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지도론 제79권
66. 촉루품(囑累品)을 풀이함
【經】 그때 석제환인이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제가 이와 같이 말하고 이와 같이 대답하는 것은 법에 수순하여 바르게 대답한 것인지요?”
부처님께서 석제환인에게 말씀하셨다.
“교시가야, 그대가 말하는 것과 대답하는 것은 실로 모두 법에 수순하고 있느니라.”
석제환인이 말씀드렸다.
“희유한 일입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께서 원하는 대로 자유자재하게 말하는[樂說] 것은 모두가 바로 공이 되고 무상(無相)ㆍ무작(無作)이 되며 4념처(念處)가 되고 나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가 됩니다.”
부처님께서 석제환인에게 말씀하셨다.
“수보리 비구가 공을 수행할 때는 단바라밀(檀波羅蜜)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단바라밀을 행하는 사람이겠느냐?
나아가 반야바라밀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사람이겠느냐?
4념처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4념처를 닦는 사람이겠느냐?
나아가 8성도분(聖道分)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8성도분을 닦는 사람이겠느냐?
선(禪)ㆍ해탈(解脫)ㆍ삼매정(三昧定)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선ㆍ해탈ㆍ삼매정을 닦는 사람이겠느냐?
부처님의 10력(力)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부처님의 10력을 닦는 사람이겠느냐?
4무소외(無所畏)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4무소외를 내는 사람이겠느냐?
4무애지(無礙智)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4무애지를 내는 사람이겠느냐?
대자대비(大慈大悲)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대자대비를 수행하는 사람이겠느냐?
18불공법(不共法)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18불공법을 내는 사람이겠느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 사람이겠느냐?
일체지(一切智)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일체지를 얻는 사람이겠느냐?
여래(如來)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여래가 되는 사람이겠느냐?
생함이 없는 법[無生法]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생함이 없는 법을 증득하는 사람이겠느냐?
32상(相)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32상을 얻는 사람이겠느냐?
80수형호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80수형호를 얻는 사람이겠느냐?
왜냐하면 교시가야, 수보리 비구에게는,
온갖 법이 여의는 행[離行]이요
온갖 법이 얻을 것이 없는 행[無所得行]이며,
온갖 법이 공의 행[空行]이요
온갖 법이 모양이 없는 행[無相行]이며,
온갖 법이 지음이 없는 행[無作行]이기 때문이니라.
교시가야, 이것을 바로 수보리 비구의 행한 바이니,
보살마하살의 반야바라밀의 행에 비교한다면 백 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천 분ㆍ천만억 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며, 나아가 산수(算數)와 비유(譬喩)로도 미치지 못하느니라.
왜냐하면 부처님의 행을 제외하면 이 보살마하살이 행하는 반야바라밀은 성문이나 벽지불의 모든 행보다도 가장 높고 가장 미묘하며 맨 위이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보살마하살이 온갖 중생 가운데서 맨 위가 되려 하면 마땅히 이 반야바라밀의 행을 행해야 하느니라.
왜냐하면 교시가야,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할 때에는 성문이나 벽지불의 지위를 지나 보살의 지위에 들어가서 부처님의 법을 두루 갖추고 일체종지를 얻으며 온갖 번뇌의 습기(習氣)를 끊고 부처님이 되기 때문이니라.”
이 모임 안에 있던 모든 삼십삼천의 하늘들은 하늘의 문다라(文陀羅)꽃을 부처님과 승가에 뿌렸다.
이때 8백의 비구가 자리에서 일어나 꽃을 부처님께 뿌리며 오른 어깨를 벗어 메고 합장하고 오른 무릎을 땅에 대고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저희들은 마땅히 성문이나 벽지불이 행할 수 없는 이 위없는 행[無上行]을 행하겠습니다.”
그때 부처님께서는 모든 비구들의 마음의 작용을 아시고 곧 빙그레 웃으셨다.
모든 부처님의 법에서와 같이 부처님의 입 안에서 청색ㆍ황색ㆍ적색ㆍ백색ㆍ홍색ㆍ옥색의 갖가지 빛이 나와 삼천대천세계를 두루 비추고 도로 돌아와서는 부처님을 세 바퀴 돌아 정수리로 들어갔다.
그때 아난이 오른 어깨를 벗어 메고 오른 무릎을 땅에 대고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무슨 인연 때문에 빙그레 웃으셨는지요?
모든 부처님께서는 까닭이 없으면 웃지 않으십니다.”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 8백의 비구는 성수겁(星宿劫) 동안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것이며, 부처님의 명호는 산화(散華)라 하고 모두 동일한 이름으로 부를 것이니라.
비구승들의 세계와 수명은 모두가 똑같으며 저마다 10만 년을 지나고 출가하여 부처님이 되리니, 이때 모든 세계에는 항상 오색의 하늘 꽃이 비 내릴 것이니라.
그러므로 아난아, 보살마하살이 맨 위의 행을 행하고자 하면 반야바라밀을 행해야 하느니라.”
부처님께서는 이어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행한다면 이 보살은 인간에서 죽어서 여기에 와 태어났고 또 도솔천(兜率天) 위에서 죽어서 여기에 와 태어났나니, 그는 인간에서나 도솔천 위에서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널리 들었는 줄 알아야 하느니라.
아난아, 나는 이 모든 보살마하살들이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잘 행하는 것을 보고 있느니라.
아난아, 만일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듣고 받아 지니면서 읽고 외우고 가까이하며 바르게 기억하면서 더욱 다시 반야바라밀로 보살의 도를 행하도록 가르친다면,
그 보살은 면전(面前)에서 부처님으로부터 깊은 반야바라밀을 들었고 나아가 가까이하였으며 또한 모든 부처님을 따르면서 선근을 심은 줄 알아야 하리니,
그 선남자ㆍ선여인은 생각하기를,
‘우리들은 성문으로서 심은 선근이 아니며 또한 성문으로부터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들은 것도 아니다’고 해야 하느니라.
아난아, 만일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받아 지니면서 읽고 외우고 친근하며 뜻을 따르고 법에 따라 행하고 있으면 이 선남자ㆍ선여인은 곧 눈앞에서 부처님을 뵙게 될 줄 알아야 하느니라.
