려 들자 영국은 이를 저지하기 위해 동양 함대를 이 섬에 출동시켰다. 그만큼 역사의 고비 고비를 증언하는 지역이라고나 할까.
일본의 의도적인 도발은 이미 망발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이런 자료 하나하나를 잘 갈무리하여 반박의 논리로 대비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노동요야말로 당시 사람들의 애환과 함께 삶의 역사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또 다른 사료이므로. (2010)
첫댓글 일본놈들이나 중공놈들이나 싸가지들이 없다...우리나라 만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