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편 : paint.net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활용
인쇄할 지도 이미지 만들기
종이에 인쇄할 지도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에는 [지도의 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와 [지도의 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가 있습니다. 이들 중에 각자 편리한 방법을 선택해 사용하면 됩니다.
[지도의 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
일반적으로 종이 도엽 또는 종이 지도의 수직 상향은 진북입니다. 그러나 [1편 : 지도 이미지 다운로드하기]의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든 도엽의 이미지는 도북이 수직 상향이기 때문에 해당 이미지를 그대로 종이에 인쇄하면 종이 지도의 수직 상향은 도북이 됩니다.
1. [2편 : paint.net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활용]에서 소개한 paint.net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파일(F)]의 [열기(O)..,]를 클릭하여 [열기]창이 열리면 [국토정보플랫폼]의 [통합지도검색]에서 다운로드한 도엽 이미지를 엽니다.
2. 아래 그림의 1번을 클릭하여 선택창이 열리면 [센티미터](2번)를 클릭하여 선택한 후 [직사각형 선택] 아이콘(3번)을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3. 아래 그림과 같이 도엽 이미지상에서 임의로 직사각형의 영역을 선택합니다.([2편 : paint.net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활용]/[paint.net의 기본 사용법]/6.항 참조) 그러면 선택 영역이 100% 배율로 인쇄되었을 때 실제 인쇄 크기(가로 x 세로)가 프로그램 하단(2번)에 표시됩니다. 이렇게 인쇄된 지도 이미지는 지도 고유의 축척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4. 일반적으로 인쇄에 사용되는 용지의 크기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지도 이미지를 A4 용지에 세로 방향으로 인쇄할 경우 용지의 크기(가로 x 세로)가 21.0cm x 29.7cm이고 각 변에 1cm 정도의 여백을 준다면 지도 이미지의 크기(가로 x 세로)는 19cm x 28cm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이번 안내문도 지도 이미지를 A4 용지에 세로 방향으로 인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5. 아래 그림과 같이 [선택 영역 이동] 아이콘(1번)을 클릭하여 선택하고 직사각형 선택 영역의 한 모서리 부분을 크게 확대한 후 직사각형 선택 영역의 크기(가로 x 세로)를 19.00cm x 28.00cm(2번)로 조정합니다.([2편 : paint.net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활용]/[paint.net의 기본 사용법]/9.항 참조)
6. 아래 그림과 같이 도엽 이미지 전체가 보일 정도로 축소한 다음 19.00cm x 28.00cm 크기의 직사각형 선택 영역이 인쇄를 원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킵니다.([2편 : paint.net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활용]/[paint.net의 기본 사용법]/7.항 참조)
7. 위 그림과 같이 전형적인 도엽 이미지에서는 19.00cm x 28.00cm 크기의 직사각형 선택 영역이 어떤 곳에 위치하든 그 안에 최소 한 개 이상의 경도선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아래 그림의 온맵 도엽 이미지에서는 19.00cm x 28.00cm 크기의 직사각형 선택 영역 안에 경도선이 한 개도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8. 인쇄된 지도 이미지에 경도선, 즉 진북의 방향이 표시되어야 여기에 자편각을 적용하여 자북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그림과 같이 인쇄할 직사각형 선택 영역 안에 경도선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다음 절차에 따라 경도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을 그려 넣어야 합니다.([2편 : paint.net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활용]/[paint.net의 기본 사용법]/11.항 참조)
(1) 아래 그림과 같이 [선 / 곡선] 아이콘(1번)을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2) 직선의 색상을 [색]창(2번)에서 선택하고, [브러시 크기](3번)를 2 정도로 선택합니다.
(3) 아래 그림에서 경도선상의 4번 지점이 출발점이고 경도선상의 5번 지점이 끝점이 되는 직선을 그립니다. 하지만 영역 선택이 된 상태에서 영역 밖에 직선을 그리면 투명하게 표현됩니다.
(4) 투명하게 표현되는 직선을 아래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의 선택 영역 안으로 이동시키면 1번과 같이 정상적으로 표현됩니다. 그리고 [✔마무리](2번)를 클릭하여 직선 이동하기를 완료합니다.
9. 이렇게 도엽 이미지에서 용지 크기에 맞추어 인쇄할 부분을 직사각형의 선택 영역으로 지정하고 해당 영역 안에 경도선이 포함되어 있거나 진북 방향의 직선을 그려 넣었다면 아래 그림의 [선택 영역에 맞춤] 아이콘(1번)을 클릭합니다.
10. 아래 그림과 같이 인쇄할 이미지만 남아 있는 상태에서 [파일(F)](1번)의 [다른 이름으로 저장(A)...](2번)을 클릭합니다.
11. 아래 그림의 [다른 이름으로 저장]창이 열리면 다음 절차를 수행합니다.
(1) 1번 영역에서 지도 이미지의 저장 위치를 지정합니다.
