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를 쳐보세요 |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 ||||||
| ||||||
| 보 도 자 료 | |||||
보도 | 2020.2.11.(화) 조간 | 배포 | 2020. 2. 10.(월) | |||
| ||||||
담당부서 | 금융감독원 | 정제용 팀장 (02-3145-8010) | 윤찬송 조사역 (02-3145-8013) | |||
금융결제원 | 조병대 팀장 (02-531-1720) | 홍종현 계장 (02-531-1724) | ||||
서민금융진흥원 | 김금석 부장 (02-2128-8035) | 윤준호 과장 (02-2128-8041) | ||||
한국예탁결제원 | 고정재 팀장 (02-3774-3540) 권오훈 팀장 (02-3774-3275) | 문재원 주임 (02-3774-3209) 이장순 차장 (02-3774-3238) | ||||
전국은행연합회 | 유문선 부장 (02-3705-5326) | 김윤진 팀장 (02-3705-5336) | ||||
금융투자협회 | 이승정 부장 (02-2003-9420) | 윤상준 과장 (02-2003-9421) | ||||
생명보험협회 | 조성준 실장 (02-2262-6689) | 최재춘 팀장 (02-2262-6662) | ||||
손해보험협회 | 방태진 부장 (02-3702-8670) | 박승호 팀장 (02-3702-8652) | ||||
저축은행중앙회 | 성용욱 부장 (02-397-8640) | 최성준 조사역 (02-397-8644) | ||||
신협중앙회 | 오윤록 부장 (042-720-1360) | 김영하 팀장 (042-720-1335) | ||||
농협중앙회 | 이현애 부장 (02-2080-3200) | 정성훈 팀장 (02-2080-2217) | ||||
수협중앙회 | 민봉식 부장 (02-2240-2200) | 김용관 팀장 (02-2240-2228) | ||||
산림조합중앙회 | 김인철 부장 (02-3434-7220) | 김경희 팀장 (02-3434-7221) | ||||
새마을금고중앙회 | 조재범 부장 (02-2145-9220) | 박지현 과장 (02-2145-9226) |
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를 쳐보세요 |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 ||||||
| ||||||
| 보 도 자 료 | |||||
보도 | 2020.2.11.(화) 조간 | 배포 | 2020. 2. 10.(월) | |||
| ||||||
담당부서 | 금융감독원 | 정제용 팀장 (02-3145-8010) | 윤찬송 조사역 (02-3145-8013) | |||
금융결제원 | 조병대 팀장 (02-531-1720) | 홍종현 계장 (02-531-1724) | ||||
서민금융진흥원 | 김금석 부장 (02-2128-8035) | 윤준호 과장 (02-2128-8041) | ||||
한국예탁결제원 | 고정재 팀장 (02-3774-3540) 권오훈 팀장 (02-3774-3275) | 문재원 주임 (02-3774-3209) 이장순 차장 (02-3774-3238) | ||||
전국은행연합회 | 유문선 부장 (02-3705-5326) | 김윤진 팀장 (02-3705-5336) | ||||
금융투자협회 | 이승정 부장 (02-2003-9420) | 윤상준 과장 (02-2003-9421) | ||||
생명보험협회 | 조성준 실장 (02-2262-6689) | 최재춘 팀장 (02-2262-6662) | ||||
손해보험협회 | 방태진 부장 (02-3702-8670) | 박승호 팀장 (02-3702-8652) | ||||
저축은행중앙회 | 성용욱 부장 (02-397-8640) | 최성준 조사역 (02-397-8644) | ||||
신협중앙회 | 오윤록 부장 (042-720-1360) | 김영하 팀장 (042-720-1335) | ||||
농협중앙회 | 이현애 부장 (02-2080-3200) | 정성훈 팀장 (02-2080-2217) | ||||
수협중앙회 | 민봉식 부장 (02-2240-2200) | 김용관 팀장 (02-2240-2228) | ||||
