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종은 석가세존의 자각각타 각행원만한 근본교리를 봉체하며, (가) (나) (다) 함을 종지로 한다" |
가 : 나: 다 :
3. 다음 중 대한불교조계종 종헌 제2조에 언급된 종지(宗旨), 즉 종단이 지향하는 신행 목표의
직접적인 내용이 아닌 것은?
① 부처님의 기르침은 따르지 않아도 되도록 하자.
② 자신의 깨달음과 더불어 타인을 깨닫게 하자.
③ 자기 마음을 바로 보아 성불하자.
④ 법을 널리 전하여 중생을 이롭게 하자.
4. 대한불교조계종은 전국에 25개의 교구본사가 있다. 다음 중 직할교구에 해당하는 사찰은?
① 통도사 ②해 인사 ③ 송광사 ④ 조계사
5. 다음은 대한불교조계종 종단의 구조와 역할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바른 것은?
① 중앙 조직으로는 총무원, 교육원, 포교원, 중앙종회, 교구본사가 있다.
② 종정은 종통을 계승하는 최고 권위의 상징이자 정신적인 큰 스승이다.
③ 교육원은 신도들의 교육과 연수를 담당한다.
④ 중앙종회는 종단의 사법기관에 해당한다.
6. 우리나라 불교 5대 명절과 그 날짜가 맞지 않는 것은?
① 우란분절(백중) - 음력 7월15일
② 출가하신 날(출가재일) - 음력 2월8일
③ 깨달으신 날(성도재일) - 음력 12월 8일
④ 열반하신 날(열반재일) - 음력 12월15일
7. 다음은 불교의 5대 명절 중 하나인 백중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음력 7월15일은 여름안거 해제일이면서 백중이다.
② 음식 등 100가지를 공양한 백종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③ 조상을 천도하고 지옥 중생을 구원하는 우란분절이라고도 한다.
④ 지옥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제한 지장보살의 효행에서 유래한다.
8. 출가자의 사회참여와 재가불교의 중요성을 표방하는 대승경전은?
① <법화경> ② <화엄경> ③ <유마경> ④ <열반경>
9. <대반열반경>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부처님의 전생과 출가 전의 이야기가 중심으로 설해져 있다.
② 부처님께서 마지막 안거를 하신 곳은 베살리이다.
③ 대장장이 쭌다의 마지막 공양을 받으시고 복통이 발생하신다.
④ 부처님의 마지막 설법과 열반에 드신 후에 일어난 일들이 자세하게 설해져 있다.
10. 가사는 불교 법복의 하나로 장삼 위에 걸쳐 입는 법의이다. 가사에 대한 내 용이 맞지 않는
것은?
① 남방의 정연한 수전(水田) 모양을 본따서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그 짓는 법을 고안하게 한 것에
서 비롯하였다고 한다.
② 더운 인도에서는 삼의만으로 몸을 가리기 때문에 '의'라 하였으나, 우리나라와 중국 및 일본 등
지에서는 날씨가 추운 때문에 가사 아래 장삼을 입어 가사와 구별한다.
③ 중국에서는 금란가사를 만들어 국왕 등이 고승에게 내리는 경우가 있었는 데, 우리나라는 신라
선덕여왕이 자장율사에게 내린 한번 밖에 없었다.
④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위로는 금란가사에서 아래로는 거사의 백저착의(白 紵着衣)에 이르기
까지 다양해졌다.
[ 정답 및 해설 ]
1. 삼국유사
『삼국유사』의 전체적인 구성은 먼저 모두 5권 9편의 체재이다.
권1 「왕력」에는 삼국 및 가락·후삼국의 왕대와 연표가 있다.
다음 「기이」에는 고조선부터 삼한·부여·고구려·백제·신라 등에 대한 내용이 실려 있다.
권2는 편목이 따로 있지 않고 계속해서 신라 문무왕 이후의 통일신라와 후백제 및 가락국기에 대
한 내용이 이어진다.
권3 「흥법」은 신라의 불법 전래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다.
권4는 「의해」로 신라시대의 학승 및 율사(律師)의 전기를 모았다.
다음 권5는 「신주」, 「감통」, 「피은」, 「효선」의 내용이다.
「신주」는 밀교 신승(神僧)의 사적을 다루었고, 「감통」은 근행감응(勤行感應)한 사람들에 대한 내용이 이어진다. 다음 「피은」은 행적을 감춘 고승의 내용이 이어지며, 「효선」은 사람들의 효
행과 선행에 대해 수록하였다.
