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제 (墓祭. 묘사)와 성묘 (省墓)
▣ 문중묘사(門中墓祀)
■묘제는 시향(時享), 시사(時祀), 시제(時祭), 묘사(墓祀)라고도 하는데
조상의 묘에서 지내는 제사로 한식묘제와 가을시제(時祭)가 대표적이나
가을 묘제를 주로 지낸다. 상로기강(霜露旣降)인 10월 초순에서 중순 사이에 지내고
기제사(忌祭祀)는 4대조까지 모시는데 비해 묘제는 5대조 이상의 조상을 지낸다.
(본가에서는 음력 10월 16일에 지낸다)
■문중묘사(中始祖중시조, 入鄕祖입향조, 派祖파조) 이외의 개인묘사(個人墓祀)에는
단헌(單獻)이므로 첫잔을 올리고 젓가락을 가지런히 놓은 다음에
독축(讀祝) 재배(再拜)하고, 향이 없으므로 고개 숙였다가
바로 사신 재배(辭神 再拜)하고 끝내는 경우(境遇)도 있다.
■진설(陳設)은 갱반(羹飯:국과 밥)과 진적(進炙)이 없을 뿐 기제사와 같으며
상석에 진설하고, 상석이 없으면 제상이나 돗자리에 진설하면 된다.
■친진(親盡:代盡: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대가 다됨)에는
존항(尊行:부모의 항열 이상의 항열)이 주제한다.
■우천시에나 그 밖의 사유로 묘소를 직접 찾아가지 못할 경우에는
망제(望祭)라고 하여 재실(齋室)에서 지내기도 한다.
■동원(同原)에 묘가 많으면 대수(代數)가 높은 조상의 묘소부터
낮은 조상의 묘로 내려오면서 지낸다. 단(壇)을 모아서 합제하는 것도 좋다.
■이제후토(以祭后土) 진설이 끝나고 진설상태를 돌아보고 나면
진설 해둔 제물을 쟁반에 조금씩 덜어서 묘소 좌측 정결한 곳에 놓아둔다.
이 것을 일부 세속에서 잘못 알고 산신제를 먼저 지내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이는 큰 잘못이다. 반드시 묘제를 먼저 지낸 후 산신제를 올려야 한다.
■5대 이상의 묘제에 한해서 초헌을 정할 때 굳이 종자(宗子)가 하지 않고
문장(門長)이 차례로 할 수 있다. 많은 선현(先賢)들이 모두 이렇게 주장한다.
초헌 아헌 종헌의 예는 모두 기제와 같으나 주부(主婦)가 없다.
유식이 없기 때문에 첨작도 없다. 초헌이 헌작할 때 수저를 올리고,
개기도 한다. 유식은 없지만 숙사(肅俟: 엄숙히 기다림)가 있다.
▣ 묘제 절차
01. 참사자서립(參祀者序立) : 모든 참사자가 항렬에 따라 줄을서고,
헌관과 축관도 제 자리에 선다.
02. 진설(進設) : 제수를 진설한다.
03. 강신(降神) : 초헌자가 꿇어앉아 삼상향(三上香)하고 재배한다. 초헌자와 집사는
꿇어앉아 서집사가 잔반을 초헌자에게 주면 동집사가 술을 따라서
초헌자가 땅에 술을 세 번 지우고 재배한 후 제자리에 간다.
04. 참신(參神) : 모든 참사자가 재배한다.
05. 초헌(初獻) : 초헌자가 앞에 나아가 꿇어앉으면 서집사가 잔을 초헌자에게 주면
동집사는 술을 따른다. 초헌자는 잔을 받아 정성껏 받들어 잔을
집사에게 주며 집사는 잔을 원자리에 올린다. 이때 정저(正箸)을 한다.
06. 독축(讀祝) : 초헌자의 왼편에 동향해 앉아 독축한다. 이때 모두 꿇어 앉는다.
독축자가 물러나면 모두 일어서고 초헌자는 재배한다.
07. 아헌(亞獻) : 초헌과 같이한다.
08. 종헌(終獻) : 아헌과 같이한다.
09. 하시저(下匙箸), 사신(辭神) : 수저를 거두고 참사자 모두 재배한다.
10. 철찬(撤饌) : 집사자가 진설을 철상하고 독축자는 축문을 불사른다.
11. 음복(飮福) : 음복한다.
■묘소에서 지내는 경우에는 참신(參神)을 먼저 한다.