아난아, 만일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듣고 믿는 마음이 청정하여 무너뜨릴 수 없으면,
그 선남자ㆍ선여인은 일찍이 모든 부처님께 공양하고 선근을 심었으며 선지식(善知識)을 만난 줄 알아야 하느니라.
아난아, 모든 부처님의 복밭[福田]에 선근을 심으면 비록 거짓이 아니요 반드시 성문이나 벽지불이나 부처님이 되어서 해탈을 얻게 된다 하더라도 마땅히 깊고 분명하게 6바라밀 내지는 일체종지를 행해야 하느니라.
아난아, 만일 보살이 깊고 분명하게 6바라밀 내지는 일체종지를 행하는데도 이 사람이 성문이나 벽지불의 도에 머무르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지 못한다는 일은 있을 수조차 없느니라.
그러므로 아난아, 나는 반야바라밀을 너에게 부촉(付囑)하느니라.
아난아, 네가 만일 반야바라밀을 제외한 그 밖의 온갖 법을 받아 지니면서 혹은 잊거나 잃는다 해도 그 허물은 아주 작아서 큰 죄는 없거니와, 아난아, 네가 반야바라밀을 받아 지니다가 만일 한 구절이라도 잊어버리면 그 허물은 심히 크니라.
아난아, 네가 만일 깊은 반야바라밀을 받아 지니다가 뒷날 도로 잊어버리면 그 죄야말로 매우 많으니라. 그러므로 아난아, 너에게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부촉하는 것이니, 그대는 잘 받아 지니어 읽고 외우면서 이익되게 하여야 하느니라.
아난아, 만일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반야바라밀을 받아 지니면 곧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받아 지니는 것이 되느니라.
아난아, 만일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지금 나에게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면서 꽃과 향과 영락ㆍ도향(擣香)ㆍ택향(澤香)ㆍ의복ㆍ번기 및 일산으로 공양하려 하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받아 지니면서 읽고 외우고 해설하며 친근하고 공경하고 존중하고 찬탄하면서 꽃과 향 내지는 당기ㆍ번기로써 공양해야 하느니라.
아난아, 반야바라밀에 공양하는 것은 바로 나에게 공양하는 것이요 또한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이니라.
만일 어떤 선남자ㆍ선여인이 깊은 반야바라밀의 설법을 듣고 믿는 마음이 청정하면서 공경하고 좋아하게 되면 곧 믿는 마음이 청정하면서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을 공경하고 좋아하는 것이니라.
아난아, 그대는 부처님을 좋아하면서 버리거나 여의지 않으려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좋아하고 공경하면서 버리거나 여의지 말 것이니라.
아난아, 깊은 반야바라밀을 한 글귀에 이르기까지도 잊어버리지 않도록 해야 하느니라.
아난아, 나는 부촉할 인연이 매우 많건만 지금은 다만 간략하게 말할 뿐이니, 마치 내가 세존(世尊)인 것처럼 반야바라밀도 역시 세존이니라.
그러므로 아난아, 갖가지의 인연으로 너에게 반야바라밀을 부촉하는 것이니라.
아난아, 지금 나는 온갖 세간의 사람과 하늘과 아수라 가운데서 너에게 부촉하는 것이니,
모든 부처님을 버리지 않고 법(法)을 버리지 않고 승가[僧]를 버리지 않으며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버리지 않고자 하면,
부디 반야바라밀을 버리지 말아야 하느니라.
아난아, 이것이 바로 내가 제자를 교화하는 법이니라.
아난아, 만일 선남자와 선여인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받아 지니면서 읽고 외우고 해설하고 바르게 기억하며,
다시 다른 사람들에게도 갖가지로 그의 뜻을 널리 해설하면서 열어 보이고 널리 펴고 분별하면서 알기 쉽게 한다면,
이 선남자ㆍ선여인은 신속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며 신속히 살바야에 가까워지느니라.
왜냐하면 반야바라밀 가운데에서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내기 때문이니라.
아난아, 과거와 미래의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모두가 반야바라밀 가운데서 나오고,
지금 현재 동방ㆍ남방ㆍ서방ㆍ북방과 네 간방과 위ㆍ아래에 계신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도 반야바라밀 가운데서 나오느니라.
그러므로 아난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면 마땅히 6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
왜냐하면 아난아, 6바라밀은 바로 보살마하살의 어머니여서 모든 보살을 낳기 때문이니라.
아난아, 만일 어떤 보살마하살이 이 6바라밀을 배우면 모두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것이니,
그러므로 나는 6바라밀을 갑절 더 그대에게 부촉하는 것이니라.
아난아, 이 6바라밀은 바로 모든 부처님의 그지없는 법장(法藏)이니라.
아난아,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현재 설법하시는 것도 모두가 6바라밀의 법장에서 나오느니라.
과거의 모든 부처님도 역시 6바라밀 가운데서 배워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셨고,
미래의 모든 부처님도 역시 6바라밀 가운데서 배워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실 것이며,
현재의 모든 부처님도 역시 6바라밀 가운데서 배워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시느니라.
과거ㆍ미래ㆍ현재 모든 부처님의 제자도 모두가 6바라밀 가운데서 배워서 멸도(滅度)하게 되나니, 멸도를 이미 얻었고 지금 얻으며 장차 얻을 것이니라.
아난아, 그대는 모든 성문들을 위해 설법하여 삼천대천세계 안의 중생으로 하여금 모두 아라한의 과위를 증득하게 하여도 오히려 아직 나의 제자로서의 할 일을 못한 것이거니와,
네가 만일 반야바라밀과 상응하는 한 글귀로써 보살마하살에게 가르쳐 주면 그것이야말로 나의 제자로서 할 일을 한 것이요 나도 또한 기뻐하나니,
삼천대천세계 안의 중생을 가르쳐서 아라한의 과위를 증득하게 하는 것보다 뛰어나기 때문이니라.
다시 아난아, 이 삼천대천세계 안의 중생들이 앞도 없고 뒤도 없이 한꺼번에 아라한의 과위를 증득하고 이 모든 아라한이 보시(布施)의 공덕과 지계(持戒)ㆍ선정(禪定)의 공덕을 행하면 이 공덕이 많겠느냐?”
아난이 말씀드렸다.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아난아, 그것은 어느 한 제자가 반야바라밀과 상응한 법으로써 보살마하살에게 하루 동안만이라도 설하여 받는 복보다는 못하느니라.
