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농사을 짓기 위한 귀농이 아니라면
많은분들이 산촌이나 어촌을 많이 택하시더라구요.
나름 자기의 취미와 취향에 맞는 곳에 노후생활을 즐기길 원합니다.
산촌은 약초에 관심이 많은분들,
어촌은 주로 낚시를 좋아시는분들...
어떻든 여긴 섬으로 귀어촌방이니
바다를 사랑하고 어촌을 좋아하시는분들이 즐겨찾는 방입니다.
바닷가는 동적이며 분위기 자체가 시원하며 보다 할 소일거리와
나의 취미를 즐길수 있어 이미 사방이 바닷가인 섬으로로 귀어촌했습니다.

많은분들이 귀어촌을 바라며 함께 동행하여
후보지를 탐사해 보길 원하며 정보를 얻고자 합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함께 후보지를 탐사한다는것,
바람직하지 않다고 봅니다.
그것은 이미 엄급한 개인취미와 취향이 다르므로 보는 눈이 다르고
나는 좋은데 다른분은 전혀 아닐수도 있는거죠.
(요것은 다음에 말씀드리겠습니다.
제가 탐사다녔던 경험이요.
바닷가 면단위에는 부동산사무소도 없고 어떤 땅이 매물로 나와있는지 이웃도 모릅니다.
남해 다도해 국립공원지역은 건물 신축이나 개축시 제한받는곳도 많으며
토지등본만으로는 시골땅이 제대로된게 하나도 없습니다 더눅 자세한것은 다음에 ...)

먼저 귀어촌을 하고자 한다면 먼저 큰 그림부터
큰 테두리에 노선을 그려 차츰 접근을 해야지 단순하게 아무 생각없이
서해부터 남해 동해까지 무작정 돌아 다닌다면 시간낭비 돈낭비이며
아무것도 결정하질 못합니다.
드넓은 바다가 내려다 보이고 점점히 둘러쌓인 다도해
멋드러진 갯바위가 근접해 있으며
누가 보아도 경치 참~! 좋다.
이런곳에 집 하나 짓고 살면 좋겠다.
돌아다니다 경치 좋은곳을 보면 이런 말들을 합니다.
하지만 이런곳에 매일 경치만 보면서
귀촌하여 몇십년을 살수 없습니다.
몇개월만 살면 "인자 뉘난다" 할겁니다.

먼저 무엇을 하며 살건지 정하고 주업을 선택합니다.
두번째 세번째까지 부업도 정해야 합니다.
시골에 살면 뭘할거냐 물으면 ( 뭐~ 텃밭가꾸고...)(뭐~낚시나 하면서...)
말을 흐리면 대답합니다.
텃밭, 1년중 6개월뿐 못합니다.
낚시, 1년중 6개월 밖에 못합니다.
나머지는 무엇을 하면 살겁니까?
어떤이는 배하나 사서 낚시배 하면서...
해수욕장 근처에 펜션을 하길 원하는 이도 있습니다.

주 수입원이 있어야 합니다.
큰 소득보다는 일거리가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낚시배나 펜션은 이미 포화상태입니다.
고기가 잡히지 않으면 낚시배 손님이 올일 없고
펜션을 지은들 잠만 자려고 멀리까지 오질 않습니다.
예로 청산도에 슬로시티로 지정되어 수많은 관광객이 몰려와
그곳에 펜션을 지으면 많은 손님을 받을거라 단순하게 생각합니다.
손님이 많아지면 콘도나 리조트가 생깁니다.
참 어렵습니다.
바닷일 생각보다 더 힘듭니다.
일보다도 환경자체가 더 어렵습니다.
일기에 매우 민감하며 요것은 스트래스와도 연결됩니다.

글을 쓰다 보니 제가 말씀드리고 싶었던 내용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네요 ㅎㅎㅎ
바닷가로 귀어촌을 원하시면
몇가지만이라도 알았으면 합니다.
강원도쪽 동해북부지역은 우리나라에서 조수간만의 차가 80cm이내로 가장 작으며
섬도 없고 갯뻘도 없으며 갯바위도 완만하여 낚시도 어렵습니다.
내만이 없고 주로 중장거리에서 잡는 어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형어선보다는 중대형 어선으로 잡는어업이 많습니다.
파도와 너울이 심하여 양식업도 발달되지 않았죠.