기제때나 지방을 사용하게 되면 신을 모셔오는 것(강신)이 먼저이겠으나
묘제는 신이 계신 곳이니 참신을 먼저 한다.
참제자 모두가 먼저 재배(再拜)를 하면 된다.
■강신(降神)은 초헌이 향을 사르고 술을 땅에 세 번 나누어 관주하고 재배한다.
기제 때는 분향 후 재배, 침주 후 재배하는데 묘제에서는 분향과 관주를 마친 후
재배로 끝이다.
■이 모든 절차가 끝난 후 토지신(일반적으로 산신이라고 함)에 제사한다.
▣ 묘제축문(墓祭祝文)
五代祖考(오대조고) 이상
維 歲次 ○○ ○月 ○○ 朔 ○日 ○○유 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代孫 ○○ 敢昭告于○대손 이름 감소고우顯 ○代祖考 學生 (또는 관직) 府君현 ○대조고 학생 (또는 관직) 부군顯 ○代祖妣 孺人 (또는 O부인) ○○ ○氏 之墓현 ○대조비 유인 (또는 O부인) 본관 성씨 지묘歲薦一制 禮有中制 履玆霜露 彌增感慕세천일제 예유중제 이자상로 미증감모謹用 淸酌時羞 祗奉常事 尙근용 청작시수 지봉상사 상饗향
[축문내용]
0대손 00는 0대조 할아버님·할머님 묘소에 고하나이다.
1년에 묘사를 한번 올리는것이 제도에 알맞는 것이라 생각되옵니다.
서리와이슬을 밟고 묘소를 찾아보니 사무치는 정이 더욱 더 간절합니다.
삼가 맑은술과 그때 나는 음식으로 연례행사를 받자오니 드시기 바랍니다.
■八代祖인 경우에는 八代孫 또는 九世孫이라 적어야 한다.
■霜露旣降상로기강 : 歲律旣更세율기경(정월) 雨露旣濡우로기유(한식)
時物暢茂시물창무(단오) 白露旣降백로기강(추석)
■謹用淸酌時羞祗奉常事尙근용청작시수지봉상사상 은
謹以淸酌庶羞祗薦歲事尙근이청작서수지천세사상 으로 쓰기도 한다.
祖考(조고) 부터 高祖考(고조고) 까지
維 歲次 ○○ ○月 ○○ 朔 ○日 ○○ 유 세차 간지 ○월 간지 삭 ○일 간지孝孫 ○○ 敢昭告于효손 이름 감소고우顯 ○祖考 學生 (또는 관직) 府君현 ○조고 학생 (또는 관직) 부군顯 ○祖妣 孺人 (또는 O부인) ○○ ○氏 之墓현 ○조비 유인 (또는 O부인) ○○ ○씨 지묘氣序流易 霜露旣降 瞻掃封塋 不勝感模기서유역 상로기강 첨소봉영 불승감모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饗향
[축문내용]
효손(또는 효자, 증손) 00는 할아버님·할머님 묘소에 고하나이다.
계절의 순서가 흘러 바뀌어 서리와 이슬은 벌써 내렸습니다.
무덤을 찾아와서 가다듬어보니 감모(感慕)의 정을 이기지 못 하겠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반찬으로 세사(歲事)를 받자오니 흠향하시옵소서.
기서유역(氣序流易) : 절기가 바뀌었다.
상로기강(霜露旣降) : 찬 서리가 이미 내렸다.
첨소봉영(瞻掃封塋) : 묘역(墓域)을 쓸고 봉분(封墳)을 우러러보다.
불승감모(不勝感慕) : 흠모하는 정을 이길 수 없나이다.
근 이(謹 以) : 정성을 다하여. 삼가.
청작서수(淸酌庶羞) :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드린다.
지천세사(祗薦歲事) : 삼가 세사(歲事, 연중 행사)를 올린다.
■여러 선조 산소가 모여 있을 때나 여러분을 함께 모실 때는
OO之墓를 先祖(선조)之墓로 한다.
[부모 묘제축문, 父母 墓祭祝文]
維歲次 O O O月 O O 朔 OO日 O O 孝子OO 敢昭告于
유세차 간지 O월 간지 삭 OO일 간지 효자OO 감소고우
顯 考學生府君 顯妣孺人 O O O 氏 之墓
현 고학생부군 현비유인 본관 성씨 지묘
氣序流易 霜露旣降 瞻掃封塋 昊天罔極
기서유역 상로기강 첨소봉영 호천망극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饗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향
[출처] 묘제 (墓祭. 묘사)와 성묘 (省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