하루 동안은 그만두고 한나절만이라도,
아니 한나절은 그만두고 한 식경(食頃)만이라도,
아니 한 식경은 그만두고 잠깐 동안만이라도 설하게 되면 그 얻는 복은 매우 많으니라.
왜냐하면 보살마하살의 선근이 온갖 성문이나 벽지불보다 더 뛰어나기 때문이니라.
보살마하살이 자신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려 하고 또한 다른 사람에게도 보여 주고[示] 가르쳐 주고[敎] 이익되게 하고[利] 기쁘게 하면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하려 한다면,
아난아, 이러한 보살이 6바라밀을 행하고 4념처를 행하며, 나아가 일체종지를 행하면서 선근을 더욱 늘어나게 하는데도,
만일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지 못한다면 이런 일은 있을 수 없느니라.”
이 「반야바라밀품(般若波羅蜜品)」을 설하실 때에 부처님께서는 4중(衆) 안에 있는 하늘ㆍ사람ㆍ용ㆍ귀신ㆍ긴나라ㆍ마후라가 등의 대중 앞에서 신족 변화(神足變化)를 나타내시어 그 온갖 대중들에게 모두 아촉불의 비구승에게 에워싸여 대중에게 설법하고 계신 것을 보이셨으니, 대중은 마치 큰 바닷물과 같았다.
모두가 그들은 아라한이어서 누(漏)가 다하여 번뇌가 없고 모두가 자재함을 얻었으며, 마음의 해탈[心解脫]과 지혜의 해탈[慧解脫]의 좋은 해탈을 얻어 그의 마음이 마치 큰 코끼리처럼 조화되고 부드러웠다.
할 일을 다 마치고 자기의 이익을 체득하였으며, 모든 유결(有結)을 다하고 바른 지혜로써 해탈을 얻었으며, 온갖 마음과 마음에 속한 법[心心數法] 안에서 자유자재했다.
그리고 모든 보살마하살은 한량없는 공덕이 성취되어 있었다.
그때 부처님께서 신족을 거두시자 온갖 대중들에게 다시는 아촉불의 성문의 사람들과 보살마하살들 및 그 세계가 보이지 않았으니, 그것은 눈으로 대(對)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부처님께서 신족을 거두셨기 때문이다.
그때 부처님께서는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와 같이 아난아, 온갖 법은 눈으로 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법은 법을 서로 보지 못하고 법은 법을 서로 알지 못하느니라.
이와 같이 아난아, 마치 아촉부처님의 제자와 보살과 세계는 눈으로 대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처럼,
아난아 온갖 법은 눈으로 대할 수 있는 것이 아니어서 법은 법을 서로 알지 못하고 법은 법을 서로 보지 못하느니라.
왜냐하면 온갖 법은 아는 것도 없고 보는 것도 없으며 짓는 것도 없고 움직이는 것도 없으며 붙잡을 수도 없고 생각할 수도 없어서,
마치 환술로 만든 사람에게는 느끼는 것도 없고 깨닫는 것도 없고 진실한 것도 없는 것과 같기 때문이니라.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행하는 것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요 또한 모든 법에 집착하지도 않는 것이니,
아난아, 보살마하살이 이와 같이 배우는 것을 바로 반야바라밀을 배운다고 하느니라.
모든 바라밀을 얻고자 하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나니,
왜냐하면 이와 같이 배우는 것을 바로 첫째가는 배움[第一學]이요 맨 위의 배움[最上學]이며 미묘한 배움[微妙學]이라 하기 때문이니라.
이와 같이 배우면 온갖 세간을 안락하게 하고 이익되게 하며, 수호해 줄 이 없는 이에게 수호자가 되어 주느니라.
이것이 바로 모든 부처님께서 배우신 것이니, 모든 부처님께서는 이 배움 가운데 머무르면서 오른손으로 삼천대천세계를 들어 올렸다가 도로 본래 있던 곳에 놓아 둔다 하셔도 이 안에 있는 중생으로서 깨닫거나 아는 이가 없느니라.
왜냐하면 아난아, 모든 부처님께서는 이 반야바라밀을 배우시므로 과거ㆍ미래ㆍ현재의 법 가운데서 장애 없는 지견[無礙智見]을 얻기 때문이니라.
아난아, 반야바라밀은 모든 배움 가운데서 가장 높고 첫째가며 미묘하고 위없느니라.
아난아, 만일 어떤 사람이 반야바라밀의 맨 끝[邊際]을 얻고자 하면 허공의 맨 끝을 얻고자 하는 것이니,
왜냐하면 아난아, 반야바라밀에는 한량이 없기 때문이니라.
나는 처음부터 반야바라밀의 한량은 말하지 않았나니, 이름[名衆]ㆍ구절[句衆]ㆍ글자[字衆]에는 바로 한량이 있거니와 반야바라밀에는 한량이 없느니라.”
아난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반야바라밀에는 무엇 때문에 한량이 없는지요?”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반야바라밀은 다함이 없기[無盡] 때문에 한량이 없으며, 반야바라밀은 여의기[離] 때문에 한량이 없느니라.
아난아, 과거의 모든 부처님께서는 모두가 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도를 얻었지만 반야바라밀은 짐짓 다하지 않았고 미래 세상의 모든 부처님도 역시 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도를 얻을 것이나 이 반야바라밀은 짐짓 다하지 않을 것이며,
현재의 모든 시방의 부처님도 모두 이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도를 얻지만 반야바라밀은 짐짓 다하지 않나니, 이미 다하지 않았고 지금도 다하지 않으며 장차에도 다하지 않을 것이니라.
아난아, 반야바라밀을 다하려고 한다면 허공을 다하려고 하는 것이니라.
반야바라밀은 다할 수 없으니, 이미 다하지 않았고 지금도 다하지 않고 장차에도 다하지 않을 것이니라.
선바라밀 내지는 단바라밀도 다할 수 없으니 이미 다하지 않았고 지금도 다하지 않고 장차에도 다하지 않을 것이니라.
나아가 일체종지도 또한 그러하나니,
왜냐하면 이 온갖 법은 모두가 생함이 없기[無生] 때문이니라.
만일 법에 생함이 없다면 어떻게 다함이 있겠느냐?”