2, 가 : 직지인심 나 : 견성성불 다 : 전법도생
제 2 조 本宗은 釋迦世尊의 自覺覺他 覺行圓滿한 根本敎理를 奉體하며
直指人心 見性成佛 傳法度生함을 宗旨로 한다.
3, ①
② 견성성불 ③ 직지인심 ④ 전법도생
4. ④
25개 교구본사
직할교구 | 제2교구 : 용주사 | 제3교구 : 신흥사 | 제4교구 : 월정사 |
제5교구 : 법주사 | 제6교구 : 마곡사 | 제7교구 : 수덕사 | 제8교구 : 직지사 |
제9교구 : 동화사 | 제10교구: 은해사 | 제11교구: 불국사 | 제12교구: 해인사 |
제13교구: 쌍계사 | 제14교구: 범어사 | 제15교구: 통도사 | 제16교구: 고운사 |
제17교구: 금산사 | 제18교구: 백양사 | 제19교구: 화엄사 | 제20교구: 선암사 |
제21교구: 송광사 | 제22교구: 대흥사 | 제23교구: 관음사 | 제24교구: 선운사 |
제25교구: 봉선사 |
|
|
|
5. ②
제 19 조 宗正은 本宗의 神聖을 象徵하며 宗統을 承繼하는 最高의 權威와 地位를 가진다.
6. ④
불교의 오대 명절
(1) 부처님 오신날 - 음력 4월 8일
(2) 출가하신 날 - 출가재일 음력 2월 8일
(3) 깨달음을 이루신 날 - 성도재일 음력 12월 8일
(4) 열반에 드신 날 - 열반재일 음력 2월 15일
(5) 우란분절 - 백중 음력 7월 15일
7. ④
지옥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제한 목련존자의 효행에서 유래한다.
8. ③
유마힐이 병을 칭하고 누워 석가모니의 제자와 보살들이 문병하러 온 것을 기회로 문수보살
(文殊菩薩) 등과 불법에 대하여 대화하는 매우 극적인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은 먼저 출가 수행자인 사리불(舍利佛) 등 석가모니의 십대 제자들이 선정(禪定) · 지계(持戒)
· 걸식(乞食) · 불신(佛身) 등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사상이나 실천수행에 대하여 재가 거사(居士)인 유마힐이 그 잘못을 지적하고 그들을 참된 진리의 길로 인도하는 데서 보이듯이 재가불교운동의 이상을 표현하고 있다.
일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서는 차별 없는 평등심과 일체 중생을 가엾게 여기는 대비심을 가져야 한다.
유마거사는 “중생들이 병이 났기 때문에 자신이 병이 났고, 중생들의 병이 나으면 자신의 병도 나을 것이다”라며 중생과 자신이 하나, 즉 동체대비임을 강조한다.
그것은 중생에 대한 사랑이다. 중생에 대한 사랑 때문에 보살은 악취에 있는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 대비심을 일으켜 스스로 생사윤회에 들어간다.
9. ①
본생경(자타카)에 부처님의 전생과 출가 전의 이야기가 중심으로 설해져 있다.
10. ③
신라 선덕여왕 5년, 636년에 당나라로 유학을 가서 문수보살님께 지성으로 기도를 드리고 있었는데 문수보살님이 스님으로 변해서 자장스님에게 석가모니의 가사 한 벌과 진신사리 100과(불두골(佛頭骨), 손의 뼈), 염주, 경전을 주면서 이 성보(聖寶)들을 신라의 취서산에 봉안하라고 했다고 합니다.
당시 취서산(영축산의 다른 이름)에는 독한 용이 9마리 살고 있는데 사람을 괴롭히고 있으니 거기에 금강계단을 쌓고 이 성보들을 모시면 만대를 두고 재앙이 없을 것이라는 명이었습니다.
[불교신문 3408호/2018년 7월 14일]
2019년도 포교사고시 예상문제 <18>
1, 부처님 일대기 가운데 보리수 아래 반듯하게 자리를 잡고 앉은 보살 앞에 나타나 위협과 회유 등 온갖 방법을 동원했던 마왕의 이름은?
2, 부처님의 제자 가운데, 부처님께서 중생의 아버지와 어머니와도 같은 인물이라고 칭찬했던 분으로, 부처님의 열반에 앞서 열반한 두 제자는?