(2) [파일 이름(N):](2번)에서 지도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이때 위 그림과 같이 산 이름, 지도 축척, 수직 상향인 북방위의 순으로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파일 형식(T):](3번)에서 지도 이미지의 파일 형식을 지정합니다. 이때 지정할 수 있는 파일 형식으로 PNG, JPEG, BMP, TIFF, GIF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GIF 형식은 이미지의 해상도 속성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지도 고유의 축척 그대로 인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PNG, JPEG, BMP, TIFF 중 하나의 파일 형식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이들 중 이미지의 색상 왜곡이 적으면서 파일 용량이 작은 PNG 형식을 추천합니다.
(4) [저장(S)](4번)을 클릭하여 아래 그림의 [설정 파일 저장]창이 열리면 [확인](1번)을 클릭하여 저장을 완료합니다.
[지도의 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
[1편 : 지도 이미지 다운로드하기]의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고 있는 전형적인 도엽의 이미지는 원래 진북이 수직 상향인 국토지리정보원의 도엽을 도북이 수직 상향이 되도록 돌려 놓은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도엽의 진북이 수직 상향이 되게 하려면 우선 해당 도엽에서 도편각(진북과 도북 간의 각도)을 파악한 후 해당 도편각만큼 도엽 이미지를 돌려 놓아야 합니다.
1. 도편각 파악하기
(1) 아래 그림과 같이 우리나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간행한 도엽의 하단부 난외주기에는 편차각 도표가 표기되어 있지만 이 편차각 도표에서 각 북방위의 방향은 잘못 표기되어 있습니다.([활용팁] 게시판 글번호 1439번의 내용 중 2020년 12월호 [방위]에 대한 내용 참조) 하지만 각 북방위 간의 상대적 방향과 도편각은 정상적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 그림과 같이 편차각 도표의 도편각(1번)이 0도(°) 34분(')이고 2번과 같이 진북이 도북의 오른쪽(시계 방향)으로 기운 [국토정보플랫폼]의 도엽 이미지인 경우 왼쪽으로 0° 34'을 회전시켜야 진북이 수직 상향으로 바뀝니다. 참고로 34분(')을 도(°) 단위의 소수로 표현하려면 34를 60으로 나누면 됩니다. 34 ÷ 60 = 0.57이므로 0° 34'은 0.57°가 됩니다.
(2) 아래 그림과 같이 [국토정보플랫폼]에서 다운로드한 온맵 도엽의 하단부 난외주기에는 편차각 도표가 표기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도북이 수직 상향인 도엽 이미지에서 직접 경도선(진북)의 기울기를 측정해 도편각을 파악해야 합니다.
(3) paint.net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파일(F)]의 [열기(O)..,]를 클릭하여 [열기]창이 열리면 [국토정보플랫폼]의 [통합지도검색]에서 다운로드한 도엽 이미지를 엽니다.
(4) 아래 그림과 같이 paint.net 프로그램에서 경도선을 따라 직선 그리기를 하면 시작점(1번)을 기준으로 한 끝점(2번)의 방향이 프로그램 하단(3번)에 각도로 표시됩니다. 이렇게 직선 그리기를 통해 경도선의 각도를 측정하면 더 이상 직선은 필요 없으므로 아래 그림의 [실행 취소] 아이콘(4번)을 클릭하여 해당 직선을 지웁니다.([2편 : paint.net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활용]/[paint.net의 기본 사용법]/11.항, 12항 참조)
(5) paint.net 프로그램에서 직선 그리기의 각도는 아래 그림과 같이 정확한 우향이 0°가 되며 이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돌수록 각도가 증가하여 양수가 되고, 시계 방향으로 돌수록 각도가 감소하여 음수가 됩니다. 따라서 상향이 90°, 하향이 -90°, 좌향이 180° 또는 -180°가 됩니다.
(6) paint.net 프로그램에서 경도선을 따라 밑에서 위로 그린 직선의 방향이 90°일 때 진북이 정확히 수직 상향이 되는 것이므로 앞서 (3)호에서 경도선을 따라 그린 직선이 89.39°인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0.61°를 돌려야 진북이 수직 상향이 됩니다. 즉, 해당 지역의 도편각이 0.61°란 뜻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한 도엽 안의 경도선들은 서로 평행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평행에서 미세하게 틀어져 있습니다. 북반구에 위치한 도엽의 경우 북극점에 가까울수록 경도선 간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입니다. 온맵 도엽 이미지의 경우 좌측과 우측에 경도선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3)호의 온맵 도엽 이미지는 좌측 경도선의 각도가 89.39°, 우측 경도선의 각도가 89.47°입니다. 이 두 각도를 더한 후 2로 나누어 평균 각도를 구하면 89.43°가 됩니다. 이 각도는 도엽 정중앙에서의 진북 방향을 뜻하는 것이며 이 각도를 기준으로 도편각을 구하면 0.57°가 됩니다. 이는 앞서 1.항 (1)호의 편차각 도표에 표기된 도편각과 일치합니다. 즉, 동일한 도엽 번호(378093)라면 전형적인 도엽이든 온맵 도엽이든 도편각은 일치합니다. 그러므로 온맵 도엽의 도편각은 직선 그리기를 통해 파악해도 되지만 동일한 도엽 번호의 전형적인 도엽에서 편차각 도표를 보고 파악해도 됩니다.