그때 부처님께서 혀로 얼굴을 덮으시는 모양[舌相]을 내보이시고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오늘부터는 4중(衆) 가운데서 반야바라밀을 널리 연설하고 열어 보이고 분별하면서 분명히 알기 쉽게 해야 하느니라.
왜냐하면 이 깊은 반야바라밀 가운데서는 모든 법 모양[法相]을 널리 말했기 때문이니,
여기에서 성문이나 벽지불을 구하고 부처님을 구하는 이는 모두 이 가운데서 배워야 하며 배운 뒤에는 각기 성취하게 되느니라.
아난아, 이 깊은 반야바라밀은 곧 온갖 글자의 문[字門]이니라.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행하여 다라니문(陀羅尼門)에 들어가고 이 다라니문을 배워 모든 보살은 온갖 요설변재(樂說辯才)를 얻게 되느니라.
아난아, 반야바라밀은 바로 3세(世)의 모든 부처님의 미묘한 법이니라.
그러므로 아난아, 나는 너에게 분명히 알도록 말하는 것이니, 만일 어떤 사람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받아 지니면서 읽고 외우며 가까이하면 이 사람은 곧 3세의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능히 지니게 되느니라.
아난아, 나는 말하기를,
‘반야바라밀은 바로 수행하는 이의 발[足]이다’고 하노니,
그대는 이 반야바라밀의 다라니를 지니기 때문에 곧 온갖 모든 법을 지닐 수 있느니라.”
【論】
【문】 석제환인은 무엇 때문에 자신이 하는 말을 의심하면서, “저는 법에 수순해 바르게 대답하고 있습니까?”라고 말하는가?
【답】 석제환인은 일체지(一切智)를 지닌 사람이 아니다. 비록 그가 초도(初道)를 얻었다 하더라도 아직 3독(毒)을 다하지 못했고 오히려 착오(錯謬)가 있으므로 자신을 헤아리면서,
“내가 비록 복덕의 인연으로 모든 하늘의 주인이 되었고 또 성인의 도의 맛[道味]을 얻었다 하더라도 아직은 일체지가 있지 못하며 온갖 번뇌가 아직 다하지 못했으므로 하는 말에 혹은 착오가 있을 수 있는데도 나 자신이 깨닫지 못하고 있다.”라고 하나니,
이 때문에 묻는 것이다.
또 이 대중 가운데는 큰 아비발치 보살과 번뇌가 다한 아라한과 욕망을 여읜 하늘들이 있다.
이 모든 이들은 석제환인이 부처님이나 수보리와 함께 문답하면서도 마음에 겁을 내지 않는 것을 보고 생각하기를,
‘이 석제환인은 번뇌도 오히려 다하지 못했거늘 어떻게 문답하면서 모든 법의 끝[法邊]을 다할 수 있겠는가?’라고 한다.
석제환인은 이런 일 때문에 부처님께 묻는 것이다.
또 석제환인은 자신이 하는 말은 모든 법의 모양에 어긋남이 없음을 알고 있으므로 듣는 이로 하여금 믿고 가르침을 받게 하기 위해서 부처님의 인가(印可)를 구하는 것이며, 부처님께서는 곧 그의 말을 인가하신다.
【문】 부처님께서는 무엇 때문에 석제환인의 말을 인가하시는가?
【답】 석제환인은 비록 일체지를 지닌 사람은 아니지만 항상 부처님으로부터 듣고 있고 독송하는 힘이 강하다. 이 때문에 그가 하는 말이 도리에 맞으므로 부처님께서는 인가하시는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문혜(聞慧)와 사혜(思慧)와 수혜(修慧)의 세 가지의 지혜가 있다.”라고 말씀하신다.
어떤 사람은 문혜와 사혜로 분명히 알고 있기 때문에 수혜의 사람에게 묻고 따질 수 있다.
비유하건대 마치 배를 타고 파도의 흐름을 따라가면 자기의 힘을 사용하지 않아도 육지로 가는 것보다 빠른 것과 같다.
아난과 같은 이도 비록 아직 욕망을 여의지 못하고 매우 깊은 선정은 얻지 못하였지만 부처님이나 번뇌가 다한 아라한들과도 함께 논의(論議)하면 법에 맞아서 어긋남이 없다.
석제환인은 부처님께 말씀드리기를,
“세존이시여, 수보리는 공을 말하기 좋아하고 공을 교묘히 잘 말하는 것이 모든 제자 가운데서 맨 첫째입니다.
하는 말마다 모두가 공(空)ㆍ무상(無相)ㆍ무작(無作)으로 향해 나아가나니, 이른바 4념처로부터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이르기까지 이 법 안의 것은 모두 필경공(畢竟空)의 설과 합치됩니다.”라고 한다.
부처님께서는 석제환인에게 말씀하시되,
“수보리는 바로 필경공을 수행한 사람으로서 여러 세상에서마다 닦고 쌓은 것이요, 다만 이 세상에서만 쌓은 것이 아니다.
이 사람은 공해탈문(空解脫門)으로 도(道)에 들었고 또한 이 문으로써 중생들을 교화한 것이다.
이 사람이 깊은 공에 들어갔다면 그 법조차도 얻지 못하거늘 하물며 법을 행하는 사람이겠느냐?”라고 하시며,
경에서 말씀하셨듯이
“단바라밀(檀波羅蜜)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단바라밀을 닦는 사람이겠느냐?
나아가 80수형호(隨形好)도 얻을 수 없거늘 하물며 80수형호를 얻는 사람이겠느냐?
수보리가 행한 공의 행[空行]을 보살이 행한 공의 행에 비교하면 백 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느니라”라고 하신다.
【문】 법도 공하고 중생도 공한데 다시 어느 것에 다하지 않음[不盡]이 있기에 백 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하시는가?
【답】 부처님께서는 이 가운데서 친히 말씀하시되,
“부처님을 제외하고는 모든 성문이나 벽지불은 보살에 미칠 수 있는 이가 없다.”라고 하신다.
모든 법의 실상(實相)에는 여러 가지의 이름이 있나니,
혹은 공(空)이라 하기도 하고
혹은 필경공(畢竟空)이라 하기도 하며
혹은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이라 하기도 하고
혹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라 하는데 여기서는 모든 법의 실상을 말하여 공의 행이라 하고 있다.
