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소리
- 추성부도를 만나다
송보영
메마른 붓끝이 스치듯 넘나든다. 노옹의 손에 들려진 가슬가슬한 붓끝이 먹물 한 모금으로 갈渴 한 목을 축이고 무채색 종이 위를 휘도는가 싶더니 성근 수풀들이 일렁인다. 옹이가 듬성듬성 박힌 휘어진 고목들이 모습을 드러내고 앙상한 잔가지 끝에 떠나기 싫어 머뭇거리는 마른 잎들이 드문드문 매달린다. 갈바람 소리에 화답이라도 하려는지 학 두 마리가 목을 길게 빼고 입을 벌린 채 하늘을 본다. 조락의 계절 대숲 수런거리는 스산한 동산에 있는 초옥 한 채 가년스러운데 달빛 처연한 방 안에 앉아 글을 읽는 이 그는 누구이며, 무채색의 종이 위에 춤을 추듯 갈필을 휘날리며 가을 소리를 불어넣는 이 그는 누구인가.
둥근 창을 통해 비치는 달빛을 벗하며 글을 읽던 연로한 시인<구양수>은 비바람이 몰려와 쇠붙이에 부딪는 소리 같기도, 전쟁터에서 사람과 말들이 달려가는 것 같은 소리가 나는 것 같아 동자에게 나가서 살펴보라 한다. 동자는 ‘별과 달이 밝을 뿐, 인적은 없고 소리는 나무 사이에서 납니다.’라고 대답한다.
무미건조한 동자의 대답에 노老시인은 “아 슬프도다. 이것은 추성秋聲(가을소리)이다. 어찌하여 오는 것인가. 가을 모습이란 그 빛깔은 참담하여 마른 잎이 흩날리고 그 모습은 맑으며 깨끗하다. 하늘은 높고 햇살은 맑으며 그 기운은 차가워 사람의 살갗을 파고들고, 그 뜻은 쓸쓸하여 산천이 고요하다. 가을의 소리는 처절하고 울부짖고 외치는 듯하다. 초록은 감정이 없건만 때가 되니 바람에 흩날려 떨어지는 도다. 사람은 영혼이 있는 존재로 온갖 근심이 마음과 육체를 수고롭게 한다. 까맣던 머리가 백발이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을.”
인생의 저문 시간에 서 있는 시인 <구양수>가 가을과 맞닥뜨린 소회를 표현한 글이다. 시린 아름다움을 동반한 시 한 편이 조선의 풍속화가 3대 장인 중 한 사람인 단원 <김홍도>의 가슴에 녹아들어 그의 섬세한 붓끝을 통해 불후의 산수화 김홍도필추성부도金弘道筆秋聲賦圖, 시의도詩意圖가 탄생했다.
여름의 막바지 어느 수집가의 초대전에서 마주한 산수화 한점이 시공간을 뛰어넘어 내게로 와 발길을 붙잡는다. 세월의 흔적이 덧입혀져 색이 바래 오히려 더욱 깊은 향내를 머금은 채 나를 맞이한다. 내 안에서 파열음이 인다. 연로한 화공의 붓끝이 휘돌며 그려낸 스산한 가을 풍경 속에 시인이 전하고자 했던 노년의 비애와 죽음을 앞둔 단원의 심회가 절절하게 다가온다. 이건 생의 막바지를 견뎌내는 이들의 회한과 겸허함, 아쉬움이 뒤섞인 부르짖음 아닌가.
화폭을 직시한다. 나의 시선은 휘어지고 구부러졌을지언정 바람에도 쓰러지지 않고 버텨내는 나목들에 닿는다. 성근 수풀들이, 메마른 가지1들이, 구불구불한 고목들이 토해내는 곡진한 소리를 듣는다. 왠지 그 부르짖음이 고통의 소리를 넘어 처연하지만 아름다운 소리로 환치되어 들림은 어떤 연유일까. 주어진 삶을 성실히 살아낸 결과물이 아닌가 싶어서다. 좀 구불거린들 옹이가 있은들 어떠하랴. 곧게 자란 나무의 무늬는 직선을 이루지만 구불거리며 자란 나무의 무늬는 물결을 이루며 아름다운 무늬가 되지 않던가.
나는 지금 추성의 때를 지나 삭풍의 중심에 서 있다. 생의 터널을 지나는 동안 수많은 계절이 내 안을 훑고 지나갔다. 내게 허락된 사계 중 심고 가꾸고 열매를 맺는 뜨거웠던 날들은 이미 세월의 뒤안길로 사라져갔다. 더러는 알곡을 거둘 때도 있었고 쭉정이가 많을 때도 있었다. 돌이켜보면 나름, 삶의 기본 원칙을 벗어나지 않으려 애써온 날들이었지만, 삶의 뒷면을 보면 소낙비와 우레를 견뎌내느라 상처로 얼룩진 곳이 너무 많다. 지워버리고 싶어 몸살을 앓았던 벌레 먹은 흔적들로 구멍이 숭숭 나 있는 곳도 있다. 지고 갈 수 없는 짐을 지고 가느라 휜 등은 여전히 아프다. 이런 나를 어찌할 것인가.
예고 없이 다가온 노老시인은, 아 그것은 인생 말미에서 나는 소리구나! 어찌하여 왔는가. 안타까워하면서도 쇠붙이도 아니면서 늘 푸른 초록과 경쟁하려 하는가. 자연의 섭리를 겸허히 받아들이라며 일갈한다. 그것들은 네 삶의 역사이니 보듬고 가라 한다. 얼마일지 모르지만, 아직도 남은 삶이 기다리고 있으니 단단해지라 한다. 불길에 휩싸여 타버리고 부서져 내린 뒤 남은 등걸처럼 단단해지라 한다. 구불거리며 견뎌낸 시간만큼 수용의 폭도 넓어질 터이니 쉼을 얻고 싶어 하는 이들이 깃들 수 있는 쉼터가 되라 한다.
가을의 초입, 산책길 하천 변에 느닷없이 벚꽃이 피었다. 어쩌자고 때도 모르고 피었는가. 지난봄 한번 피었으면 족하지 무슨 미련이 남아서 조석으로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데 다시 피었는지 모를 일이다. 너무 안쓰러워 지나치지 못하고 자꾸 눈길이 간다. 바라보며 주절거린다. 너를 집으로 데리고 갈 수도 없고 어찌하면 좋으냐고. 내 안에서도 시도 때도 없이 자잘한 욕망이 꿈틀거린다. 때가 늦었음을 알고 있으면서도 툭툭 불거져 나와 가슴을 흔들어댄다. 참 물색없다. 때도 모르고 핀 저 꽃과 나는 참 많이 닮았다. 그도 나도 안쓰럽다. 그럼에도 그 물색없음을 사랑한다. 구부러지고 휜 고목 그 너머의 것을 유추하고자 하는 근원일 터라서다. 그것들이 나를 살게 하는 힘인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