산림조합중앙회 | 김인철 부장 (02-3434-7220) | 김경희 팀장 (02-3434-7221) | ||||
새마을금고중앙회 | 조재범 부장 (02-2145-9220) | 박지현 과장 (02-2145-9226) |
제 목 :‘19년 금융권 공동「숨은 금융자산 찾기」캠페인을 통해 162만명이 약 1조 4천억의 잠자는 돈을 찾아가
❑이번 캠페인은 전 금융권 공동으로 소멸시효가 완성된 ‘휴면금융재산’과 소비자가 장기간 거래하지 않은 ‘장기미거래금융재산’을 통합하여 실시
◦ ‘19.11.11.부터 6주간의 캠페인 기간 중 162만명이 약 1조 4천억원의 잠자는 돈을 찾아가서 금융소비자의 생활경제에 큰 보탬이 되었음
❑ 금융소비자가 찾아간 숨은 금융자산은 ‘휴면금융재산’이 2,207억원, ‘장기미거래금융재산’이 1조 1,746억원
◦ 금융자산 유형별로는 보험금(9,247억원)을 가장 많이 찾아 갔고, 예적금(3,013억원), 휴면성증권(1,054억원), 미수령주식(574억원), 실기주과실*(55억원) 순임 * 주식실물 소유자가 본인 이름으로 명의를 변경하지 아니하여 주주명부상 한국예탁결제원 명의로 되어있는 주식에 대하여 발생한 배당금이나 주식을 말함
❑ ‘20년 중에도 ’카드포인트‘를 추가하여 「숨은 금융자산 찾기」 캠페인 추진 |
Ⅰ. 개 요 |
□ 금융감독원은 금융소비자가 본인의 「숨은 금융자산」을 좀 더 효과적으로 확인하고, 보다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 2019.11.11.(월)~12.20.(금) 6주간 全 금융권과 공동으로「숨은 금융자산」찾기 캠페인을 실시하였음
□ 금번 캠페인에서는 금융권 내에 잠자고 있는「숨은 금융자산」을 획기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도록 종전과 달리 캠페인 대상을 확대하고, 캠페인 수단을 대폭 강화하였음
◦ 우선, 그간 ‘휴면금융재산*’에 한정하여 실시하던 캠페인 대상을 ‘장기미거래금융재산*’까지 확대
* 휴면금융재산은 관련 법규상 소멸시효가 완성된 재산을 의미하고, 장기미거래금융재산은 법규상 정의는 없으나 통상 3년 이상 장기간 거래하지 않은 재산을 의미
◦ 은행·금투·보험 등 업권별로 개별 실시하던 방식에서 全 업권 및 유관기관이 동시에 참여하여 캠페인 역량을 극대화
◦ 또한, 고령층, 지역 거주민 등 금융거래에 다소 소외된 금융소비자의 「숨은 금융자산」찾기를 돕기 위해 지자체 및 지역금융기관들과 연계한 지역홍보도 크게 강화
구 분 | 종 전 | 개 선 |
대상자산 확대 | 휴면금융재산 | 휴면금융재산 + 장기미거래금융재산 |
전 금융권 공동 실시 | 은행, 금투, 보험, 상호금융 업권별 개별실시 | 은행, 금투, 보험, 상호금융 + 유관기관 (금융결제원, 한국예탁결제원, 서민금융진흥원) |
전국적 캠페인 | - | 지자체 연계를 통한 캠페인망 확대 |
Ⅱ. 추진 성과 |
□ 금번 캠페인 기간 중 162만명의 금융소비자가 약 1.4조원의 「숨은 금융자산」을 찾아간 것으로 나타남
◦ 이는 최근 4년간 찾아간 ‘휴면금융재산’ 규모(2.3조원*)의 약 60%에 달하는 수준으로 단일 캠페인 실적으로는 최대 규모
* 15.6월 ~ 19.6월말까지 4년 동안 찾아준 환급액은 약 2.3조원으로 연평균 약 5,800억원 환급
◦ 또한 ‘휴면금융재산’(2,207억원) 외에 ‘장기미거래금융재산’이 약 1.2조원 감축되어, 금번에 편입된 ‘장기미거래금융재산’에 대한 환급 실적이 뚜렷
* ‘19.6월말 현재 장기미거래금융재산은 8.3조원에 이름
유형별 실적 |
□ 보험금이 9,247억원으로 가장 많고, 예‧적금*(3,013억원), 휴면성증권(1,054억원), 미수령주식(574억원), 실기주과실(55억원), 신탁(10억원) 順
* 예‧적금 : 상호금융(2,594억원), 은행(368억원), 저축은행(51억원)
◦ 보험금은 중도보험금(사고분할보험금, 배당금, 생존연금 포함), 만기보험금 등의 장기미거래 보험금이 대부분(8,781억원)을 차지
유형별 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 휴면금융재산1) | 장기미거래금융재산1) | 합 계 | ||||
금 액 |
| 금 액 |
