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 위치 및 면적 |
북위 31˚14', 동경121˚29'에 위치한 상해시는 태평양 서안과 아시아 대륙의 동해안에 면해 있으며 동쪽으로 황해(黃海),남쪽으로 항저우만(杭州湾),북쪽으로 장강 하구(长江入海口)에 인접해 있다. 총 면적은 6,340㎢(서울의 10배임)으로 행정구역은 18개 구와 1개의 현이 있다. |
2) 지형 및 기후 |
서남쪽에 적은 면적의 구릉과 산맥이 있는 지역 외 대부분지역이 평원(장강 삼각주 충적 평원의 일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지세를 이루고 있으며 평균 해발 4m, 상해에서 제일 높은 산인 다이진산(大金山)이 해발 103.4m이다. 하천은 황푸강(黄浦江)과 지류인 수저우강(苏州河)、추안양강(川扬河)、디앤푸강(淀浦河)이 있는데 황푸강은 타이호우(太湖)에서 발원하여 길이 113㎞, 평균 폭 369m로 흐르며 하천과 호수유역 면적은 697㎢로 총 면적의 11%를 차지한다. 대체적으로 북아열대 계절풍 기후이며 全市 연 평균 기온은 17.4˚C, 연 평균 강수량은 931.2㎜이다. |
3) 자연·관광 자원 |
상해는 역사가 유구한 문화도시로 중국의 당, 송, 원, 명, 청조 유물과 원림을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상해시에는 16개의 전국문물보호단위 및 114개 시문물보호단위가 있다. |
4) 인구 및 경제 |
 상해시의 총 인구는 1,778만, 인구 밀도는 2,804명/㎢이며, 전국에서 처음으로 인구 자연성장률이 감소한 성급 행정구로서 인구의 자연 성장율은 -1.5‰로 1993년 이래 연속 11년째 감소 추세에 있다. 유동인구는 418만 명으로 2004년 대비 72만 명 감소했다. '05년 국내생산총액은 미화 1,143억$로 '05년 1인당 GDP는 미화 6,428$로 홍콩, 마카오, 대만을 제외한 중국 대륙지역 제1위를 차지했다. 제조업, 현대서비스업, 고신기술 산업을 발전 母?막?한 상해시?재정 수입은 512억US$(한화 43조)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으며 ‘05?외국직접투자 허가프로젝트는 4,091건으로 전년 대비 5.6% 감소하였고, 외자투자액은 미화 138억$로 전년 대비 24.3% 증가를 보였다. |
 |
 |
1) 면적 및 인구 |
1990년 4월 18일 푸동구를 개발구로 개방하며 성장하기 시작한 푸동신구는 면적 556㎢(18,380만평)에 상주인구는 24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
2) 입지여건 |
구분 |
내용 |
푸동국제공항 |
- 연 이용객은 연인원 2,000만 명.
- 화물수송량은 75만 톤.
|
지하철 |
|
자기부상열차 |
- 사업기간 2001년 3월 2일 ~ 2002년 12월 31일.
- 시속 430km, 푸동국제공항까지 8분 노정.
|
항 구 |
- 2002년 죽이?출입량은 800만TEU.
- 무한, 중경 등 내륙지방으로 통하는 내륙 항로가 있음.
|
 |
3) 경제 |
2002년 GDP는 1,251억 위안(RMB)으로 그 성장률은 19.6%에 이르며 1인당 GDP는 미화 4,800$이다. 2002년까지 외국기업투자액 누적 미화 436억$(실제 이용액 미화 191억$)였으며 무역수출액은 미화 136억$이다. 입주 기업을 살펴보면 2002년까지 8,479개 외국기업이 입주하였고 세계 500강 기업체 중 174개가 푸동신구에 입주해 있는 상태이다. 한국기업 또한 90여개 업체가 이 지역에 진출해 있고 푸동 신구의 주요업종으로는 전자산업, 소프트웨어, 생물의약 등이 있다. 또한 40개 대학교와 1,600개 연구소에 전문기술인재 140만 명은 이 지역의 풍부한 인력 자원의 공급처 역할을 하고 있다. 푸동신구는 향후 2010년까지 15%이상의 GDP 연평균 성장률 보장과 함께GDP 4,000억위안(RMB) 창출 및 1인당 GDP 미화 20,00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4) 중점개발구역 |
구분 |
내용 |
류쟈주이(陸家嘴)금융무역구 |
- 면적 28㎢(926만평)
- 272개 입주기업 중 외국은행 61개.
|
장쟝하이테크공단(張江高科技園區) |
- 면적 25㎢(826만평)
- 외국기업투자액 미화 65억$, 중국기업투자액 109억 위안(RMB).
|
진챠오수출가공구(金橋出口加工區) |
- 면적 20㎢(661만평)
- 527개 입주기업의 투자액 계 미화 102$.
|
와이가오챠오보세구(外高橋保稅區) |
- 면적 10㎢(331만평)
- 외국기업 투자액 미화 65억$.