마치 온갖 성문의 제자 가운데서는 수보리의 공행이 가장 뛰어나듯이 이와 같이 부처님을 제외하고는 모든 보살의 공행이 2승(乘)보다 더 뛰어나다.
왜냐하면 지혜의 분별에는 예리한 이와 둔한 이가 있어서 들어가는 데는 깊고 얕은 데가 있기 때문이니,
그 모두를 모든 법의 실상을 얻은 이라 하지만 다만 근기가 예리한 이가 더 분명히 얻을 뿐이다.
비유하건대 마치 어둠을 깨뜨리기 위해서 등불을 켜는 것이로되 더 큰 등불이 있으면 더욱더 밝아지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먼저의 등불이 비록 비추어 주기는 하나 아주 작은 어둠까지는 다하지 못하다가 만일 나중의 등불이 다해 주면 앞의 등불은 필요가 없는 줄 알아야 한다.
공을 닦는 이도 그와 같아서 비록 다 같이 도를 얻었다 하더라도 지혜에 예리하고 둔한 것이 있기 때문에 무명(無明)에도 다하고 다하지 않은 것이 있다.
오직 부처님의 지혜만이 모든 무명을 다할 뿐이다.
또 성문이나 벽지불은 자비로운 마음이 없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마음도 없으며,
부처님 세계를 청정하게 하는 것도 없고, 한량없는 부처님의 법도 없으며,
법륜(法輪)을 굴려서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원(願)도 없고, 또한 무여열반(無餘涅槃)에 들어가고 나아가 법을 남겨 주어 중생을 제도하는 일도 없으며,
3세(世) 동안 중생을 제도하겠다고 서원하는 마음도 없나니,
이른바 보살일 때와 부처님이 되실 때와 열반[滅度]할 때에 다만 공하다는 행[空行]만으로 보살들과는 같지 않다.
또 2승(乘)이 공을 얻는 것은 분수가 있고 한량이 있거니와,
모든 부처님과 보살에게는 분수도 없고 한량도 없나니,
마치 목마른 이가 강물을 마실 때에 만족하게 마시면 더 마시지 않는 것과 같다.
어찌 다 같이 공을 행한다 하여 차이가 없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또 털구멍에 나 있는 공간을 시방의 허공에 비유한다는 것은 이치로도 있을 수 없다.
이 때문에 부처님과 보살에게 비교하면 천만억 분의 1에도 미칠 수가 없다.
부처님께서는 이 공의 행을 분별하신 뒤에 석제환인에게 말씀하시되,
“만일 온갖 중생 가운데서 맨 위가 되는 이가 되고자 하면 반야바라밀을 행해야 한다.”라고 하신다.
이 가운데서 부처님께서는 친히 그 인연을 말씀하시면서,
“보살은 이 반야바라밀의 공의 행을 배우면서도 공한 모양을 취하지 않기 때문에 두 지위[二地]를 지나 무생법인을 얻고 보살의 지위에 들어가며,
보살의 지위에 들기 때문에 부처님의 법을 두루 갖춘다.
부처님의 법이 바로 보살의 도이며 보살의 도를 두루 갖추기 때문에 일체종지를 얻게 되고,
일체종지를 얻기 때문에 부처님이라 하며, 온갖 번뇌의 습기(習氣)를 끊는 사람이니,
이러한 모든 일은 공의 행이 그 근본이 된다.”라고 하신다.
【문】 열반은 한량없는 것이거늘 무엇 때문에 2승이 얻는 것은 한량이 있다고 하시는가?
【답】 지혜에 분수가 있고 한량이 있다고 말한 것이지 모든 법의 법성(法性)에 한량이 있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큰 물[大水]에 대한 비유를 듣지도 못했는가?
그 그릇에 한량이 있을지언정 물에 한량이 있는 것이 아니다.
또 한량 있다[有量]는 것과 한량없다[無量]는 것은 상대하는 법[相對法]이어서 범부에게는 이것이 한량이 없다 해도 부처님께서는 모두 한량이 있게 된다.
이를 테면 그러한 분한을 지닌 이는 바로 수다원이요 나아가 그러한 분한을 지닌 이는 바로 아라한이며 벽지불이요 보살이지만,
그 밖의 나머지까지 다한 법성(法性)을 지닌 이가 바로 부처님이다.
그때에 모임 안에 있던 모든 하늘은 하늘의 만다라꽃을 부처님과 다른 이들에게 뿌렸으니, 경 가운데서의 설명과 같다.
【문】 꽃은 부처님과 승가[僧]에게 뿌린 것이거늘 이 8백의 비구들은 무엇 때문에 독차지하여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인가?
【답】 모든 하늘이 뿌린 꽃은 모든 비구들이 분배하여 가질 것이다.
옷 위에 떨어진 꽃이 그 빛깔과 향기가 몹시 묘한 것을 보고 그로 인해 마음을 내어
부처님께 공양하고 말씀드리기를,
“저희들은 오늘부터 이른바 필경공(畢竟空)과 무상(無相)ㆍ무작(無作) 등의 이 위없는 행을 행하겠습니다.
그것은 온갖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해서이며, 부처님의 말씀과 같아서 2승으로서는 미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라고 한다.
그때 부처님께서는 미소를 지으셨다.
이 미소 지으시는 뜻에 관해서는 「항가제바품(恒伽提婆品)」 가운데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 8백의 비구는 모두가 선지식(善知識)이어서 행이 동일하고 마음이 평등하며 여러 세상에서 함께 공덕을 닦고 쌓았기 때문에 일시에 부처님이 되고 모두가 동일한 명호로 불리게 된다.
오색의 하늘 꽃으로 부처님께 공양했기 때문에 세계 안에서는 항상 하늘의 오색 만다라꽃이 비내리는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이런 일로 인하여 반야를 찬탄하시면서 말씀하시되,
“아난아, 맨 위의 보살도를 행하고자 하면 반야바라밀을 행해야 한다.
아난아, 만일 어떤 선남자가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면 그 사람은 당연히 사람의 갈래[人道] 안에서 왔거나 혹은 도솔천(兜率天) 위에서 왔다고 알지니라”라고 하신다.