2. 도엽 이미지 회전시키기
(1) 아래 그림과 같이 [레이어(L)](1번)의 [회전 및 확대/축소...](2번)를 클릭합니다.
(2) 아래 그림과 같이 [회전 및 확대/축소]창이 열리면 회전시킬 각도를 1번란에 입력합니다. 이때 회전시킬 방향이 시계 방향이면 각도 앞에 -를 입력하고, 반시계 방향이면 각도 앞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습니다. 위의 도엽 이미지는 도편각이 0.57°이고 진북이 도북의 오른쪽(시계 방향)으로 기울어 있습니다. 이 경우 도엽 이미지를 왼쪽(반시계 방향)으로 0.57° 회전시키면 진북(경도선)이 수직 상향으로 바뀝니다. 그러기 위해 아래 그림과 같이 1번란에 - 없이 0.57을 입력한 후 [확인] 버튼(2번)을 클릭합니다.
3. 아래 그림과 같이 회전이 된 도엽 이미지에서 경도선(진북)은 수직이 되었습니다. 앞서 설명한 [지도의 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와 마찬가지로 아래 도엽 이미지에서 용지 크기에 맞추어 인쇄할 부분을 직사각형의 선택 영역으로 지정합니다. 이때 인쇄할 직사각형 선택 영역 안에 경도선이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진북이 수직 상향으로 인쇄된 지도의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인쇄 영역의 세로 경계선이 진북 방향이므로 인쇄 후 경도선(진북) 대신 세로 경계선에 자편각을 적용하여 자북선을 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위 그림의 [선택 영역에 맞춤] 아이콘(1번)을 클릭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인쇄할 이미지만 남깁니다.
5. 위 2.항에서 회전시킨 도엽 이미지는 100% 배율로 인쇄해도 고유의 축척대로 인쇄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음 절차에 따라 해상도 및 크기를 재지정해야 합니다.
(1) 지도 이미지의 해상도와 크기를 파악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이미지(I)](1번)의 [크기 조정(R)...](2번)을 클릭하여 아래 그림의 [크기 조정]창을 열면 1번에서 해상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상도를 표현하는 단위는 2번에서 [픽셀/센티미터]와 [픽셀/인치]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1편 : 지도 이미지 다운로드하기]의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고 있는 도엽 이미지 중 1:5,000 축척은 118.11 픽셀/센티미터(300.00 픽셀/인치), 1:25,000 축척은 118.11 픽셀/센티미터(300.00 픽셀/인치), 1:50,000 축척은 157.48 픽셀/센티미터(400.00 픽셀/인치)의 해상도를 가집니다. 그리고 3번에서 이미지의 너비와 해당 단위를 확인할 수 있고, 4번에서 이미지의 높이와 해당 단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위 그림의 [확인](5번)을 클릭한 후 아래 그림과 같이 [편집(E)](1번)의 [복사(C)](2번)를 클릭합니다.
(3) 아래 그림의 [새로 만들기] 아이콘(1번)을 클릭하여 [새로 만들기]창을 엽니다. 이때 아래 그림의 2번과 3번에서도 이미지의 크기와 단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위 (1)호에서 확인한 이미지의 해상도를 아래 그림의 1번에 입력하고, 위 (1)호에서 확인한 이미지의 너비와 높이를 아래 그림의 2번과 3번에 입력한 후 [확인](4번)을 클릭하여 흰색 바탕의 새 이미지를 엽니다.
(5) 아래 그림에서 [편집(E)](1번)의 [새 레이어로 붙여넣기(L)](2번)를 클릭합니다.
6. [파일(F)](1번)의 [다른 이름으로 저장(A)...](2번)을 클릭하여 [다른 이름으로 저장]창을 엽니다.
7. 아래 그림의 [다른 이름으로 저장]창이 열리면 다음 절차를 수행합니다.
(1) 1번 영역에서 지도 이미지의 저장 위치를 지정합니다.
(2) [파일 이름(N):](2번)에서 지도 이미지 파일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이때 위 그림과 같이 산 이름, 지도 축척, 수직 상향인 북방위의 순으로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파일 형식(T):](3번)에서 지도 이미지의 파일 형식을 지정합니다. 이때 지정할 수 있는 파일 형식으로 PNG, JPEG, BMP, TIFF, GIF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GIF 형식은 이미지의 해상도 속성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지도 고유의 축척 그대로 인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PNG, JPEG, BMP, TIFF 중 하나의 파일 형식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이들 중 이미지의 색상 왜곡이 적으면서 파일 용량이 작은 PNG 형식을 추천합니다.
(4) [저장(S)](4번)을 클릭하여 아래 그림의 [설정 파일 저장]창이 열리면 [확인](1번)을 클릭합니다.
(5) 아래 그림의 [저장]창이 열리면 [평평하게(F)](1번)를 클릭하여 저장을 완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