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전국 각 교구 사회복지회와 장애인 관련 기관 및 단체들이 그 어느 해보다 분주하다. 장애인 관련 행사의 외형도 커졌고, 내용도 다양하다. 15년 전만 해도 볼 수 없었던 현상이다. 그만큼 장애인에 대한 교회의 인식이 진일보한 것 같아 반갑다.
하지만 최근 가톨릭교회 장애인복지는 ‘일단 정지’한, 숨 고르는 형국이라는 것이 본지의 판단이다. 장애인복지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사회복지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분야였다. 그러나 장애인 복지에 대한 관심은 최근 여성, 노인, 노숙인복지 등 타 분야에 점차 밀리고 있는 모양새다. 지난 2002년 한국교회 내 전체 복지기관 중 26.7%에 달하던 장애인 복지 관련 비중이 지난해에는 22.6%로 줄었다. 이는 다른 복지시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늘어난 반면, 장애인 복지는 제자리걸음을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형 면에서 교회내 사회복지 활동 1위였던 장애인복지가 아동청소년복지(28.0%)에 역전됐다. 게다가 노인복지시설(21.3%)의 급증도 장애인 복지에 대한 상대적 위축을 불러오고 있다.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들도 어렵고 힘든 장애인 복지를 기피하고, 복지 정책이나 자원계발 등을 선호한다는 소식도 들리고 있다.
20~30년 전만해도 교회 사회복지활동은 장애인복지가 전부였던 시절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사회복지 활동의 외연이 넓어지고, 새로운 개념의 복지 모델이 나타나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장애인이 오늘도 이웃으로 살아가고 있는한 장애인복지에 대한 관심은 약화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장애아 보육시설의 확충은 가장 시급한 과제 중 하나다. 현재 가톨릭 장애인 관련 시설 중 장애아 보육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3.4%에 불과하다. 성인 장애인 못지 않게 장애 유아를 위한 시설 확충에 나서야 할 것이다. 특히 장애아 보육시설은 생명문제와도 직결되는 사안이다. 산모가 태아의 장애사실을 인지했을 때, 낙태에 대한 유혹에 쉽게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교구및 본당과 함께 수도회의 분발도 요청된다. 수도회는 최근 들어 아동, 청소년, 노인, 의료, 여성복지 등에 치중하는 면이 없지 않아 보인다. 수도회는 다양한 회원양성계획으로 전문지식과 기술을 소지한 장애인 전문 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 예수 곁에는 병자와 장애인들이 있었다.
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