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중국의 대표 통신기업, 화웨이와 레노버의 성공전략 비교 | ||||||||||||||||||||||||||||||||||||||||||||
---|---|---|---|---|---|---|---|---|---|---|---|---|---|---|---|---|---|---|---|---|---|---|---|---|---|---|---|---|---|---|---|---|---|---|---|---|---|---|---|---|---|---|---|---|---|
작성일 | 2013-07-26 | 국가 | 중국 | 작성자 | 심재희(칭다오무역관) | ||||||||||||||||||||||||||||||||||||||||
--> -->
중국의 대표 통신기업, 화웨이와 레노버의 성공전략 비교 - 자체 기술개발의 강자 화웨이, 최고의 글로벌 기업 레노버 -
□ 화웨이 VS 레노버 개황
□ 영업전략의 차이
○ 화웨이 - (가격) 각 나라와 지역의 경제여건에 부합하도록 가격 책정 - (판매망) 고정네트워크와 이동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독점대리 방식을 택함. - (판촉전략) 해외 업체들과 전략적 파트너관계를 맺어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 신흥시장에 대해선 공공사업·금융·교통·통신 등 다방면 지원
○ 레노버 - (가격) 시장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가격책정 - (판매망) 전문 판매점, 대형마트, 레노버 홈페이지와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해 제품판매 - (판촉전략) 중국 시장 고객을 화이트컬러, 게임선호, 대학생, 농촌계층의 네 가지 그룹으로 분류해 각 그룹의 요구에 맞춘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함. 신흥시장에는 지역성장 동력제공, 거대한 판매시장 확보, 전속 운영체계 구축의 전략을 취함.
□ 마케팅 전략의 차이
○ 화웨이 - (기술 내재화) 내재적인 연구개발 역량을 키워 자체기술 브랜드로서의 가치를 높임. - (서비스 차별화) 질적으로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고객의 요구에 즉각 반응함. - (제품 차별화) 제품질량, 디자인 등에 차별화를 두고 제품의 핵심부분이 경쟁사와 유사할 경우 제품의 이미지를 바꿈.
○ 레노버 - (인수합병) 대외직접투자를 통해 국제 시장에 진입함. 특히, 2005년 미국의 IBM PC사업부를 인수하면서 브랜드, 기술, 국제적 기업 관리구조를 가지게 됨. - (프로텍트& 어택전략) 핵심사업은 보호하면서도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안정적인 성략 동력을 확보함. - (맞춤형 글로벌화 전략) 각기 다른 시장특성에 맞는 전략을 세움으로써 시장진입을 시도하면서도 직영매장을 늘리는 것에 역점을 둠.
□ 성공요소의 차이
○ 화웨이 - 선발 업체들과 같이 도시지역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농촌 지역에서부터 통신시장 공략에 들어감. 그 결과 농촌 지역에서 벌어들이는 수익을 바탕으로 성장동력을 가질 수 있었음. - 1995년 당시 경제력은 떨어져도 잠재적 역량을 가진 아프리카, 아시아 일부국가에 투자함. 이러한 제3시장 개척은 2001년이 돼서야 비로소 빛을 보게 됐고, 연간 매출 3억 달러를 넘어서게 됨. - 자체 기술개발을 매우 중시해 창사 이래 매출의 10%를 연구개발(R &D)에 투자함. 이것은 화웨이가 자립기술을 다지는 밑거름이 됨. 전 직원의 45%가 엔지니어인 것도 기술을 중시하는 면모를 잘 보여줌. 화웨이는 현재 가장 많은 특허를 내는 기업 중 하나이기도 함. - 스마트폰시장에는 2010년에 첫 출사표를 던졌는데, 중저가 스마트폰시장을 축으로 성장을 이룸. 최대 규모의 스마트폰시장인 중국에서 본토 브랜드라는 이점도 함께 작용한 결과임. - 6개월 마다 CEO를 바꾸는 ‘로테이팅(Rotating) CEO’ 제도를 통해 기업의 변화와 혁신을 향한 의지를 담음. 그 결과 빠른 성장을 이뤄 세계 1위 네트워크 장비 기업인 스웨덴의 에릭슨 사와 1~2위를 다투게 됐고, 스마트폰사업은 세계 3위로 올라섬.