3, 불교에서는 불법승 삼보에 계율, 보시, 천상에 태어남의 세 가지 항목을 더한 여섯 가지를 믿음의 대상으로 들기도 한다. 불자는 이 여섯 가지를 마음에 지니고 믿음을 일으킨다.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4, 인간의 무병장수와 복덕을 주관한다는 민간신앙이 자연스럽게 불교 안으로 들어온 신앙과 관련된 법회로, 민간에서는 거의 풍습이 사라졌지만, 특히 오늘날 국젖 불명의 밸런타인데이를 대신해 미혼 남녀의 좋은 인연을 맺어주는 계기로 확산되는 법회는?
① 정초법회 ② 입춘법회 ③ 칠석법회 ④ 동지법회
5, 다음 사찰의 산문 중 그 성격이 다른 문 하나는?
① 일주문 ② 불이문 ③ 해탈문 ④ 안양문
6, 불국사 다보탑,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등의 형태는 일반형의 석탑과 다른 특수한 석탑이다. 이러한 석탑이 조성된 시기는?
① 삼국시기 ② 남북국시기 ③ 통일신라시기 ④ 후삼국시기
7, 부처님 제자들의 묘탑으로 처음 조성되기 시작한 승탑을 부도라 한다. 이 부도에 대한 설명 중에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고려시대 후기 이후로는 석당형 부도, 석탑형 부도. 석종형 부도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조선시대
후기에는 간단한 석종형 부도가 유행했다.
② 부도는 승려의 묘탑을 석재로 만든 것으로 영구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착안한 것인데, 조선시대에
이르러 성행하였다.
③ 불탑이 절의 중심지역인 법당 앞에 세워지는데 반해 부도는 사찰 경내의 변두리나 아주 멀리
떨어진 곳에 세워지며 이를 부도전이라 한다.
④ 표면장식이 아름다운 대표작은 쌍봉사 철감선사탑과 간략화 된 경향인 봉림사 진경대사탑이 있다.
8,사찰의 건축에서 공포(栱包)들이 주로 기둥 위에만 설치되는 것을 주심포식(柱心包式)건물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주심포식 건물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충남 예산 수덕사 대웅전 ② 경북 안동 봉정사 극락전
③ 경북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④ 전북 부안 개암사 대웅보전
9, 불이문을 대신하여 안양루, 만세루 등의 누각을 통해 법당 앞 부처님 세계로 나아간다.
이때 누각 밑을 통과할 때 전해주는 상징적인 가르침과 가장 가까운 것은?
① 신심 ② 하심 ③ 발심 ④ 분심
10, 다음은 불상 조성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후 500년 동안은 불상을 모시지 않았다.
② 부처님의 형상 대신 보리수, 법륜. 탑 등을 예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③ 헬레니즘 문회와 인도의 신상 조성 문화를 계기로 불상을 조성하옃다.
④ 불상의 모습은 시대와 지역의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 정답 및 해설 ]
1. 파순 마라 파피야스
(산스크리트어: मार पापीयस्Māra pāpīyas)는 불교의 마신으로, 욕계의 최상층인 타화자재천의 지배자이다.
석가모니가 수행할 때 그 깨달음을 방해하기 위해 여러 방법으로 유혹한 일화가 《불설보요경》, 《방광대장엄경》에 수록되어 있다.
한자로는 마라 파순(魔羅波旬) 또는 마라 파비야(魔羅波卑夜)라고 음차하며, 타화자재천이 욕계의 여섯번째 층이라는 데서 제육천마왕(第六天魔王) 또는 그냥 마왕(魔王)이라고 한다.
2, 사리뿟다(사리불), 목갈라나(목련)
어느 때 붓다께서 마투라국(摩偸羅國) 발타라(跋陀羅) 강변에 있는 산개암라(傘蓋菴羅) 숲에 계셨는데, 사리불과 목건련이 열반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때였다.
세존께서 보름날 포살 때 대중 앞에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세존께서 대중을 살펴보고 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대중을 살펴보니 텅 빈 것 같구나. 사리불과 목건련이 열반했기 때문이다.
나의 성문(聲聞) 중에 오직 그 두 사람만이 잘 설법하고 훈계하고 가르치고 설명했다.”
3, 육념(六念)
1) 염불(念佛): 부처님은 여래10호를 갖추시고, 무량 광명으로 중생을 구제하시므로 부처님과 같기를 염원한다.