그것은 왜냐하면 3악도(惡道) 안에는 죄의 고통이 많기 때문에 깊은 반야를 행할 수 없고,
욕계(欲界)의 하늘들은 맑고 묘한 5욕(欲)에 집착하여 마음이 미혹되어 있는지라 행할 수 없으며,
색계(色界)의 하늘들은 선정의 맛[味]에 깊이 집착하기 때문에 행할 수 없고,
무색계(無色界)는 형상이 없기 때문에 행할 수 없으며,
귀신 갈래[鬼神道]에서는 눈의 감관 등은 예리하지만 모든 번뇌가 마음을 덮고 있기 때문에 깊은 반야를 전일하게 행할 수 없다.
사람의 갈래 안에서는 고통이 3악도와는 틀리고 즐거움은 모든 천상보다는 못하며,
눈 등의 모든 감관은 혼탁하고 몸은 땅의 요소[地種]가 많기 때문에 고통과 안락에 대한 뜻을 억제하면서 반야를 행한다.
도솔천 위에서는 항상 일생보처(一生補處)의 보살이 있으므로 그 안에 있는 모든 하늘은 항상 반야의 설법을 듣고 있어서 5욕이 비록 많기는 하나 법력(法力)이 뛰어나다.
이 때문에 두 군데서 왔다고 말하는 것이며, 또 그 밖의 다른 곳에 있는 부처님의 세계에서 오기도 하고 또는 이 세간의 반야바라밀이 있는 곳에서 오기도 한다.
다시 말씀하시기를,
“아난아, 만일 부처님 도를 구하는 어떤 이가 능히 묻고 능히 믿으면서 받아 지니고 나아가 바르게 기억하면 그런 사람을 부처님께서는 항상 불안(佛眼)으로써 보고 계시는 줄 알아야 하느니라.
이런 모든 사람들은 생각하기를,
‘우리들은 곧 눈앞에서 부처님으로부터 받고 부처님을 좇아 발심하며 선근을 심을 것이요, 2승으로부터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고 해야 한다.”라고 하시며, 또한
“아난아, 만일 어떤 사람이 믿는 마음이 청정하여 파괴할 수 없는 이면 그 사람은 전생에 한량없는 모든 부처님을 공양하였고 선지식의 수호를 받았기 때문에 받고 지닌 줄 알아야 한다.”라고도 하신다.
【문】 부처님을 보(寶)라고 부르기도 하고 위없는 복밭[無上福田]이라 부르기도 한다. 만일 사람이 부처님을 좇으면서 선근을 심는다면 반드시 3승(乘)의 법으로써 열반에 든다 함이 거짓이 아니리라.
마치 법화(法華) 같은 데서는 말씀하시되,
“어떤 사람이 혹은 한 송이 꽃이나 조그마한 향으로써 부처님께 공양하거나 나아가 한번 나무불(南無佛)하고 부르기만 하여도 이러한 사람들은 모두 부처님이 되리라”라고 하셨다.
만일 그렇다면 어떤 사람은 생각하기를,
“다만 다섯 가지 바라밀만을 행하면서 부처님이 되고자 할 때도 공을 관찰하거늘 무엇 때문에 항상 알기도 어렵고 얻기도 어려운 반야바라밀의 공행(空行)을 행할 필요가 있겠는가?”라고 할 것이다.
【답】 이런 일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친히 대답하시되,
“아난아, 부처님의 복밭 가운데서는 비록 거짓이 아니요 반드시 3승을 얻어서 열반에 든다 하더라도 마땅히 분명하게 6바라밀 내지는 일체종지를 행해야 하느니라.
분명하게 행하기 때문에 신속히 부처님 도를 얻고, 나고 죽는 괴로움을 얼마 받지 않나니, 반야에는 이와 같은 등의 이익과 공덕이 있기 때문에 행해야 하는 것이니라.
아난아, 반야에는 이와 같은 공덕과 이익이 있으므로 나는 너에게 부촉하느니라”라고 하신다.
【문】 부처님께서는 탐내는 것이 없으시며, 나아가 일체종지의 부처님께서는 장애 없는 해탈로 청정하고 미묘하여 모든 부처님의 법조차도 오히려 탐내지 않으신다.
그런데 마치 탐내고 애석히 여기는 듯 무엇 때문에 반야바라밀을 은근히 아난에게 부촉하시는가?
【답】 모든 부처님께서는 중생을 이익되게 하기 위하여 세간에 출현하시며,
32상(相)과 80수형호(隨形好)와 한량없는 광명과 신족 변화를 나타내시는 것도 모두가 중생을 이익되게 하기 위해서이다.
제일 중생을 이익되게 하는 것으로는 반야바라밀보다 더한 것은 없나니, 그것은 모든 괴로움을 다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 반야바라밀은 언어(言語)와 문자(文字)와 장구(章句)로 인하여 그 뜻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반야의 경전으로써 아난에게 간절하게 부촉하시는 것이다.
또 어떤 사람은 부처님께서 은근히 부촉하시는 것을 보고 그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큰 일을 마치셨다.”라고 하면서 오히려 반야를 존중하게 된다.
이 법이야말로 반드시 존귀하고 반드시 미묘하다.
비유하건대 마치 큰 부자인 장자(長者)가 목숨을 마치려 할 적에 여러 보물을 아들에게 물려주면서,
특별히 여의보주(如意寶珠)를 은근히 부촉하며 말하기를,
“그대는 이 보물이 일정한 빛깔과 바탕이 없고 허공과 같이 미묘하여 알기 어렵다 하여 수호하지 않는 일이 없어야 한다.
그 밖의 다른 보배는 잃어도 괜찮지만 이 보배만은 잃어서는 안 된다.”라고 한 것과 같다.
큰 부자인 장자는 바로 부처님이시니,
반야바라밀을 아난에게 부촉하시면서,
“그대는 잘 받아 지니면서 수호하며 망실(忘失)하는 일이 없게 하라”라고 하시는 것이다.
반야바라밀을 제외하고 비록 12부경(部經)을 모조리 다 잃어버리는 일이 있더라도 그 허물은 오히려 적거니와 만일 반야의 한 구절이라도 잃어버리면 그 허물은 너무도 크다.
왜냐하면 이 깊은 반야의 법장(法藏)은 바로 시방 3세의 모든 부처님의 어머니여서 사람들로 하여금 부처님 도에 신속히 이르게 하기 때문이다.