| 금 액 |
| ||
비중 | 비중 | 비중 | |||||
예‧적금 | 은 행 | 34 | 1.6% | 334 | 2.9% | 368 | 2.6% |
저축은행 | 2 | 0.1% | 49 | 0.4% | 51 | 0.4% | |
상호금융 | 20 | 0.9% | 2,574 | 21.9% | 2,594 | 18.6% | |
소계 | 57 | 2.5% | 2,956 | 25.1% | 3,013 | 21.5% | |
보험금 | 466 | 21.1% | 8,781 | 74.8% | 9,247 | 66.3% | |
신탁 | 1 | 0.1% | 9 | 0.1% | 10 | 0.1% | |
증권 | 휴면성증권2) | 1,054 | 47.8% | - | - | 1,054 | 7.6% |
미수령주식 | 574 | 26.0% | - | - | 574 | 4.1% | |
실기주과실 | 55 | 2.5% | - | - | 55 | 0.4% | |
합 계 | 2,207 | 100.0% | 11,746 | 100.0% | 13,953 | 100.0% |
주1) 농협중앙회 및 한국예탁결제원이 자체적으로 실시한 캠페인 실적분 포함
주 2) 캠페인을 통해 휴면성증권계좌 인지 이후 추가 거래를 통해 찾아간 예탁자산 증가금액을 포함
연령별 실적 |
□ 60대 이상 고령층의 비중이 46.1%로 가장 높고, 50대 31.5%, 40대 13.9%, 30대 이하* 8.6% 順
* 30대:668억원(5.2%), 20대:310억원(2.4%), 10대:119억원(0.9%)
◦ 온라인 거래가 많지 않은 고령층이 방송, 신문을 통해 캠페인을 인지하거나, 금융사의 개별 안내를 통해 많이 찾아간 것으로 판단
연령별 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 휴면금융재산 | 장기미거래금융재산 | 합 계 | |||
금 액 |
| 금 액 |
| 금 액 |
| |
비중 | 비중 | 비중 | ||||
30대 이하 | 240 | 14.8% | 857 | 7.7% | 1,097 | 8.6% |
40대 | 332 | 20.5% | 1,444 | 12.9% | 1,775 | 13.9% |
50대 | 712 | 44.0% | 3,321 | 29.7% | 4,033 | 31.4% |
60대 이상 | 334 | 20.7% | 5,565 | 49.7% | 5,899 | 46.1% |
합 계 | 1,618 | 100.0% | 11,187 | 100.0% | 12,804 | 100.0% |
주) 개인고객만 해당
채널별 실적 |
□ ‘영업점·고객센터’를 직접 방문해서 찾아간 금액이 1.3조원(94.8%)으로 가장 많으며, ‘인터넷’ 475억원(3.4%), ‘모바일’ 254억원(1.8%) 順
채널별 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 휴면금융재산 | 장기미거래 금융재산 | 합 계 | |||
금 액 |
| 금 액 |
| 금 액 |
| |
비중 | 비중 | 비중 | ||||
인터넷 | 265 | 12.0% | 211 | 2% | 476 | 3.4% |
모바일 | 138 | 6.3% | 115 | 1% | 254 | 1.8% |
영업점·고객센터 | 1,804 | 81.7% | 11,420 | 97% | 13,223 | 94.8% |
합 계 | 2,207 | 100.0% | 11,746 | 100% | 13,953 | 100.0% |
주) 인터넷과 모바일 구분이 어려운 경우 인터넷으로 구분
Ⅲ. 향후 계획 |
□‘20년「숨은 금융자산 찾기」캠페인 실시(상반기)
◦ 금년 캠페인에서는 ‘휴면금융재산’ 및 ‘장기미거래금융재산’ 뿐만 아니라 ‘카드포인트*’를 추가하고,
* ’19.6월말 기준 고객이 사용하지 않고 남은 카드포인트는 약 2조 3천억원
◦ 고령층이 숨은 금융자산을 더 많이 찾아갈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할 예정
(예시1) 고령자가 은행 등 영업점 방문시 창구직원이「계좌통합관리서비스」를 활용하여 자행, 타행 계좌를 모두 안내
- (타행계좌) 조회서비스를 통해 계좌보유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타행을 직접 방문하여 잔고이전 및 해지를 하도록 안내
