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능급이 사실 연공급(호봉제)의 한계를 느낀 일본이 서양의 직무급을 도입하려고 했지만, 풍토의 차이로 온전하게 도입치 못하고 고육지책으로 만들어낸 개념입니다. 그래서 연공급과 직무급 사이 어정쩡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지요... 각설하고, 직능급이 직무급보다는 개인의 능력을 중시하는 개념이라서, 유연성과 창의성 면에 있어서는 좀 낫습니다. 자신이 가진 '직무 관련 능력'을 직무를 수행하면서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요. 그래서 소품종 대량생산(자동화공정)보다는 다품종 소량생산에서 더 적합한 개념이긴 해요. + 그런데 이건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논의입니다. 오늘날 직능급은 직능의 연공화 등의 폐혜로 실제 기업에서 거의 사용되고 있지가 않습니다(모 교수님 책을 보면 "오늘날 직능급은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점하지 못하고 사라지고 말았다."고 표현하실 정도 입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12 09:1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4.07.12 11:46
삭제된 댓글 입니다.
ㅇㅎㅅ쌤 수강중입니다 !!
직능급이 사실 연공급(호봉제)의 한계를 느낀 일본이 서양의 직무급을 도입하려고 했지만, 풍토의 차이로 온전하게 도입치 못하고 고육지책으로 만들어낸 개념입니다. 그래서 연공급과 직무급 사이 어정쩡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지요... 각설하고, 직능급이 직무급보다는 개인의 능력을 중시하는 개념이라서, 유연성과 창의성 면에 있어서는 좀 낫습니다. 자신이 가진 '직무 관련 능력'을 직무를 수행하면서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요. 그래서 소품종 대량생산(자동화공정)보다는 다품종 소량생산에서 더 적합한 개념이긴 해요.
+ 그런데 이건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논의입니다. 오늘날 직능급은 직능의 연공화 등의 폐혜로 실제 기업에서 거의 사용되고 있지가 않습니다(모 교수님 책을 보면 "오늘날 직능급은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점하지 못하고 사라지고 말았다."고 표현하실 정도 입니다)
오 네네 자세히 답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소품종 대량생산이면 다품종에 비해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을 거고 숙련도에 의존할 테니 굳이 따지자면 직능급보다는 연공급으로 장기근속 유도하는 게 나을 것 같아요
넵넵 그렇게 이해하면 될 것 같아요 ! 답변 감사드립니다!! :)
누구들으시는지는 모르겠지만, ㅈㄹT교재 중 직무▪︎ 직능급 비교에서 오히려 직무분석-직무평가 실시가 힘든 중소기업에 직능급적용이 용이하다고 되어있습니다.
근데 생각해보면 둘다 맞는말 같아요.
오,, 그런 측면에서는 중소기업에 적합하다 볼수도 있겠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