- 주요기능은 수출가공, 저장, 물류 등
| |
 |
 |
1) 위치 및 면적 |
동경 121.29°, 북위 31.15°에 위치한 상해항은 중국 대륙 해안선 중부, 장강의 남쪽에 면해있고 장강어구 황포강내, 상해시에 있으며 남,북해안선의 중심에 있다. 총면적은 3,618㎢로 그중 수면면적이 3,613㎢, 육상구역면적이 5㎢로 구성되어 있다. 항구 연안선 길이는 280㎞, 그중 황포강내 120㎞, 장강 남안선부터 항주만까지 길이가 160㎞이다. |
2) 자연환경 |
풍향은 동남풍이 많이 불고 서풍과 동북풍도 있으며 연강수량은 1,143㎜, 연강수일자는 128.8일이다. 연평균기온은 15.3℃이며 최고기온은 40.2℃, 최저기온은 -12.1℃이다. |
3) 중요성 |
상해항은 중국의 제1항구로서 상해 수출입 총물자의 60%와 상해항구무역 수출입 물자의 99%를 담당한다. 1984년 화물 물동량이 1억 톤을 초과하여 세계 대규모 항구중의 하나가 되었다. 1978년 컨테이너 업무가 상해에서 시작되어 매년 30%의 증가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상해항은 세계 200여개 국가와 지역의 500여개 항구와 600여개 해상 운송회사와 관계를 맺고 있다. 2010년 화물 물동량은 2.8억톤, 2020년에는 3.2억 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
1) 구역 구분 |
상해 린강 신도시 계획은 시내, 중장비산업구역, 물류단지, 주요산업구역 및 종합구역 다섯 도시로 나뉨과 동시에 니성, 서원, 만상, 노조항 이렇게 네 개 지역으로 나누어 계획되었다. 각각 지역은 기능별로 시가지, 중장비 산업구역, 현대물류단지, 주요산업구역, 종합구역으로 나눠진다.
 |
시가지(Harbor New City) |
시가지는 린강 신도시 동남쪽에 위치하며, 대양산항, 소양산항과 바다를 두고 서로 마주하고 있다. 독일 GMP 사의 설계방안을 도입하여 74평방 킬로미터 면적에 거주인구 45만 명, 5.6평방 킬로미터의 적수호를 중심으로 하는 도시종합생활서비스지역으로 계획되었다. 연호(沿湖)는 고리형 및 방사형으로 외곽으로 뻗어나가 “일호삼환 (一湖三环)” 의 경관을 조성하도록 계획되었고 녹화율(绿化率)은 50 프로에 다다른다.
|
중장비산업구역(Heavy Equipment Manufacturing Zone) |
중장비 산업구역은 린강 산업구역 초기의 중점적 건설 부분지역으로 약 65평방킬로미터 면적으로 기획하였으며, 궤도교통설비, 선박관련물건, 물류장비, 자동차 등 선진, 종합, 완성형의 대형 전용 세트설비 제조항목을 중점적으로 발전 시켰다.
|
현대물류단지(Logistics Area) |
물류단지는 린강 신도시의 주요구성부분으로, 동해대교, 양산심수항 그리고 푸동국제 공항과 이웃하며, 면적은 18.7 평방킬로미터, 주로 양산보세물류단지와 비보세 물류단지로 조성되었고, 2, 3차 산업의 고도융합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 국제물류서비스업이 주로 발전하였다. 단지 내에 전국 컨테이너 철로 센터 조차장, 항구 보조 작업구역, 내하(内河)중계운송구역 등 중요한 기초 시설들이 합리적으로 배치되어있어 海鐵연계운송, 해상환적수송, 복합연계운송 등의 방식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고, 더욱 효과적인 내륙과 항구의 물류접촉을 목표로 한다.