경 가운데서 말씀하시되,
“3세의 모든 부처님께서는 모두가 반야로부터 되시는 것이며, 나아가 성문의 사람들을 위해서도 법을 설하셨다.”라고 한 것과 같으니,
그 가운데서는 모두 이 반야의 일을 칭찬하고 있는 것이다.
【문】 법을 설하여 삼천대천세계의 중생으로 하여금 모조리 아라한이 되게 하는 것이 어떻게 반야의 한 글귀를 보살에게 가르쳐 주는 것보다 못하다고 하시는가?
【답】 이런 일에 대해서는 앞에서도 대답했지만 이제 다시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이 삼천대천세계 안의 중생이 비록 모두가 아라한이 되었다 하더라도 자기 자신만을 제도하고 있으므로 부처님이 되기에는 알맞지 않거니와,
만일 반야의 한 글귀라도 말하면 듣는 이가 부처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치 사람들이 여러 가지 과일나무를 심는다 해도 어느 한 사람이 한 그루의 여의수(如意樹)를 심어서 사람들의 소원에 따라 뜻대로 모두 얻게 하는 것보다는 못한 것과 같다.
또 성문을 위해 설해진 법 가운데는 대자대비의 마음이 없거니와,
대승법(大乘法) 가운데의 한 글귀는 비록 적다 하더라도 대자비가 있으며,
성문법 가운데는 모두가 자기 자신만을 위한 것이거니와,
대승법 가운데는 중생을 널리 위하고 있다.
성문법 가운데는 모든 법을 널리 알겠다는 마음이 없고 다만 늙고 병들고 죽는 것만을 빨리 여의려고 할 뿐이거니와,
대승법 가운데는 온갖 법을 분명히 알려고 한다.
그러므로 성문법의 공덕에는 한량이 있거니와 대승법 가운데는 모든 공덕을 남김없이 다하려 하나니, 대승ㆍ소승에는 이러한 등의 차별이 있다.
비유하건대 마치 금강(金剛)이 비록 작다 하더라도 온갖 보배보다 뛰어나므로 작다고 말할 수 없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삼천대천세계 안의 아라한의 복덕이 많다 해도 반야의 한 글귀를 하루나 잠깐 동안이라도 보살에게 가르쳐서 그 복이 매우 많은 이보다는 못하다는 것이다.
이 가운데서 부처님께서는 친히 그 인연을 말씀하시면서,
“이 사람은 자기자신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려 하면서 또한 다른 사람에게도 얻게 하며, 자기 자신이 6바라밀의 모든 공덕을 행하면서 또한 다른 사람에게도 설하여 주나니,
보살이 이 두 가지 것의 공덕을 쌓는데도 부처님 도를 얻지 못한다는 일은 있을 수 없느니라”라고 하신다.
그때 부처님께서는 이 일을 분명히 알게 하시려고 증거를 이끌어 내고 또한 온갖 법이 공하다는 것을 증명하려 하시면서도 이 공한 법에 집착하지도 않고 다만 중생을 가엾이 여기어 그 때문에 부촉하실 뿐이다.
아촉부처님[阿閦佛]의 대중의 장엄(莊嚴)은 눈의 대상이 되지 못하듯이,
온갖 법이 눈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것도 또한 그와 같다.
육안(肉眼)과 천안(天眼)으로 보는 것은 모두가 짓는 법이어서 거짓이요 진실하지 않으며,
혜안(慧眼)ㆍ법안(法眼)ㆍ불안(佛眼)은 모두가 모양이 없고[無相] 무위의 법[無爲法]이기 때문에 볼 수가 없다.
만일 볼 수 없다면 또한 알 수도 없는 것이니,
지음이 없는[無作] 것도 또한 그와 같다.
보았던 아촉부처님의 모임은 마치 허깨비와 같고 꿈과 같은 것이니,
이와 같이 모든 법을 관찰하는 것을 바로
“보살이 반야를 행한다.”라고 하며
“집착하는 것이 없다.”라고 한다.
부처님께서 부촉하신 것도 집착하는 것이 없되 다만 큰 자비 때문에 이 반야를 찬탄하실 뿐이다.
온갖 법은 비록 불가사의(不可思議)라 하더라도 중생들을 이익되게 하기 위하여 찬탄하면서 말씀하시되,
“아난아, 이와 같이 배우면 반야를 배우는 것이니, 만일 온갖 모든 바라밀을 얻고자 하면 반야바라밀을 배워야 하느니라”라고 하시니,
이와 같은 등은 경에서 자세히 말씀하신 것과 같다.
부처님께서는 한량없는[無量] 것으로써 반야를 찬탄하신다.
부처님의 지혜는 다할 수 없고 반야의 공덕도 또한 다할 수 없다. 왜냐하면 반야바라밀은 한량없는 모양[無量相]이기 때문이다.
이름[名衆] 등이나 언어(言語)와 장구(章句)와 권수(卷數)에는 한량이 있는 것이어서 『소품(小品)』ㆍ『방광(放光)』ㆍ『광찬(光讚)』 등과 같은 반야바라밀의 경전의 장구에는 분한이 있고 한량이 있거니와 반야바라밀의 이치[義]에는 한량이 없다.
아난은 묻기를,
“반야바라밀은 어찌하여 한량이 없습니까?”라고 하자,
부처님께서는 대답하시되,
“반야바라밀의 모양은 스스로 여읜[離] 것이니, 여의기 때문에 본래부터 생기지도 않고[不生] 쌓이지도 않으며[不集] 생기지도 않고 쌓이지도 않기 때문에 다하지도 않고[不盡] 소멸하지도 않느니라[不滅]”라고 하신다.
이 가운데서 부처님께서는 친히 그 인연을 말씀하시면서,
“과거의 한량없는 아승기의 모든 부처님과 그 제자들은 이 반야바라밀로써 시방을 환히 비추셨고 한량없는 중생을 제도하여 모두가 함께 무여열반(無餘涅槃)에 드셨는데도 반야바라밀은 본래 다하지 않나니, 미래와 현재도 또한 그와 같으니라”라고 하신다.