2) 염법(念法): 불경은 큰 공덕을 갖추고 일체 중생의 묘약이 되므로, 불법을 널리 베풀고자 염원한다.
3) 염승(念僧): 승려들은 무루법과 계정혜를 갖추고, 세간의 거룩한 복전이 되므로 출가하길 염원한다.
4) 염계(念戒): 계행은 모든 악과 나쁜 것을 물리치므로, 이을 지키고 정진하고자 염원한다.
5) 염시(念施): 보시는 중생의 탐욕심을 없앰으로, 널리 베풀어주고자 한다.
6) 엄천(念天): 천상은 고통을 떠난 곳으로 선업의 과보로 나기 때문에, 널리 착한 업을 짓고자 한다 《잡아함경》 제33권 〈931. 수습주경(修習住經)〉
4. ③
칠월칠석날 우리들이 사랑을 노래하고 처녀 총각들이 만나서 결혼도 성취가 되고 선근 공덕이 깊은 그런 자식을 출산할 수 있도록 치성광 여래불께 불공을 드리는 날로 일곱 분의 칠원성군님께 기도하고 발원하는 날입니다.
5. ①
사찰에는 유독 통과해야 하는 문이 많다.
일주문은 제일 첫 문이며, 주 법당에 도달하기 전 통과해야할 사찰의 마지막 문 (불이문은 해탈문, 안양문, 자하문, 진여문이라고도한다)이다.
6. ③
불국사 다보탑은 조형성과 예술성을 모두 갖춘 통일신라 석조미술의 백미로 평가받고 있어며, 석탑 안에 있는 스님상은 화엄사를 창건한 연기조사의 어머니인 비구니의 모습이라고 하며, 석탑 바로 앞에 있는 석등 안에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숭상은, 효성이 지극하였던 연기조사가 어머니에게 차 공양을 하는 모습이라고 하며,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 당시 신앙의 일면과 함께 조각의 독특한 재주를 엿볼 수 있으며 현재 한국에 남은 사자탑 가운데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불국사의 다보탑과 함께 한국석탑의 쌍벽을 이룬다.
정혜사지 십삼층석탑은 경주 정혜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흙으로 쌓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1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인데, 통일신라시대에서는 그 비슷한 예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이다
7. ②
통일신라 후기에 들어온 선종(禪宗)의 조사숭상(祖師崇尙)으로 한층 일반화 된 것으로 보이며. 절의 경내에 있는 탑과는 달리 대개 절의 외곽에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신라말과 고려 초에 확립된 구산선문 성립 후 부도의 양적인 팽창이 있었다
8. ④
현존하는 최고의 목조건축물인 안동 봉정사(鳳停寺) 극락전(極樂殿),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대웅전, 등이 대표적인 주심포 형식의 문화재이다.
9. ②
천왕문을 지나 길을 오르면 다시 불이문(不二門)이 나타납니다.
이 문은 번뇌의 속된 마음을 돌려서 해탈의 세계에 이르게 한다하여 해탈문(解脫門)이라고도 하는데 궁극적으로 번뇌와 해탈이 둘이 아니기 때문에 불이문이라고 일컫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해탈문은 누각 밑을 통과하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2층의 다락집 형태인 누각 밑 1층 기둥 사이로 길이나 있어 문의 모습을 이루고있는 것이지요,
2층 누각은 불법을 설하는 강당으로 쓰여 왔습니다.
그래서 진입하는 쪽에서 보면 문이요 진입하고 난 뒤 법당 쪽에서 보면 누각으로 다가옵니다.
하심하여 경건한 마음으로 해탈문을 지나 계단을 오르면 사찰의 중심 법당이 보입니다.
그리고 법당 앞마당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나 말씀인 경전을 간직한 탑이 우뚝 서 있습니다.
10. ④
불상은 인도 서북부 간다라지방과 인도 중북부의 마투라지방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고, 굽타시대에 이르러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불상표현이 이루어졌다.
인도에서 발생한 불상은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동전(東傳)하면서 발전하였다.
