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밥과(―科 Lem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부평초는 물 위에 떠서 살고 있다. 어디 한군데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떠도는 삶을 '부평초 같은 인생'이라 하는데 이러한 부평초의 삶을 잠시 들여다보자.
씨앗을 만드는 식물 중에서는 가장 크기가 작은 부평초는 잎이 물 위에한두장 떠 있고 물 속으로 뿌리를 내리고 있다.
우리 눈에 잎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 부평초의 잎이 아니라 줄기다. 잎을 퇴화시켜 몸의 구조를 단순하게 만들고 대신 줄기를 잎처럼 발달시켜, 줄기와 잎의 기능을 다하는 특수기관을 만들어 낸 것이다.
식물학에서는 그것을 '엽상체(葉狀體)'라고 한다. 튜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엽상체 속에는 공기를 담을 수 있는 공기 방이 있다. 엽상체 뒤로 길게 뻗은 물속 뿌리로 인해 부평초는 물살에 의해 쉽게 뒤집어지지 않는다. 물을 튕겨내는 엽상체 표면에는 가는 털이 무수히 돋아나 있으며 뒷면은 물을 빨아들이기 쉽게 만들어져 있다. 작은 몸에 비해 큰 뿌리를 갖고 있는 것은 닻의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햇살이 뜨거워지고 온도가 올라갈수록 부평초의 증식 속도는 빨라진다. 보통 100일에 400만 배 이상 늘어난다고 한다.
부평초는 햇빛을 막아 물의 온도를 떨어뜨려 논 전체를 메워버리고, 식물 플랑크톤의 광합성을 막아 물속 산소량을 줄인다.
수면이 어는 겨울이 오기 전 부평초는 겨울나기 싹을 만들고 물 밑으로 가라앉는다.
이처럼 우리가 떠돌이라고 여기는 부평초의 삶은 결코 단순하지가 않다. 작은 생명 하나에도 전략과 순응이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