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김재현
    2. 용용이용
    3. 0hee
    4. sunny1204
    5. 아이린 김영진
    1. 불멸의 찰리
    2. 라라진
    3. 이선생
    4. 홍이환이
    5. 까망119
 
 

지난주 BEST회원

 

지난주 BEST회원

 
 
카페 게시글
[사는얘기]알콩달콩,지끈 Re:故최윤희씨 유서전문 - 정말 짠하네요ㅜ
안해근 추천 0 조회 216 10.10.09 09:20 댓글 1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0.10.09 09:35

    첫댓글 제가 고인이 되신 최윤희님의 입장에서 온전하게 말씀드릴수 없겠지요.
    하지만, 인터넷에 올라올 기사와 정황들을 봤을때 최윤희부부께서 자살을 선택하신건 자식들의 효심이 부족했다기 보다는 병으로 인해 남은 여생에서 희망을 찾지 못했음이라 생각합니다.
    종교적인 믿음이 약하여 자살한것이라 생각하지 않았기에 최윤희님의 선택을 이해하기 위한 저의 노력은 그저 안타까움이 크게 묻어날 뿐이네요.
    최윤희님과 남편분이 삶에 대한 통찰이 부족한 분이 아니라 생각하기에 보통의 자살처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자살에 대한 찬반을 논하기는 싫고요~ 다만 최윤희님과 남편분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니 ㅠㅠ

  • 작성자 10.10.09 13:05

    반갑습니다. 토정신과학선생님^^ 최윤희부부께서 자살을 선택하신건 자식들의 효심이 부족했다기 보다는 병으로 인해 남은 여생에서 희망을 찾지 못했음이라 생각하신다고... 제 생각에도 그게 맞겠습니다. 아무래도 저의 이야기는 한편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는 것이 되겠네요. 감사합니다.^^

  • 10.10.09 10:22

    안해근 선생님 오랜만입니다!! ^^ 잘 지내고 계시죠? 저는 신앙은 없지만... 자살이 경우(안락사 등)에 따라 정당화될 수 있다 또는 그렇지 않다라는 판단을 하려는 것은 아니고요. 진실로 사랑했던 저 노부부가 삶의 마지막 순간에 얼마나 힘들었을까? 그렇게 아내를 보내야 하는 남편은 또 얼마나 가슴이 아팠을까하는 생각에서 유서를 올린 것입니다. 그것이 법적으로 윤리적으로 또는 신앙의 관점에서 잘못된 것일지라도 같은 인간으로 '오죽했으면 그런 선택을 했을까?"라는 연민의 감정있잖아요. 그렇게 양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작성자 10.10.09 13:10

    고맙습니다.^^
    저도 그런 시절이 있었지요. 정말 죽고 싶었고... 그러나 죽지 못했습니다. 이유는 간단했습니다. 내 참혹한 시체를 가족들에게 남기고 싶지 않았습니다.
    고야 정원일 간사님의 존재는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희망입니다.^^^^

  • 10.10.10 08:47

    유서를 남편과 같이 읽으면서 흐느껴 울었습니다. 얼마나 고통스러웠으면...
    안해근님께서도 정말 죽고 싶은 시절이 있었군요. 저는 그런 고통까지 아직은 느껴보지 못했구요. (무의식중에 고통을 맞이하기가 어려웠다고 생각했는지 고통을 회피하면서 살았더라구요.)그렇지만, ...올해 친정아버지께서 폐암으로 다른 세상으로 돌아가셨습니다. 폐암투병시 제가 안타까웠던 것은 마음에 고통을 맞이하지 못하고 고통속에서 지낸 모습이었습니다. 몸의 고통은 의사가 마약 성분으로 고통을 견디게 해 주었지만, 마음의 고통은(두려움, 잡념등) 아버지 스스로 이겨내야 하는 부분이었습니다. 가족들의 격려와 지지도 중요하지만

  • 작성자 10.10.09 20:53

    죽고 싶었다지만.. 저 부부의 고통만큼은 아니었지 않나 싶습니다. 마음의 고통은(두려움, 잡념등) 환자의 몫이기도 하지만 곁에 있는 가족들의 지지와 체휼(體恤)이 필요하다는 뜻에 공감이 갑니다.

  • 10.10.09 17:33

    아버지 스스로의 몫이 컸습니다. 저도 처음에는아버지가 좀더 넓은 마음으로 수용하기를 바랬고 안타까워 했지만, 아버지 마음과 같이 고통에 머물어서 함께 하는 마음이 중요했음을 가신뒤에 알고 통곡했습니다. 그 고통이 아직도 남아있고, 그 고통으로 배우고 있는 것은 그분들의 자라온 환경과 상황등 여러가지 함께 생각해 본다면 우리는 그 어느 누구라도 판단할 수 없음을 알게되었지요.
    또한 예상치 못한 고통이나, 어려운 문제는 그 것을 마음에서 받아들이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고 과정이 필요함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 교육이나 사회정서에는 그러한 교육이나 삶의 지혜가 흔치 않음에 안타까움이 많네요.