특히 서역은 동서무역의 길목으로도 중요하였으며 타클라마칸사막을 중심으로 천산남로(天山南路)인 코탄ㆍ미란을 지나거나 천산북로(天山北路)인 키질ㆍ쿠챠ㆍ투르판 등지의 여러 불교문화의 중심지를 지나 중국의 돈황(燉煌)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서역의 불상은 여러 지역적인 요소가 혼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중국으로 접근할수록 중국적인 요소가 강하게 반영되며 다양하고 복잡한 도상과 양식이 혼재, 절충되어 발전하였다.
[불교신문 3410호/2018년 7월 21일]
2019년도 포교사고시 예상문제 <19>
1. 종파나 학파의 주요 경전으로서 교리 및 신행의 중신이 되는 근본 경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 의상대사의 법성게 중 다음 게송의 의미는?
일중일체다중일(一中一切多中一) |
3. <유마경>에서 유마거사의 병문안을 가신 분은 누구인가?
① 문수보살 ② 사리불(사리풋트라) ③ 우바리 ④ 수보리
4. <화엄경>은 <대방광불화엄경>의 약칭이다. 대방광불이란 어떤 부처님이신가?
① 비로자나 부처님 ② 아미타 부처님 ③ 미륵 부처님 ④ 석가모니 부처님
5. 불기(佛紀)의 기준이 되는 것은?
① 부처님의 탄생 ② 부처님의 성도 ③ 부처님의 설법 ④ 부처님의 열반
6. 부처님께서 이 두 그루의 나무 아래서 열반하셨습니다. 이 나무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① 보리수 ② 살라나무(사라수) ③ 무우수 ④ 금강수
7. 부처님의 열반이 가까워졌음을 감지한 아난다가 장례법에 대해 여쭈었을 때 부처님께서 직접 일러주신 장례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① 사리를 거두면 여러 나라에 고루 나누어 탑을 봉안하라.
② 전륜성왕의 장례법을 따르라.
③ 길을 오가는 사람 모두 탑을 보게 하라.
④ 화장한 다음 사리를 거두고 네거리에 탑을 세워라.
8. 대승불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수행자 중심의 가르침이다.
② 개인의 해탈(解脫)을 중시하였다.
③ 아라한(阿羅漢)의 경지를 최고의 이상형으로 삼았다.
④ 중생과 함께하는 대중 불교이자 사회 불교로 발전하였다.
9. 밀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① 대승불교의 인도적 변용의 결과로 나타났다.
② 힌두교와 습합된 대승불교로, 금강승이라고도 한다.
③ 마우리아 왕조 시대에 본격적으로 발전한 불교이다.
④ 8세기 중엽 팔라왕조의 마가다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10. 다음은 노자화호설(老子化胡設)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내용이 잘못 서술된 것은?
① 노자가 서역으로 가서 부처의 모습으로 교화했다는 설이다.
② 불교적 요소를 도교에 편입시키는 것을 정당화하는 이론으로도 사용되었다.
③ 부처가 중국으로 와서 노자의 모습으로 중국인들을 교화한 가르침이 도교라는 설이다.
④ 불교를 도교의 지파로 인정하여 중국에 전파하는 것을 정덩화하는 이론으로도 사용되었다.
[ 정답 및 해설 ]
1. 소의경전
소의경전(所依經典)이란 불교 경전으로서 신행(信行)을 비롯하여 교의적(敎義的)으로 의거하는 근본 경전이다.
2, 하나 속에 일체가 있고 많은 가운데 하나가 있다.
세상 만물을 들어다 보면 어느 것 하나 홀로 존립할 수 없고 상대와 더불어 상호 의존관계를 맺으면서 자체의 존재를 드러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개별 개별은 전체에 없어서는 아니되는 것이고 전체는 개별 개별을 떠나서는 전체로서의 존재성을 지닐 수 없는 것이 우주 만물의 진리로움입니다. 각각의 사물도 그러하고 우리중생의 삶도 이 도리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화엄경전 에서는 이러한 우주 만물의 상호 의존관계이치를 연기(緣起)로 설명하고 만법 그 자체는 모두가 진리로움을 갖추고 있어 끊임없이 사물과 사물은 무진연기하여 고유의 존재성을 드러내고 있는 것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면 바닷물을 보면 바닷물은 짜고 맑고 푸른 빛을 띄고 있습니다.
그런데 바닷물 그 자체 속에는 홀로 바닷물이 되어 본래 바닷물이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바닷물 속 에는 수천, 수만의 강물이 함께하고 있는 것 입니다.
바닷물은 하나이지만 바닷물에 담겨있는 물은 다양한 물들로 되어있습니다.