- (자행계좌) 자행계좌의 경우 조회서비스, 계좌 보유시 잔고이전 및 해지 서비스를 제공
(예시2) 보험설계사가 고령층 고객을 직접 방문 또는 개별 연락을 통해 안내
|
* <참고사항> 숨은보험금 관련해서 중도보험금, 만기보험금 등 장기미거래 보험금은 약관에 따라 소멸시효 완성 전까지 이자가 제공되므로 계약자가 보험금을 확인한 후 이자율 수준 등을 고려하여 찾아갈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안내를 강화할 계획
□「계좌통합관리서비스」조회 범위 확대 등 추진 (연중)
◦ 본인 명의의 전 금융권 계좌뿐만 아니라 금융회사가 서민금융진흥원에 출연한 휴면금융재산*까지 한번에 조회 가능하도록 서비스 확대 추진
* 현재 은행(19개사), 보험사(37개사), 저축은행(49개사)이 출연 중이고, 약 1조원의 휴면금융재산의 조회 및 환급이 가능
◦「계좌통합관리서비스」의 온라인 지급 한도* 상향 추진
* ’16.7월 ’30만원’에서 ‘17.4월 ‘50만원’으로 확대
| <계좌통합관리서비스(어카운트인포) 개요> |
|
|
|
|
| |
개인이 보유한 전 금융권의 ‘계좌 일괄 조회 및 정리’ 원스톱 시스템
• 조회대상 : 은행, 저축, 상호금융, 우체국, 증권사 계좌 및 보험 계약
• 잔고이전‧해지대상 : 잔액 50만원 이하의 1년 이상 미사용 계좌
• 이용방법 : 금융소비자정보포털「파인」의 「내계좌 한눈에」 또는 「계좌 통합관리서비스」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 | |
붙임 1 |
| 금번 캠페인 기간 중 홍보 실적 |
□ 캠페인 기간 중 약 662만명*의 고객에게 이메일, 문자메시지, 모바일 앱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안내
* 이메일(225만명), 문자메시지(356만명), 전화 및 스마트폰앱 알림 (81만명)을 통해 개별 안내
◦ 금융사 영업점, 인터넷 홈페이지, ATM 등에 홍보영상 및 포스터를 활용하여 ‘숨은 금융자산 찾는 방법’을 집중 안내
< 온‧오프라인 채널을 활용한 다양한 대국민 홍보 활동 >
① 인쇄물 : 전 금융권 영업점에 포스터 약 3만장, 입간판 약 500개 설치
② 홍보영상 : 객장 모니터, 옥외전광판, ATM, SNS, 블로그, 유투브 등에 소개
③ 대외 언론 : • SBS CNBC 생방송 “경제와이드 이슈 &” 출연 (‘19.11.12.)
• YTN 라디오 “생생경제” 인터뷰 (‘19.11.11.)
• 메트로 신문 지면기사(금감원 Q&A코너) 기고 (‘19.11.11.)
• 소셜라이브 특집 방송시 캠페인 소개 (‘19.11.15.)
• “네이버 경제 M” 에 “숨은 금융자산 찾는 방법” 소개
④ 금감원 채널 : 보도자료 배포(‘19.11.11.), 생생금융인포, 파인톡톡(파인), 대학생기자단(금감원블로그)
⑤ 숨은 금융자산 찾기 캠페인 오프닝 행사(‘19.11.11.) : 정무위원장, 캠페인 주관 14개 기관장, 금융회사 임직원 등 150여명 참석 |
◦ 금융감독원 각 지원과 결연 또는 협약을 맺고 있는 지자체 및 지역금융기관들과 연계하여 지역 홍보를 강화
< 지역별 홍보 활동>
① 지역 금융기관 공동 가두캠페인(‘19.11.11.강릉역)
② 전국 도‧시‧군청 청사 홍보시스템 활용(홈페이지, 대형전광판, 전자게시판, 민원실)
③ 상공회의소, 고용센터, 온라인 반상회, 지역터미널 전광판 활용
④ 지역행사 : 「2019부산머니쇼」, 속초 「도루묵축제」, 「고인돌 마라톤 대회」
⑤ 금융사랑방버스 운영: 충북 진천군청 외 4개 시‧군청(‘19.11.14.~12.13.) |
붙임 2 |
| 숨은 금융자산 현황 (‘19.6월말 기준 ) |
(단위 : 억원)
구 분 | 휴면금융재산 | 장기미거래 금융재산 | 합 계 | ||||
금 액 |
| 금 액 |
| 금 액 |
| ||
비중 | 비중 | 비중 | |||||
예·적금 | 은 행 | 1,633 | 13.8% | 35,080 | 42.1% | 36,713 | 38.6% |
저축은행 | 240 | 2.0% | 505 | 0.6% | 745 | 0.8% | |
상호금융 | 1,026 | 8.7% | 11,445 | 13.7% | 12,471 | 13.0% | |