  • 작성자 10.10.09 20:39

    예상치 못한 고통이나, 어려운 문제는 그것을 마음으로 받아들이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고 과정이 필요함을 일깨워주는 것.. 오늘날 호스피스가 상당부분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혜택 받는 분들은 전체환자들의 10분의 1도 안 된다고 하네요.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0/08/2010100802109.html

  • 10.10.09 17:43

    우리 교육은 ~ 해야만 된다라는 책임과 의무 그리고 이성적 판단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고, 사람들의 다양성과 그 다양한 사람들이 느끼는 감정에 대한 중요성에는 저조합니다. 균형이 맞지 않는 것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거나 행복하지 못하는 요인이 있다고 저는 생각해 봅니다. 제 의견이 길었네요.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라서 이해바랍니다.
    안해근님께서는 행복전도사님같이 공인이 그러한 선택에 많은 사람들이 미칠 영향에 걱정이 되셨는지요? 남아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뒷마무리를 걱정하는지요?

  • 작성자 10.10.09 20:48

    우리교육.. 그저 공부 잘해야 된다. 출세하고 성공해야 한다. 좋은 대학 들어가야 된다는 식이지요. 정치인들의 책임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종교인들도 이에 못지 않고... 다양성을 흔쾌히 받아주고 다름을 인정하는 도량이 여전히 아쉽지요. 사교육광풍을 일으킨 근원을 살피면 무언가 해답이 나올 것 같습니다. 직종간 계층간 소득격차가 날이 갈수록 심화된 것 하며...

  • 작성자 10.10.09 20:51

    삶을 보다 긍정적으로 관조하고 인생의 아름다운 뒷마무리를 위해서는 종교에 귀의하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 10.10.11 10:26

    안해근 님의 글에 의도가 그런 뜻이었군요. 좋은 말씀이네요. 우리는 불완전한 존재니깐 필요하다고 봅니다. 저도 언제가는 죽음에 이를 것이고, 그 앞에 후회가 없기 위해서그리고 신의 말씀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내가 어디서 왔는지? 어디로 가는지? 어떤 가치로 살 것인지? 묻고 가려고 노력은 하지만 때론 버겁고, 좌절스럽고, 고통스럽습니다. (신의 가르침대로 살면면 고통없이 살수있는데...)그러나 다행인 것은 그러한 고통을 느끼기에 다른 사람의 좌절과 고통 역시도 크기, 강도의 차이가 문제마다 다 다르구나! 볼수 있었습니다. 나와 엄청 다른 상대를 세심히 살피는 것이 진정한 존중임을 알아가고 있는 것 같아요.

  • 10.10.11 10:02

    물론 아직은 이성적인 지식적으로 안 부분이 매우 큽니다. 감정적으로 그것을 느끼게 잘하려고 하면 먼 길이겠지만, 포기하고 싶지는 않네요. 그러나 큰 장애가 있는데 그것은 삶에 실천없는 이성적 아는 지식을 아는 것으로 착각하는 것과 상대의 감정에 비를 같이 맞아주기 보다는 우산을 씌어주고 싶어서 답을 주고 있는 오래되고 무거운 저의 습관입니다. 이 습관 오래되고 무겁기에 바로 바뀌지 않음을 인정하기에 나 자신과 타인들에게도 조급하게 바라지 않게 되는 마음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누구나가 이렇게 나름대로 노력하는 과정이겠지요. 이 과정속에 종교의 가르침과 함께 하면 더 힘이 될 것 같네요.

  • 10.10.16 11:13

    고맙습니다. 안해근님! 이 글을 쓰면서 나를 다시 마음을 정리하게 되기도 하고 오만하고 자만한 나를 더 관찰해서 겸손해 지고 싶어 집니다.

  • 10.10.16 11:24

    오늘 다시 최윤희님의 유서를 읽으면서 아쉬운점이 생각났습니다. 남의 일 같지 않고 나의 일이기에 마음이 더욱 아파서 미처 보지 못했던 부분이 생각나네요. 자살한 나름의 고통이 크고 힘들었겠지만 계속 우리의 희망이 되어으면 했던 기대가 있었는데 그 부분이 아쉽네요. 저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 하고 아쉬운 부분일꺼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 우리 자신이 희망이 되면 되지 !' 라는 생각도 들지만, 행복전도사로서 기대가 있었서 그랬나봅니다. 아쉽고 안타깝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