이와같이 하나의 바닷물에 다수의 물이 함께 하고 있는 이치원리를 설명하는 것이 일중일체(一中一切)라고 한다면 반대로 다수의 물들이 모여 있는 하나의 바닷물의 입장에서는 다중일(多中一)이 됩니다.
3, ①
세존은 지혜 제일인 문수보살에게 갈 것을 권했다.
문수보살은 “유마거사의 상대가 될 만한 주변이 되지 못하는 줄 알지만 말씀을 받들어 문안을 가겠습니다”라며 어쩔 수 없이 문병에 나섰다.
4. ①
『대방광불화엄경』은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에서 큰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비로자나는 ⓢvairocana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이고, 변조(遍照), 광명변조(光明遍照)라고 번역한다.
비로자나불은 진리 그 자체, 진리를 있는 그대로 드러낸 우주 그 자체를 뜻하는 부처이므로 우주의 모든 현상이 곧 비로자나불이다.
이 비로자나불의 세계를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것이 바로 《화엄경》의 보살행이다.
5. ④
불기(佛紀)는 불교에서 석가모니의 입멸 연대를 기준으로 쓰는 기원(紀元)이다.
입멸 연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었으나 1956년 11월에 태국 · 스리랑카 · 미얀마 등의 불교국가들이 그들이 채택한 연대에 따라 석가모니 입멸 2천5백 주년을 맞이하여 인도 뉴델리에서 세계불교자 회의를 개최한 이후, 이 연대가 공식으로 채택되었다.
따라서 입멸 연대는 기원전 544년이 되고, 현재의 불기는 현재의 서기 연도에 544년을 더하면 된다.
6. ②
부처가 입적(入寂)했을 때 동서남북에 한 쌍씩 서 있었다는 나무. 동쪽의 한 쌍은 상주(常住)와 무상(無常)을, 서쪽의 한 쌍은 진아(眞我)와 무아(無我)를, 남쪽의 한 쌍은 안락(安樂)과 무락(無樂)을, 북쪽의 한 쌍은 청정(淸淨)과 부정(不淨)을 상징한다.
7. ①
유행경- “장례의 법을 알고자 하거든 마땅히 전륜성왕(轉輪聖王)과 같이 하라.”
“다비를 마친 뒤에는 사리를 거두어 네거리에 탑을 세워 거기에 넣고 탑 표면에는 비단을 걸어 전국의 길가는 사람들로 하여금 다 부처님의 탑을 보고 여래 법왕의 도의 교화를 사모하여 살아서는 행복을 얻고 죽어서는 천상에 태어나게 하라.”
8. ④
① ② ③은 소승불교의 설명이다.
9. ③
마우리아 왕조의 3대왕인 아쇼카왕은 불교도가 되어 불교에 근본을 둔 다르마를 선포한 것과 불교가 상류계급의 종교로서 평가를 받는 사실은 불교가 인도 전역으로 급속하게 퍼져나가는데 지대한 힘이 되었으며, 아쇼카왕 재위 년대에 제3결집이 있었다.
10. ③
노자가 오랑캐 땅인 인도에 건너가 석가모니로 다시 태어나 오랑캐들을 가르쳤다는 설이다.
말하자면 도교가 오리지널이고, 불교는 도교의 아류에 지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불교신문 3412호/2018년 7월 28일]
2019년도 포교사고시 예상문제 <20>
1. 부처님께서는 출가생활의 기본 방친으로 4의지(依止)를 일러주었다. ( ) 들어갈 내용은 무엇인가요?
출가 수행자는 ( )하는 생활에 의지하고, 분소의를 입는 생활에 의지하고, 나무 아래에서 좌선하는 생활에 의지하고, 동물의 대소변을 이용해 만든 ( )을 사용 하는 생활에 의지한다는 것이다. |
2. <천수경>에서 '관세음보살본심미묘육자대명왕진언'은?
3. 최초의 사찰인 죽림정사를 지어 부처님께 보시한 사람은?
①수닷타 장자 ②욱가 장자 ③기타태자 ④빔비사리왕
4. 부처님께서 정하신 교단의 입단 절차와 상관이 없는 것은?
①화상을 선택하여 평생 스승으로 모시며, 세속의 부모자식 같이 서로 보살피고 돌보게 하였다.