다음은 따뜻한 남쪽나라 남해입니다.
남해는 여수를 중심으로 남해동부와 남해서부로 나뉩니다.
따뜻한 크로시오 난류가 남쪽바다에서부터 여수를 지나 부산 동해쪽으로 흐릅니다.
여수 통영 거제 남해 부산등 남해 동부지역은 완도나 진도 신안보다 위도상 북쪽에 있지만
훨씬 따뜻하며 눈도 적게 오고 바다에서 나오는 어종도 난류성 한류성어종등 아주 다양합니다.
조수간만의 차는 부산1미터이내, 목포는 4미터내외이며
어류 어폐류 어초등 모든것의 양식업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갯바위도 잘 발달되어 있으며 수심도 깊어 낚시꾼들에게는 천국인거죠.
동해나 서해에 비해 바람도 적으면(태풍제외) 섬들이 많아 너울 파도도 적습니다.

서해입니다.
조수간만의차가 목포4미터내외, 인천8미터내외로 아주 큽니다.
맨손 어업이 매우 발달된 곳입니다.
굴과 조개 소라 낙지등 맨손으로 잡는 어업으로 취미나 체험하기는 참 좋은곳입니다.
갯바위는 없는편이며 조류가 매우 빠르고 물색도 탁합니다.
낚시꾼들의 로망인 감성돔은 군산 남부지역에서만 나오며
낚시배는 대체적으로 톤수가 큰걸 사용하여 중장거리로 선상 낚시를 많이 합니다.
소형선박으로는 낚시배 영업하기가 어려운곳입니다.
우럭 광어등이 잘 나옵니다.
갯뻘이 발달되어 다양한 어패류가 많아서 홰루질 하시는 분들도 즐겨 찾는 답니다.

