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정관사 ‘a’와 기수 ‘one’은 ‘an’의 클론(clone: 복제) 3: 전치사 역할 부정관사 질문 1. 순수 부정관사 ‘a(n)’을 코스프레하는 ‘부사 역할 a(n)’ 질문 2. 순수 정관사 ‘the’를 코스프레하는 ‘전치사 역할 the’ ※ 한국의 엉터리 영문법 교육은 이제 그만! ※ 이글은 “부정관사 ‘a’와 기수 ‘one’은 ‘an’의 클론(clone: 복제) 1/2”의 속편입니다. ‘전치사 역할 a(n)’라는 용어는 우리 평생교육원 출신의 학습자들에게는 대단히 친숙한 그러나 대부분의 한국 영어 학습자들에게는 생소한 용어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참고로 이 용어는 1980년대 초부터 강의에서 사용해온 용어로 1 988년에 출판된 『김성봉 TOEFL』에서부터 계속 제시되어온 용어입니다. 이 용어를 도입한 이유는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a’와 ‘an’이 두 가지 어원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입니다. 그중 하나는, “부정관사 ‘a’와 기수 ‘one’은 ‘an’의 클론(clone: 복제) 1/2”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고대영어에서 ‘하나’라는 뜻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수 ‘ān’에서 비롯된 한정사 역할을 하는 순수한 부정관사 ‘a(n)’입니다. 다른 하나는 고대영어에서 ‘토대’의 의미를 지니는 ‘on’을 의미하였던 전치사 ‘an’에서 비롯된 것으로 부정관사 ‘코스프레(cosplay: costume+play)’하는 ‘a’와 ‘an’입니다. 전자는 “부정관사 ‘a’와 기수 ‘one’은 ‘an’의 클론(clone: 복제) 1/2”에서 충분히 설명을 드렸기 때문에 여기서는 후자에 관해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부정관사 ‘코스프레(cosplay: costume+play)’하는 ‘a’와 ‘an’은 원래 시간 표현 앞에 사용되었던 것이 확대되어 다양한 측정 표현 앞에 사용되게 된 것으로 모든 경우에 있어 이러한 ‘a(n)’ 대신에 전치사 ‘p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다음과 같은 사실에 주의할 필요도 있습니다. ‘ten dollars a/ per day’와 같은 측정 구에서 a/ per 대신 one/ each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다음과 같이 고쳐 쓰기를 하여야만 합니다. ten dollars for one/ each day (하루당 10달러) 그러나 ‘빈도부사 a/ per 측정단위’ 구문에서 a/ per 대신 바로 each/ ever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twice a/ per/ each/ every day 1일당 2회, 하루 2회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the’도 두 가지 어원에서 비롯됨으로 말미암아 순수한 한정사 역할을 하는 정관사 ‘the’와 정관사 ‘코스프레(cosplay: costume+play)’하면서 비교급 표현 앞에 사용되는 ‘부사 역할 the’도 있습니다. |
관련 게시물 부정관사 ‘a’와 기수 ‘one’은 ‘ān’의 클론(clone: 복제) 1 부정관사 ‘a’와 기수 ‘one’은 ‘an’의 클론(clone: 복제) 2 http://cafe.daum.net/ksbac/PgWy/148 |
첫댓글 '물론 ~ 입니다'라는 표현이 맘에 듭니다.
기억을 도와주는 방의 열쇠라고나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