비유하건대 마치 어떤 사람이 허공을 다하려 해도 허공은 다할 수 없는 것처럼,
반야바라밀 등의 모든 공덕 내지는 일체종지도 그와 같아서, 지금 다하지도 않고 이미 다하지도 않았으며 장차도 다하지 않을 것이다.
어떤 사람은 과거는 다하지 않은 줄 알면서도 미래와 현재는 다함이 있다고 여기고 있나니, 이 때문에
“3세는 다할 수 없다.”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모든 법은 본래 생함이 없거늘 어떻게 다함이 있겠는가?
부처님께서는 반야는 진실로 다함이 없는[無盡] 줄 알면서도 이름과 언어와 장구 등은 다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부촉하신 것이다.
마치 사람이 향유(香油)가 든 병을 자제(子弟)에게 부촉함은 비록 병은 아끼지 않는다 하더라도 향유를 잘 받아 지닐 수 있게 하기 위함인 것과 같다.
말[言語]이 이치를 지니는 것도 그와 같아서 만일 언어를 상실하게 되면 그 이치를 얻을 수 없다.
그때 부처님께서는 사람들에게 반야를 믿고 받게 하기 위하여 설상(舌相)을 내시어 얼굴을 덮으시고 아난에 말씀하시되,
“나는 지금 4중(衆) 가운데서 그대에게 반야를 부촉하나니, 그대는 중생들을 위하여 해설하고 드러내 보이며 분별하면서 알기 쉽게 해야 하느니라”라고 하신다.
혀를 나타내신 까닭은 세간의 상법(相法)에 혀가 코를 덮을 수 있으면 거짓말을 하지 못할 상(相)이라 한다.
그러니 하물며 얼굴을 덮을 수 있는 혀이겠는가?
그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중생들에게 보이시면서,
“나는 부모에게서 몸을 받을 때부터 이런 혀의 상(相)을 지니고 있다.
반야바라밀을 그대들에게 믿고 이해하게 하려고 하나, 그대들이 아직 일체지(一切智)를 얻지 못하여 두루 알지 못하므로 그대들로 하여금 믿게 하려고 하는 일이요, 일부러 신통의 힘으로 드러낸 것이 아니니라.
부처님께서는 매우 깊은 묘한 법과 지혜ㆍ선정 가운데서조차 오히려 집착하지 않거늘 하물며 세간의 8법(法)으로 공양과 이익 때문에 속임수를 쓰겠느냐?
온갖 법 가운데서 마치 새가 허공을 날듯 걸릴 것이 없건만 다만 중생을 제도하겠다는 본래의 서원과 대비의 마음[大悲心]으로 온갖 중생을 가엾이 여기는 까닭에 이 첫째가는 이익인 반야바라밀을 간절히 그대에게 부촉할 뿐이니라”라고 하신다.
다시 ‘아난아, 이 깊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이는 온갖 문자다라니(文字陀羅尼)에 들어가느니라’고 했는데,
한 문자로 인하여 곧 필경 공에 들어가는 것을 문자다라니라 하니, 앞의 다라니 가운데서 말한 것과 같다.
모든 문자의 법은 모두가 반야바라밀로 인하여 얻어지며, 그 밖의 문지(聞持) 등 모든 다라니도 역시 모두가 반야바라밀을 배우는 데서 얻게 된다.
보살은 모든 다라니를 얻은 뒤에 갖가지의 요설변재(樂說辯才)를 얻어 한량없는 아승기겁 동안 한 글귀를 해설하여도 그 뜻을 다할 수 없나니, 이것을 바로 3세의 모든 부처님의 진실한 법[眞法]이라 하며 다시는 다른 법이 없다.
다시 말씀하기를,
“아난아, 반야는 바로 시방 3세 모든 부처님의 묘한 법이어서 마치 하나의 문이 있는 성(城)과 같이 사방에서 온 이가 다른 문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느니라.
아난아, 나 이제 너를 위하여 분명하게 말하노니,
만일 어떤 사람이라도 반야바라밀을 받아 지니면 비단 나의 법을 받아 지닐 뿐만 아니라 이 사람은 3세의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받아 지닌 것이니라.
아난아, 이 반야바라밀을 나는 곳곳에서
‘이것은 바로 수행하는 이의 발이다.’라고 말하였나니,
그것은 왜냐하면 보살이 이 반야바라밀을 얻어서 보살의 길을 가기 때문이니라.
아난아, 그대는 이 반야바라밀의 다라니를 얻기 때문에 온갖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법을 지닐 수 있느니라”라고 하신다.
【문】 문지(聞持)다라니의 힘 때문에 지닐 수 있거늘, 무엇 때문에 반야를 얻기 때문에 온갖 모든 부처님의 법을 지닐 수 있다고 하시는가?
【답】 문지다라니는 분수도 있고 한량도 있는 법으로서 세간에도 이런 법이 있다. 예컨대 수시마(須尸摩) 외도 같은 이도 문지다라니를 얻는다.
이런 사람은 비록 잠시 동안 얻기는 하나 오래되면 잃어버리거니와 반야바라밀로부터 다라니를 얻으면 모든 법을 널리 받아 지니면서 끝내 잃지 않나니, 이런 데에 차별이 있다.
【문】 반야는 그것이 곧 바라밀(波羅蜜)이거늘 무엇 때문에 다라니라 하시는가?
【답】 모든 법의 실상(實相)은 바로 반야로되 갖가지로 중생을 이익되게 하고 사랑하며 호념(護念)하기 때문에 갖가지의 이름이 붙여진다.
마치 부처님에게 10호(號) 등의 문자가 있는 것처럼 반야바라밀에서도 역시 그와 같다.
온갖 모든 지혜의 끝에 이르게 되므로 이것을 바로 반야바라밀이라 하고,
보살이 반야를 행하여 부처님이 되신 뒤에는 이름을 바꾸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한다.
만일 소승(小乘)의 마음속에 있으면 다만 37품(品)이요 3해탈문(解脫門)이라 할 뿐이거니와,
만일 사람이 얻어 듣고 잊지 않으려 하면 이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것을 다라니라 한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는 여의주(如意珠)의 비유를 말씀하셨나니,
그것은 앞에 있는 물건의 빛깔에 따라 그 이름이 변하기 때문이다.
부처님께서는 이와 같이 갖가지로 반야의 큰 공덕을 말씀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