이상 몇자 적어봐습니다.
귀어촌에 관심계신분들 큰그림으로 참조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추자도는 영등철까지 쭈~욱 낚시 피크시즌일듯합니다.ㅎㅎ
이곳 내만은 이미 10월중순에 마무리 되고 배는 높은 뻘등에 올려놓았답니다.
내년4월을 기다리며 가끔 만조때 시동만 걸어보고 있네요.
항상 안전낚시 즐건낚시 하십시요 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정보가 되었다니 감사드립니다.
건강 하시고 좋은일만 가득 하세여 ^^*
어제 밤에 글을쓰고 다시 읽어보니깐
도대체가 무슨말을 했는지...ㅎ
지워버릴까 하다가 댓글이 있어 그냥 놔둡니다 ㅎㅎㅎ
열공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공부는요 ㅎㅎㅎ
새해 소망 이루시길....
많은분들이 보시고 도움되겠어요
역시 남해로 해야겠어...
귀중한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어촌을 선택시 필독 사항 같습니다. 정말 바다를 잘 아시는 분이시네요. 감사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세상사 내마음대로 되는게 몇 있나요,,,저또한 역이민 할려고 모든 준비다한 마당에 아내가 조금 꺼리는 눈치고요,,,,
많은이에게 도움된 말씀 감사합니다
2탄도 기대합니다...
너무 좋은 말씀들만 해주셧군요
우선은 기본적인 약간에 생활비
부업 소일꺼리 등 나는 1 톤미만에 작은 배라도 꼭 있어야 한다고 늘 생각함니다
어업권도 사야 하고요 그래야 면세휴발유를 살수가 있으니
남해가 가장 좋은 곳이라고 늘 생각함니다
어촌에서 자기배는 필수죠.
하지만 자동차처럼 선박은 관리가 쉽지 않습니다.
평소에는 선창에 정박해둔 배도 조금만 바람이 불면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켜야 하고
선박의 모든 쇠붙이들은 금방 녹이 발생함으로 신경을 많이 써야하며
배의 밑바닥도 (쩍)이라고 부르는 어패류가 붙지 않도록 전용 페인트(비쌈)도 자주 칠해 주어야하며
고장이 나면 자동차처럼 카센타에 갈수 없어 출장을 불러야 함으로 수리비가 많이 듭니다.
선박의 면세유를 받기 위해서는 어업권을 살 필요는 없습니다.
면세유는 지역 수협에서 지급함으로 수협조합원에 가입하면 됩니다.
수협의 말단조직이 마을 어촌계임으로 먼저 어촌계에 가입하고 수협에 출자금 내고
가입하시면 면세유 지급받습니다.
꼭! 좋은 남해바다 어촌에 정착하시길 바랍니다.
너울과 파도님의글 전적으로 동감 합니다.
그래서 지금도 헤매고 있지요.
글 감사히 잘 읽고 갑니다.
행복 하세요.
시골 동네를 택할때 동네 너무 깊숙이 집이 자리하는것도
이방인에게는 좋지 않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외딴집도 안 좋구요. 너무 외롭고 사회생활해야 하며
모르는건 물어볼사람, 어려울때는 도와주실분이 있어야 함으로
마을 일원이 되는게 좋다고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토착민이 사는 마을의 둘레나 끝 즉 가장자리의 집터에
이방인들은 사는게 좋다고 하더라구요 ㅎㅎ
@너울과파도 갯벌에 조개 캐고 낙지도 잡아보고 가끔은 배타고 낚시도 하보고.
이런 상상만 하네요.
좋은 말씀입니다. 강추합니다
많이 답사해서 얻은 교훈을 적어 주셨군여 ..여러귀어분들께서 유익한 정보라 생각합니다..
좋은 말씀에 감사 드립니다, 저는 내년 3월 퇴직후 전남 신안 도초면으로
귀촌 예정 입니다,
저는 부산에 살지만 전국적으로 낚씨를 다녀봐서 대충은 지리적여건은 알고 있읍니다
공감이 가는글 이네요.
저는 완도 금일에 살고 있습니다.
금일 생일도 참~ 좋은섬에 사시네요.
당목항에서 배가 들어가죠?
낚시하러 갯바위에는 내려 봤지만 섬 내부엔 안들어가 봤네요.
감사합니다
ㅎㅎ 이곳이 있어 행복합니다...
좋은 말씀입니다~^^
어촌에서 자기배라 하면..어느정도 규모 몇톤 정도 이며 허가 사항은 무엇이며..인터넷으로 알아봤는데 너무 어려워요 연안복합, 자망 양식장 관리선, 연안통발... 선박 유형도 낚시배/선외기/어선...무슨차이인지 모르겠어요...배 가격도 천차만별..허가증 있고 없고..어떤 종류 배가 필요한지..가격은 어느정도가 적당한지..허가는 뭐가 필요한지... 저는 현재 미국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는 55세 인데요..한국에 돌아가 어촌이나 섬에서 살고 싶어하거든요..게시판에 1월3일자 글도 있으니 보시고 답변좀 부탁 드립니다..감사 합니다