|
주요산업구역(Central Industrial Zone) |
주요산업구역은 101.6 평방 킬로미터 면적으로 기획되며 산업구조상 깊은 관련이 있는 중장비 산업구역과 전문적인 연계를 위해 형성되었으며 지역 산업들이 적절하게 연계될 수 있는 장비류 제조업을 핵심으로 하는 구역이다. 특히 광학전자제조와 IT 제조, 자동차부속품제조, 항공 부속품제조 및 수리 양성, 일반기계제조 등 오대기지를 건설하고 현대장비제조업을 증강시키고자 한다.
|
종합구역(Compositive Zone) |
종합구역은 면적 42.1 평방 킬로미터로 계획되며 공항, 임해골프장, 임해 삼림공원과 근접해 있다. 발달된 최신 기술 산업, 교육시설, 여가시설 등이 질서정연하게 배치 되도록 계획되었고, 정책상 국가급 최신기술단지로 적극적 지원을 받고 있다. 만상, 니성, 서원, 노조항 네개 부분 도시는 산업구역으로 융합시켜 20 평방 킬로미터 면적으로 기획, 주로 신도시의 현대적인 업무를 제공한다.
|
2) 교통 네트워크 |
수상교통 |
동해대교 |
 북쪽으로는 상해 남회 노조항, 沪芦고속도로와 이어져 있고, 남쪽으로 항주만 북부해역을 넘어 勞瀯援돈管?직통하는 전체 길이 31.5 Km, 왕복팔차선 고속도로로 지어진 심수항과 신도시를 잇는 해상통로이다.
도로와 철로를 둘 다 이용하는 동해2교도 현재 기획중이며, 양산국제심수항과 A30 도로와 연결된다. |
양산국제심수항 |

장강(长江) 입구 밖, 항주만 가에 위치하며, 대륙과 해안과의 거리가 겨우 31.5 Km로서, 국제원양항선과 104Km 거리이다. 수심 15.1m로 설계, 컨테이너 국제 중심항으로 건설되었고, 연간 물동량 2500 만 TEU 로 계획한다. 동해대교, 동해2교, 沪芦고속도로 및 주변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해중심도시지역, 장강(长江) 삼각주 , 연해항구와 중계운송을 한다.
|
기타 보조 항구 |
산업구역의 바다 쪽 강가부근엔 상당히 긴 해안선과 내하(内河)연안선이 있다. 발달된 천 톤급 내하 통로와 5천 톤급의 보조항구가 산업구역화물운송과 물자유통을 편리케 한다.
|
공중교통 |
푸동 국제공항은 4개의 남북향 4E 급 활주로와 80 만 평방미터의 공항터미널을 지어 여행객 인원 연간 이동량 7000만‐8000만 명, 연간 물동량 500만 톤, 연간 항공기 발착회수 32만 회로 기획한다.
|
육상교통 |
도로 |
구분 |
내용 |
沪芦고속도로 |
양산심수항과 상해중심도시구역을 연결 |
양항대로 |
푸동 국제공항과 양산심수항을 관통하며 단지내각기능구역의 주요 쾌속교통 간선도로를 연결 |
린강대로 |
시내 및 산업구를 A30 도로와 연결 | |
궤도교통 |
머지않아 곧 개통될 궤도교통 11번선 및 기획중인 자기부상열차는 상해중심도시에서 린강 신도시를 직통으로 잇는다.
|
철로 |
푸동철로를 주요 간선으로하여 푸동 국제공항과 외고교(外高桥)항구를 바깥으로 접하고, 산업구와 물류단지를 안쪽으로 연결, 서쪽으로는 금산직선을, 북쪽으로는 후닝(沪宁)선을 관통하여 전국의 철로망에 들어간다.
|
3) 시정(市政)의 특성 |
“데이터도시”, “생태도시” 의 요구에 맞추어 고기점(高起点), 고표준(高标准)을 고수하며 교통, 통신, 우편, 수도, 전기, 가스, 오염통제 및 상응하는 환경보전 기초 시설을 건설하여 질 좋은 자가 순환과 신진대사시스템을 형성하여 질 좋은 생산, 생활환경을 제공한다.
|
데이터화 |
지리 데이터 4D 화, 지도 데이터 3D화와 기획건설 VR 화의 데이터 도시구조를 초기에 형성한다.
|
생태화 |
 단지 내 주요 도로 양측 각종 10 - 50 미터 넓이의 녹지대를 지어 부분구역에 800 -‐1000 미터 기능성 격리 녹지대를 구축한다.