②대중에게 세 번 물어 이의제기가 없을 경우에만 승가가 동의한 것으로 인정하여 비구가 지켜야 할 계목을 알려주며 아사리(阿사梨)로 명하였다.
③화상을 정해 수학한 사람만 스승인 화상의 보증 아래 비구가 될 자격을 갖게 하였다.
④화상은 제자에게 필요한 덕목과 행동 하나 하나 지도하며, 필요한 물품을 마련할 수 있게 해 주었다.
5. 빔비사리왕의 죽림정사를 보시할 때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보시의 이익에 해당되는 것은?
①보시하는 사람은 어리석음을 벗어나게 된다.
②가난하여 남들처럼 보시할 수 없더라도 다른 이의 보시하는 모습을 보고 칭찬하고 기뻐하면 그 복은 보시하는 사람과 다를 것이 없다.
③인욕하는 사람은 탐욕을 끊게 되고
④선행을 쌓는 사람은 분노를 떠나며
6. 부처님께서 입멸하신 후에 제자들이 모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정리하는 회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결사 ②상가 ③결집 ④전승
7. <법화경> 방편품의 내용은 무슨 사상을 말하는 것인가?
"사리불이여, 나는 오로지 하나의 승(乘, 가르침)에 관하여 여러 중생들에게 법을 설한다. 즉 그것은 불승(佛乘)이다. 사라불이여, 어떤 제2 또는 제3의 승도 존재하지 않는다." |
①일승 사상 ②이승사상 ③삼승사상 ④삼신사상
8. <금강경>에서 부처님께서는 "모든 보살마하살은 이렇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고 하신다. 이 말씀으로부터 금강경은 누구를 위한 법문으로 추정되는가?
①지옥중생 ②인간 ③천인 ④보살
9. 석탑의 내용을 설명한 것 중에서 바른 것은?
①목탑을 세우는 나무가 부족하여 석탑을 세우게 되었다.
②가장 오래된 석탑으로는 미륵사지 석탑, 정림사지 오층석탑 등이 있다.
③석탑은 목탑보다 경비와 공력이 많이 든다.
④석탑에도 처음에는 목탑과 같이 신도들이 탑 내부를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었다.
10. 다음 중 사원의 건축 구조에 대해 가장 잘못 설명한 것은?
①사찰은 부처님만을 모시는 곳이다.
②사찰은 불법승 삼보가 상주하는 곳이다.
③사찰은 불국세계를 형상화 한 것이다.
④사찰은 신도가 삼보를 예경하는 곳이다.
< 정답 및 해설 >
1. 걸식, 진기약
사문의 근본생활인 무소유와 유행생활을 철저하게 지킬 것을 요청했으며, 이에 수행자가 필요한 최소한의 4가지 조건을 '4의지(四依止)'라 하는데 이 네 가지를 철저히 지킬 것을 강조하셨다.
그 네 가지란,
① 걸식(乞食) : 밥은 걸식해 먹는다. 직접 해먹지 말며 또한 신도의 집에 초대되어 가 식사하지 않는다.
② 분소의(糞掃衣) : 남이 버린 천조각을 주어 모아 만든 옷인 분소의를 입는다.
③ 수하좌(樹下坐) : 지붕있는 곳에서 편히 자지 말고 나무 아래에서 좌선과 명상을 한다.
④ 부란약(腐爛藥) : 약은 소의 오줌으로 발효시킨 허술하기 짝이 없는 부란약을 사용한다.
2, 옴마니반메훔
'옴'은 하늘세상, '마'는 아수라 '니'는 인간, '반'은 축생, '메'는 아귀, '훔'은 지옥세계의 제도를 뜻하고 또한 일체의 복덕 지혜와 모든 공덕행의 근본을 갈무리한 진언임을 뜻한다.
그러므로 "옴마니반메훔"은 여섯 가지로 윤회하는 길을 막아, 실상에 이르게 하는 주문이다.
이 육대명주를 외우면, 모든 죄악이 소멸되고 모든 복덕이 생겨날 뿐만 아니라 일체의 지혜와 행의 근본이 된다.
3, ④
죽림정사는 불교 교단의 최초의 사원이었다.
라자그리하(Rajagriha) 곧 왕사성(王舍城) 북쪽에 지어진 절로 마가다국의 왕인 빔비사라왕이 부처님으로부터 설법을 듣고 감동하여 부처님이 머물 정사를 지어 드려야 하겠다고 생각하고 적당한 터를 찾다가 마침 죽림원을 소유하고 있다는 부호 카란다 장자의 땅을 매입 지었다고 알려져 있다.