안녕하세요.
일단은 자기배를 어떤용도로 사용하시고 싶은신지요?
1톤미만은 2~3인승,2톤미만은 4~5인승 정도입니다.
연안복합은 낚시어업 주낚 문어단지 퍠류껍질등의 어업활동이며 가장 흔한 어업허가입니다.
연안자망은 말 그대로 그물질하는 어업허가이며
관리선은 양식장의 관리선임으로 다른분에게 양도 양수할수없는 허가입니다.
연한통발은 낚지나 문어등을 잡기위한 통발어업허가입니다.
관리선을 제외한 어떠한 어업허가로도 낚시업은 가능합니다(군에 낚시업을 별도로등록함)
2~3개 어업허가를 동시에 갖을수도 있답니다.
개인적으로는 연안자망이 제일 좋을듯(낚시및 그물질을 동시에가능)합니다.
선박(배)의 엔진은 선외기 선내기로 나눕니다.
말 그대로 배 외부엔 엔진이 달리면 선외기 보통 (쎄네기라고 부름)
내부에 달리면 선내기이죠
선외기는 2사이클 4싸이클 엔진이나오며 2싸이클은 앞으로 단종엔진이랍니다.
4싸이클 엔진은 연비가 좋도 공해가 적은데 출력이 딸린답니다.
선내기엔진은 큰선박엔진이며 디젤엔진입니다.
배가격은 선체와 엔진 그리고 허가권으로 크게 나누는데
2톤미만 전남기준으로 선체1500 엔진2500 허가권1500정도이며
허가권의 매매가는 도마다 다릅니다.
이상 제가 아는거 적어봅니다
@너울과파도 참 돈만 있으면 워터제트엔진이라고
수상오토바이나 장거리 여객선등에 사용하는 엔진을 사용하면 좋은데
쫌~ 비싸답니다.
로프에 감길 염려도 없고 아주 낮은 수심에도 다닐수 있다는데 ㅋㅋ
@너울과파도 개인적인 생각으론 워터제트엔진 보다 스큐류 스타일이 좋읍니다.
제트엔지은 밧줄이나 질긴 물질이 빨려 들어가면 끊을 수도 없읍니다.
바로 견인입니다. 하지만 스쿠류는 물속에 들어가서 끊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견인까지 가지 않읍니다.(스쿠류와 제트스키를 사용한 1인....
정말 감사합니다 너울과파도님.. 이제 이해가 되네요..엔진은 내부에 있는게 좋을듯한데..제게 맞는것은 ..
1톤 미만 2- 3인승인데 가능할지 모르겠네요..허가권은 연안자망이구요.
첨부터 비싼 워터엔진은 무리가 아닐까요...어느정도 배에 대한 윤곽은 잡히네요...
정말 다시 감사드립니다
3번째 사진 낚시대 휨새가 죽음 임니다^^ 그런대요 한강에서 조종면허 시험보는데요 그걸로 물놀이 뽀트뿐만 아니라 어선배 조종이 가능 한가요? 아니면
어선전용 면허시험이 따로 있나요?
한강에서 시험보는건 동력수상레져조정면허1,2급입니다.
이걸로는 5톤미만 동력5마력이상의 자가용배(어선포함)의 조종이 가능합니다.
5톤이상 25톤미만의 조종을 원하시면 추가로 해기사면허(소형선박조종면허)를 취득해야합니다.
낚시업을 등록하여 사업을 하시려면 소형조종면허가 필요하며 혼자나 지인과 낚시하실거면
수상레져면허만으로도 가능합니다.
@너울과파도 소형선박조정면허!! 감사 합니다.
저도 섬에서 살고 있지만 도시에서 살고 계신분들이 파도소리 들리는 바닷가가 좋다고 하는데......
도시의 자동차 소리가 소음이 듯이 파도소리도 계속 들으면 소음으로 들릴 때가 있습니다...=^.^=
참 행복한 소리만 하시는군요^^ 이런걸 "가진자의 여유"라고 하나요?^^
너울고 파도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됬습니다. 감사합니다.
따뜻한 마음이 느껴짐니다. 정보 고맙습니다.
도움이 만이 도엇슴니다
모든게 복잡하군요
너울과 파도님은 지금 어디에 사시나요? 이렇게 훌륭한 내용은 보다보다 첨 봅니다 ㅎㅎ 내용 너무 감사하고요 님의 개인적 의견으로 어디를 제일 추천하시나요? 아래의 조건을 갖춘 곳을 찾고 있습니다.
1. 민물 바다 낚시를 차로 20분 이내에 갈 수 있는 곳
2. 기후가 좋을 것 - 눈이 안오는 곳 선호
3. 움식물이 좋은 곳
4. 차로 30분 이내에 인구 3만 이상 되는 곳 도달
5. 땅 값이 평당 30만원 정도 되는 곳
6. 텃세가 높지 않은 곳
이런걸 물어볼 사람을 찾아 온 인터넷을 헤메고 다녔는데 드디어 임자를 만난거 같군요 ㅎㅎㅎ
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