4대 지역 집중 도시 건설 용지 간에 린강 삼림을 건설하여 신도시 주위에 삼림지대를 구축하여 도시 내 사방에 분포된 공원과 녹지와 공동으로 다단계, 다색채, 다표층(板块)의 녹색 생태 원림을 형성하여 총 녹화율(绿化率)을 50 프로에 다다르게 한다. |
4) 인문과 자연환경 특성 |
린강 신도시의 기획설비는 21세기 신형 도시의 특징을 충분히 실현했다. 특히 개성 있고 과학적인 인문 환경은 괄목할 만하다. 상해해사대학, 상해수산대학 등 유명한 명문학교, 현대장비제조, 현대 물류, 고도의 기술업계의 국내외 지명 있는 기업 및 수많은 과학연구와 투자개발기구는 분명히 한 단계 더 신도시의 과학문화 수준을 높일 것이다. 이러한 건축과 고상한 인문의 조합은 린강 신도시를 진정한 미래 도시로 만든다. 린강 지역은 삼림공원, 동해농장, 만묘도원 등과 같은 여행자원과 대량의 습지, 임지, 해양 등 원시적인 생태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적수호, 해양 박물관, 유람선클럽 등 여가오락시설을 더 늘렸고, 국내외 투자자와 관광자에게 참신하고 독특한 이상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
5) 린강 신도시 중 거주구역(주거, 상업, 업무지구) |
린강 신도시의 기획설비는 21세기 신형 도시의 특징을 충분히 실현했다. 특히 개성 있고 과학적인 인문 환경은 괄목할 만하다. 상해해사대학, 상해수산대학 등 유명한 명문학교, 현대장비제조, 현대 물류, 고도의 기술업계의 국내외 지명 있는 기업 및 수많?과학연구와 塚微낱薩瘦릿?분명히 한 단계 더 신도시의 과학문화 수준을 높일 것이다. 이러한 건축과 고상한 인문의 조합은 린강 신도시를 진정한 미래 도시로 만든다. 린강 지역은 삼림공원, 동해농장, 만묘도원 등과 같은 여행자원과 대량의 습지, 임지, 해양 등 원시적인 생쩍첵뵀邦?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적수호, 해양 박물관, 유람선클럽 등 여가오락시설을 더 늘렸고, 국내외 투자자와 관광자에게 참신하고 독특한 이상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
랜드마크 건설 |
 적호수(滴水湖): 직경 약 2.66km, 호수면적 약 5.6 ㎢, 호수, 섬과 경관 3구역으로 조성되어 있다. |
구분 |
내용 |
호수구역 |
유람산업을 중심으로 각종 수상종목이 발전되어 있으며, 일반대중 및 회원들에게 이상적인 휴식공간과 수상스포츠의 장소를 제공한다. |
섬 구역 |
수상오락, 사무, 스포츠센터 등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크기가 서로 다른 북 서 남 3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
경과구역 |
80m 넓이의 경관구역은 거주주민 및 여행객들의 휴식과 사교활동을 할 수 있는 이상적인 장소이다. | |
공간계획 |
구분 |
내용 |
1환 |
도시생활 중심지구 호수구역 |
RBD레저업무지역은 도시에 활력을 넣는 중심으로, 친수휴식, 국제사무 중심이기도 하다. |
2환 |
도시공원 지구 |
ERD도시생태휴식지역은 도시에 녹색보호벽 역할로, 도시휴식의 생태적 역할을 한다. |
3환 |
거주 지역 및 기타 확대지역 |
CLD중앙거주지역은 도시의 생활중심, 호수근처의 휴양거주 중심 지역이다. | |
환경계획 |
구분 |
내용 |
물의도시 |
도시 내의 운하가 밀집되어 있고, 수운은 전체계획 지역의 10.8%를 차지하고 있으며, 호수를 중심으로, "3개의 링과 7개의 방사형 지역"의 형태로 도시가 조성되어 있다. |
녹색 도시 |
녹화 면적이 40% 이상으로, 녹지, 도시공원, 청수복도위주로 조성되어 있다. |
바다 도시 |
유럽의 현대식 경치의 현대적 해상항만도시를 지향 | |
교통계획 |
구분 |
내용 |
대외도로망 |
A2 후루고속도로, A30 링고속도로, 서남고속도로망이 시 중심까지 직통으로 연결되며, 후닝, 후항고속도로는 강소성, 절강성으로 연결된다. |
선로교통 |
R11 시내를 통과하는 시가지 철도라인이 2009년 개통예정이다. |
시가지교통 |
환형 + 반사형 4개의 순환도로와 7개 주 도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지역 간에 직접 연결된다. |