○ 레노버 - 인수합병 능력이 뛰어남. 레노버의 터닝포인트라고 한다면 역시나 2005년 IBM 인수를 꼽을 수 있음. 이를 통해 레노버는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었고, 단숨에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했음. - “작은 걸음으로 빨리 달린다(小步快跑)”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세워 신제품을 끊임없이 생산하고, 재고는 줄이는 방식을 택함. 이로 인해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이 굉장히 빨라졌는데, 이것은 PC시장 전체의 비즈니스 모델이 됨. - 미수금은 중국 시장에서 많은 기업이 고민하는 문제인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함. 레노버는 해당 사업부서와 판매직원에까지 직접 미수금을 관리하고 통제하게 함. - IBM을 인수하면서 동서양 기업문화가 결합된 경영 방식을 내세웠고, 이는 레노버의 혁신을 가져다 줌.
□ 최근 동향(2011~2012년)
○ 화웨이 - 스마트폰시장 경쟁에 본격적으로 합류한 화웨이는 ‘어센드 D쿼드’를 통해 고급브랜드로 가는 신호탄을 알림. 전략적 다변화를 위해 기존의 하드웨어뿐 아니라 모바일 OS개발, 클라우드 컴퓨팅 등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에도 주력하고 있음.
○ 레노버 - ‘블랙베리’로 유명한 캐나다의 림(RIM) 사를 인수하려 하고 있음. 림을 인수하면 스마트폰시장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함. 2011년 일본 통신·전자업체 NEC의 PC사업부를 인수했고, 최근에는 일본 샤프의 중국 난징 소재 LCD TV공장 인수를 추진 중 -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자리를 내준 PC시장에서 레노버의 PC출하량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음. 심지어 지난해까지 13분기 연속으로 전 세계 PC 제조업체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음.
□ 향후 발전전략
○ 화웨이 - 삼성과 애플을 뛰어넘겠다고 밝힌 만큼, 스마트폰 방면에서의 발전이 주목됨. 2012년 ‘어센드D 쿼드’를 통해 자체 생산한 AP쿼드코어 프로세스를 선보였고, 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하이엔드급 스마트폰을 내놓을 수도 있음. -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를 위해 힘쓰고 있는 화웨이는 앞으로 자체 플랫폼을 통해 개방형 애플리케이션 생태계를 구축할 가능성이 있음. - 2020년 상용이 예상되는 5G 이동통신 선점을 위한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음. 화웨이도 이에 각축전을 벌이고 있으므로 기술개발, 표준화 정도에 따라 앞으로의 시장 점유율을 예상해 볼 수 있음.
○ 레노버 - 새로운 ‘PC+ 시대’를 정의하는 4 스크린 제품(PC, 태블릿, 스마트폰, 스마트TV)을 세계로 공급한다는 내부 전략방침에 따라 사업 다각화에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 ‘레노버 웨이(Lenovo Way)’라는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동서양을 아우르고 속도와 유연성을 중시하는 등 장점을 더욱 극대화해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키고 있음. 또한, 글로벌 기업답게 각 나라의 문화적 특징에 맞춘 다양한 인재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레노버의 발전 가능성을 키워줌. - 저가 제품을 생산한다는 중국 업체의 브랜드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고가, 고사양의 프리미엄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될 전망
□ 시사점
○ 기존 고가의 제품 라인만을 구성하던 애플도 보급형 스마트폰 출시를 준비 중에 있는 등 최근 중저가의 스마트폰시장은 점점 확대되는 추세임. 이러한 가운데 기존 중저가라인을 겨냥해 제품을 생산하면서도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시장을 확대해나가며 글로벌화하고 있는 중국 로컬기업의 화웨이와 레노버의 성장력과 행보를 주목할 필요가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