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호와 황산에서 사랑을 배우다 / 한정숙
8월 말 퇴임 동기 네 명이 자축하는 식사 중에 40여 년의 직장 생활을 마치고 새로운 2 막을 시작하는 행사로 가 본 적 없으나 다녀온 사람들의 추천을 많이 받았던 중국 황산을 오르기로 하였다. 마침 코로나 이후 닫혔던 무안공항이 열리고 10월까지 황산 가는 전세기를 띄운다고 하니 기회가 좋았다.
9월 27일 오후에 출발하여 10월 1일 오후 늦게 도착하는 4박 5일의 황산, 항주, 서체를 돌아보는 일정이다.
우리가 속한 무안 연합팀 스물 한명은 황산에 도착하여 전용 버스로 숙소로 이동하여 첫날을 보냈다. 2일 차엔 황산 리브레 리조트 호텔에서 세시간 30분 거리 항주의 서호와 청대의 거리를 재현한 청하방 옛 거리를 구경하고 3일 차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중국의 고촌 서체를, 4일 차엔 이번 여행의 제1 목적지 황산을 등정한다. 마지막 날엔 휘주 고성과 박물관을 들러 황산 국제공항으로 이동한다. 그중 서호와 황산에 얽힌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항주의 서호는 반자연반인공 호수로 둘레가 15 Km인데 첸탄강의 토사가 쌓여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호수 가는 길의 오래된 가로수와 사계절 휘휘 늘어진 수양버들, 유람선을 타며 본 비경과 건축물에 얽힌 이야기도 눈과 귀를 잡았으나 내 관심은 중국요리를 먹을 때 맛보았던 ‘동파육’의 유래였다.
아버지 소순, 동생 소철과 함께 당송 8대가의 한 사람인 시인 소동파는 송나라 초기 항wn우의 태수로 부임하다. 그는 농민들이 가뭄으로 고생하는 것이 웃자란 수초 때문에 물 대기가 힘들기 때문인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호수 바닥에 침전된 진흙을 모두 파서 올리게 했는데 기존에 있는 제방 ‘백제’ – 당나라 시인 ‘백거이’가 쌓았던 - 보다 세 배나 더 길고 넓었다. 이 제방은 소동파의 성을 따서 ‘소제’라고 했다. 주민들은 2.8Km의 제방을 쌓고 민생을 살피는 소동파를 존경하는 마음에 돼지고기를 바쳤다. 음식 만드는 것을 좋아하는 그는 직접 요리법을 개발하여 널리 먹을 수 있게 하였고 그의 이름을 따서 ‘동파육’이 되었다고 한다. 돼지고기(삼겹살)를 간장 양념에 졸여 만든 요리라고 하겠다. 가이드가 들려 준 이야기니 백 퍼센트 정설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요리 이름에 지방 관리의 ‘애민정신’과 주민들의 ‘감사의 마음’이 함께 있다니 얼마나 기분 좋은 음식인가 말이다.
넷째 날 새벽 다섯 시 반, 1시간 30분을 달려 해발 800고지의 태평역에 도착하여 등정했던 ‘황산’ 개발 이야기도 특별했다.
황산은 1,864m의 연화봉(莲花峰), 1,864m의 광명정(光明顶), 1,810m의 천도봉(天都峰)을 중심으로 해발 1,000m가 넘는 77개의 봉우리가 첩첩이 둘러싼 절경의 산이다. 이 산의 자랑은 화강암의 기이한 봉우리, 단단한 바위틈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소나무, 파도처럼 밀려왔다 사라지는 운해로 1990년에 세계 자연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그러나 중국 제일의 ‘황산’도 지도자의 마음에 비하면 빛이 덜했다.
중국 사람들이 평생에 한 번 꼭 가 봐야 할 산으로 꼽는다는 황산을 1979년 ‘등소평’이 일흔 다섯의 나이로 걸어서 올랐다. 길이 험하여 주위에서 가마꾼을 불러 타기를 권하자 “어찌 인민의 어깨를 밟고 올라갈 수 있겠는가?” 하며 물리쳤다고 한다. 그는 산에 오른 후 ″인민들이 이 아름다운 황산을 오를 수 있도록 하라.″고 개발을 지시하였다. 그래서 20여 년에 걸쳐 황산을 오르는 다리와 계단을 만들었고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 사람들이 그 아름다움을 체험하는 기쁨을 맛보고 있다. 이곳 사람들은 그를 ‘등 할아버지’라고 부른다.
덕분에 우리도 케이블카와 모노레일의 도움을 받고 만 개가 넘는 돌계단을 오르내리며 ‘연화봉’이 있는 정상까지 다녀왔다. 세월과 자연만이 빚을 수 있는 서해 협곡과 정상에서 바라보는 바람 되어 떠도는 운해, 바위산 틈을 비집고 자라는 소나무의 위용에 가슴이 터질 것만 같았다. 감탄의 소리를 내는 것도 불경하게 생각되었다.
크게 숨을 쉬고 발을 내 디딜 때마다 눈을 질끈 감고 다리도 덜덜 떨었으나 등 할아버지의 인민을 사랑하는 마음을 앞세우고 따라가며 누릴 수 있는 여건이 감사할 뿐이었다.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첫댓글 교수님, 매번 같은 실수를 반복합니다. 세심하지 못한 처사라 생각하면서도 게으름을 이기지 못하는 모양입니다. 가르침이 바래지 않도록 꾸준히 노력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