보험금 | 5,219 | 44.2% | 36,237 | 43.5% | 41,456 | 43.6% | |
신 탁 | 1,044 | 8.9% | 114 | 0.1% | 1,158 | 1.2% | |
증 권 (휴면성증권, 미수령주식, 배당금) | 2,633 | 22.4% | - | - | 2,633 | 2.8% | |
합 계 | 11,795 | 100.0% | 83,381 | 100.0% | 95,176 | 100.0% |
참고 1 |
| 「숨은 금융자산 찾기」캠페인 환급 사례 |
◈A씨는 휴면예금을 찾아 육아용품을 구입
7개월 된 아기를 둔 D씨(32세, 육아휴직자)는 캠페인 기간 중 인터넷 포털에 올라온 실시간 검색어를 통해 계좌통합관리서비스에 접속하여 조회한 결과 대학시절 생활비 관리를 위해 사용하던 수시입출금식 예금계좌에 47만원의 잔액이 있는 것을 확인함
계좌통합관리서비스를 통해 주거래 은행의 계좌로 잔액을 이체하여 아기의 옷과 육아용품을 구매하였고, D씨는 “하루 하루 힘든 육아로 지친 저에게 소확행이었다”며 고마움을 표함 |
◈ B씨는 미수령 주식을 찾아 노후자금으로 활용
C씨(79세, 은퇴생활자)는 2005년 지인의 추천으로 비상장주식에 투자하였으나, 수년간 이를 잊고 지내다 「숨은 금융자산 찾기」 캠페인 안내문을 수령한 후 혹시나 하는 마음에 한국예탁결제원을 내방하였고, 미수령 주식 약 2천주(평가금액 약 1,078만원) 및 배당금 약 182만원까지 수령하였음
C씨는 “새해를 맞아 생각하지도 않은 돈이 생겨 크게 기쁘다”며 관련 기관에 감사 인사를 전달 |
◈ 자영업자 C씨는 환급금을 찾아 생활자금으로 활용
B씨(55세, 자영업자)는 사업이 어려워져 3년 전부터 보험료 납입을 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계약이 해지되었는데, 이 사실을 잊고 지내던 차에 인터넷 포털에서 「숨은 금융자산 찾기」 캠페인 포스터를 보고 「잠자는 내돈 찾기」에 접속하여 환급금이 약 1억 2,500만원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찾아 사업자금에 사용하여 큰 보탬이 되었다며 감사 인사를 전달 |
◈해외에 거주하는 D씨는 휴면보험금을 친척을 통해 대리 수령
해외에 거주하며 인터넷 기사를 접하고 휴면보험금을 확인한 A씨(80세, 은퇴생활자)는 국내 거주 친척에게 휴면보험금 지급 신청에 관한 사항을 위임하였고, 친척은 춘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 내방하여 관련 서류와 함께 지급신청을 하여 800만원을 찾아 A씨에게 전달함
A씨는 “고령에 몸도 불편하여 사실상 한국에 방문할 일이 없었는데 간소한 절차로 해외에서 쉽게 찾을 수 있어 고맙다”며 감사 인사를 전달 |
참고 2 |
| 「숨은 금융자산 찾기」 캠페인 소개 |
추진배경 : 금융소비자가 오랫동안 찾아가지 않은 숨은 금융자산 약9.5조원을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전 금융권 공동으로 캠페인 실시
캠페인 참여기관 : 금융감독원, 금융결제원,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예탁결제원, 5개 금융협회 및 5개 상호금융중앙회
캠페인 실시기간 : ‘19년 11월 11일부터 ~12월 20일까지 (6주간)
캠페인 실시대상 : 예금, 보험금, 증권(휴면성증권, 미수령주식, 실기주과실), 신탁 등 전 권역에 걸쳐 금융소비자가 보유중인 상품
캠페인 실시내용 : 캠페인 기간 중 ①휴면금융재산 등의 보유사실을 개별고객에게 SMS, 이메일 등으로 안내하고, ②인터넷포털, TV방송 및 SNS 등을 통해 대국민 홍보활동을 병행하는 한편, ③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하여 지역별 홍보를 강화
숨은 금융자산 현황 : ‘19년 6월말 기준 9.5조원으로 휴면금융재산 1.2조원, 장기 미거래 금융재산 8.3조원 수준
숨은 금융자산 조회 및 찾는 방법
* 「잠자는 내돈 찾기」 내의 일부 서비스의 경우 모바일 서비스 이용이 제한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