수 로 |
조성단지에 수로망이 서로 교차되어 있으며, 도시 각 지역?관통하고, 내하항로망과 연결되며, 북경항주 대운하를 거쳐서 강소성, 절강성 및 장강유역의 주요도시에까지 연결된다. |
동해대교/항운 |
린강 신도시와 양산심수항의 주요 연결선으로 계획된다. |
항 공 |
푸동국제공항에 이르는 대로와 린강 도로가 연결된다. |
철 도 |
푸동철도가 린강 신도시와 전국 철도망을 연결시킬 계획이다. | |
건설1기 계획 (2005~2010년) |
린강 신도시 조성단지는 2020년까지 계획이 잡혀 있고, 1기 건설은 조성단지에서 인접한 부채꼴형 구역을 이용하여 사무, 상업, 거주, 문화오락, 여행휴식, 교육연구의 주요 기능을 갖춘 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공사 후 3년이 지난 2005년에 1기 건설 법위 중 “7개 연결지점과 1단계 지역” 및 도시 기본기능의 조합건설, 환경건설과 중대한 기초설비의 건설을 완성하였고 2010년까지 생활환경의 아름다움, 교통의 편리, 도시배치의 합리, 유럽의 현대식 경치의 현대적 해상항만도시의 모형을 갖추고, 또한 계획에 따라 양산심수항, 린강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
구분 |
내용 |
2005년 |
- 동해대교 전 구간 준공 및 개통, 양산심수항 1기 5개 컨테이너 선석. 220만 TEU가 사용되며, 양산보세항 개항, 푸동철도1기공사의 개통, A2 는 시가지 직통한다.
- 린강 신도시와 조성단지의 개방, 조성단지 1기 계획 시작, 항구관련 산업, 제조업, 여행서비스업 등과 같은 산업인구와 이를 지원하는 행정관리업무인구가 입주하기 시작하였다.
- 동시에 1기 토지의 투자유치를 시작하여, 시장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였다.
|
2006년 |
- 양산심수항1기 운행, 2기 건설, 두개 항만의 대로 전면 개통
- 항구 관련 산업 집합, 현대설비산업 중대 유입
- 항만관련 산업은 각 분야의 산업인구와 사회사업인구의 대량유입을 선도하여, 상해해사대학의 2만 명의 학생들이 입주하였고, 먼저 입주한 주민과 유동성 여행인구의 증가로 전체인구가 약 5만 명으로 추정된다.
- 관광산업의 빠른 성장
- 1기 부동산 투자 전면실시, 시장 점차 활발
|
2007년 |
- 양산심수항 9개 선석 전천후 사용
- 항구관련 사업 초기규모는 현대설비제조단지를 핵심으로 한 산업단지가 초기 틀로 형성되어 있다.
- 항만 관련 산업 인구가 급격히 증가되고 단지 내 행정기관과 상해수산대학(학생 2만 명)의 입주가 이루어져 대학인구와 관광인구 및 거주인구를 합한 인구규모가 약 9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 도시구조와 완벽한 도시시설을 갖춘 건설 1기 지역의 형태가 완성될 것이며 도시 서비스 기능이 잘 갖추어져 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 |
 |
오늘날 상해는 개혁개방과 경제성장, 그리고 세계화 시대의 주류로 성장한 현대 중국의 대표적인 모습이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푸동?위치한 勺?건물과 다국적 기업의 광고 문구들은 아시아 최고의 비즈니스 센터로 육성하고자 하는 중국의 비전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중국은 상해의 천혜적인 입지 여건과 정책적 뒷받침으로 상해시를 국제적인 물류 거점도시로 육성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새로이 조성 되는 린강 신도시 역시 세계적 비즈니스 도시의 입지를 더?확고히 하려는 맥락에서 이해 될 수 있다. 특히 寧?해야 할 점은 린강 신도시 조성단지 과정에서 상해시정부는 정부 및 사회사업부문에 사업 진출로 시장을 선도하여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심어줌으로써 정책적인 뒷받침뿐만 아니라 계획의 실행에 있어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