4. ②
이 문제는 <20회 포교사고시 기출문제 [1교시] - 2015년 2월 28일 시행>에 나왔던 문제입니다.
▣ 문제의 답이 애매(?)합니다.
“계율의 제정”에서 보면 교단입단 절차를 정해 비구계를 받도록 하였으며 ④번은 계목을 알려주면 비구가 되는 것이다.
아사리는 “화상이 다른 고장으로 떠나버려 홀로 남겨지거나 환속하거나 죽거나 다른 종교로 전향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럴 때를 대비해 아사리제도를 만들었다. 아사리는 화상이 곁에 없는 이들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것은 물론 일생생활에서도 스승과 제자로서 서로를 돕고 보살피게 하였다”
5. ②
보시하는 사람은 탐욕을 끊게 되고
6. ③
결집(結集)에 해당하는 산스크리트어 상기티(saṃgīti)는 합송(合誦)을 의미한다.
제자들이 함께 모여서 붓다의 가르침을 함께 읊어 냄으로써 붓다의 말씀을 정리한 것이다.
붓다가 입멸하자 그의 가르침을 바르게 보존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출가 수행자가 모여 결집을 진행하였다.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불설(佛說)의 진위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불설을 확립하여 후세에 바르게 전승시키려는 시도였다.
붓다의 입멸 직후 이루어진 제1결집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몇 차례에 걸쳐 결집이 이루어져 왔다.
7. ①
일승사상이란 단적으로 말하면 성불을 실현하는 유일하고 구극적인 가르침을 표방하는 사상이다. 이 사상은『법화경』을 통해 표출된 것으로 성문, 독각, 보살이라는 세 가지 입장은(제17문 참조) 보살 또는 부처라는 한 가지 입장으로 귀일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불교를 실천하는 데에는 성문승, 독각승, 보살승이라는 3종의 수행방식이 있지만, 구극적으로는 유일한 부처의 입장인 일불승(一佛乘)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설하는 것이다
8. ④
부처님이 수보리에게 말씀하시기를,
"모든 보살 마하살은 이렇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하느니라. 우주에 살고 있는 12종류 중생들을 부처님께 바쳐서 영원히 편안스럽고, 평화로운 상태를 이루게 하여야 하느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보살이 나라는 생각이나 남이라는 생각이나 중생이라는 생각이나 수자(좀 안다고 뽐내는 마음)라는 생각이 있을 것 같으면 곧 보살이 아니니라"
9. ②
첫 번째 이유가 목탑의 주재료인 목부재의 재료적 취약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자연재해(번개, 폭우, 지진등)와 뒤틀림, 부식 등에 의해 석재보다 빨리 변형 및 훼손이 일어나고 결정적으로 전란 등의 화재에 약하여 초기의 많은 목탑들이 사라진 큰 이유이다.
두 번째 이유는 다층의 대탑을 선호하여 나타난 구조적 한계성이다.
초기의 목탑 대부분은 다층(거의 7층 이상)에 대규모였기에 분명 많은 인력과 자재를 필요로 하였고 그것은 곧 국가의 재정 압박으로 나타나 였다.
또한 삼국 시대 후기로 갈수로 또한 통일신라 후기로 갈수록 전란의 계속과 정치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대규모 사찰 조성은 어려워짐이 당연한 귀결이다.
마지막으로 탑의 재료에 있어 신재의 등장이다.
즉 위의 이유등으로 인한 목탑의 불합리성을 느끼고 있을 즈음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화강암을 이용한 탑이 나타난 것이다.
그것이 바로 백제의 미륵사지 석탑. 만약 재정적으로 아주 풍족하였다면 굳이 새로운 시도(석탑)를 하지 않고 중앙의 목탑같이 양 쪽 탑도 목탑으로 하였을 수 있었을 것이나 백제는 수급이 용이하고 재료비면에서도 절감되는 석재(화강암)를 이용하여 석탑의 시원을 이룩한다.
10. ①
사찰은 불상을 모시고 승려들이 거주하면서 불도를 닦고 교법을 설하기 위해 세운 건축물이다..
[불교신문 3414호/2018년 8월 11일]
|
첫댓글 관세음보살 찬탄합니다 관세음보살 고맙습니다
당신은 부처님 대박 으샤으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