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saemangeum.go.kr | 보 도 자 료 | | ||
배포 일시 | 2020. 9. 16.(수) 총 7매(본문 3, 붙임 4) | |||
새만금 개발청 | 신산업전략과 | 담 당 자 | ∙과장 김민수, 사무관 김연우, 주무관 최효엽 ∙☎ (063) 733-1301,1308 | |
국토 교통부 | 복합도시정책과 | 담 당 자 | ∙과장 박건수, 사무관 김영지, 주무관 김범규 ∙☎ (044) 201-3689, 3698 | |
보 도 일 시 | 2020년 9월 17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통신‧방송‧인터넷은 9. 16(수) 14:00 이후 보도 가능 |
새만금에 국내 대기업 최초로 2조원 투자 본격화 |
http://www.saemangeum.go.kr | 보 도 자 료 | | ||
배포 일시 | 2020. 9. 16.(수) 총 7매(본문 3, 붙임 4) | |||
새만금 개발청 | 신산업전략과 | 담 당 자 | ∙과장 김민수, 사무관 김연우, 주무관 최효엽 ∙☎ (063) 733-1301,1308 | |
국토 교통부 | 복합도시정책과 | 담 당 자 | ∙과장 박건수, 사무관 김영지, 주무관 김범규 ∙☎ (044) 201-3689, 3698 | |
보 도 일 시 | 2020년 9월 17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통신‧방송‧인터넷은 9. 16(수) 14:00 이후 보도 가능 |
새만금에 국내 대기업 최초로 2조원 투자 본격화 |
- 새만금청·SK컨소시엄 유니콘기업 육성 협력 추진
< 추진 개요 >
□ 새만금개발청(청장 양충모)는 「창업클러스터 구축 및 데이터센터 유치」 “산업투자형 발전사업” 사업자 공모에 대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약 2조원 규모 투자를 제안한 SK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ㅇ 새만금청은 사업제안서의 현실성, 구체성, 새만금 내부개발 촉진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SK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번에 선정된 우선협상자와 협상을 거쳐 11월경 사업협약 및 사업자지정 절차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 “산업투자형 발전사업”은 첨단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창업 클러스터와 글로벌 정보통신(IT) 기업을 겨냥한 데이터센터 등 총 6천억원 이상의 투자사업에 대해 수상태양광 발전사업권 200MW(메가와트)를 투자혜택(인센티브)으로 부여하는 사업모델이다.
ㅇ 새만금의 광활한 부지와 일조여건 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사업을 마중물로 첨단산업 기업을 유치하고 새만금 개발을 촉진하겠다는 것이 이 사업의 목표이다.
< 주요 사업 내용 >
□ SK 컨소시엄은 이번 산업투자형 발전사업 공모에서 약 2조원 규모의 직접투자 및 투자유치 계획을 새만금개발청에 제안하였으며, 주요 사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 먼저 창업클러스터 구축이다. 산단 2공구에 커뮤니티 역할을 하는 복합도서관을 기반으로 융합형 생산공간 및 지원공간 등을 구성하여 총 3만3천㎡(약1만평)의 창업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사업기간(20년)에 누적 300여개 기업을 유치 및 육성할 계획을 제안하였다.
ㅇ 창업 및 유치 기업에 대해서는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로컬라이즈 군산 등 창업클러스터 운영 경험을 활용하여 기업의 목표와 현황,성장단계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 다음은 데이터센터 투자유치이다. 새만금의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RE100* 활용) 산단 5공구에 세계 최고 수준의 3高(고확장성, 고성능, 고안정성) 시스템을 갖춘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29년까지 구축하고 관련 투자를 유치하여 아시아 데이터센터 허브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 재생에너지 100%사용을 목표로 애플, 구글 등 글로벌기업이 참여하는 캠페인
ㅇ 이를 위해 데이터센터에 최적화된 전력 인프라 시설을 설치하고데이터센터 4개동을 `24년까지 1단계로 완공하며, 2단계로 `29년까지 16개 동으로 확장 조성할 계획이다.
ㅇ 더불어, 그동안 새만금에 첨단기업 유치의 장애요소로 지적되어왔던 ICT 인프라 부족문제의 개선을 위해 해저케이블 및 광통신망 구축도 추진될 예정이다.
< 기대효과 >
□ SK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지정될 경우 현대중공업, GM대우 철수로 침체된 지역경제에 큰 활력소가 될 전망이다.
ㅇ 우선 창업 클러스터 및 데이터센터 구축을 통해 300여개의 기업유치와 더불어 2만 여명의 누적고용 창출이 기대된다. 20년간 약 8조원 이상의 경제 파급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ㅇ 특히 새만금 지역 내 전략 산업이 기존의 화학, 자동차 등 중후장대 산업 중심에서 AI, 데이터개발·보안, 사물인터넷(IoT), 킬러컨텐츠 창출 등 지능형·스마트 산업 분야로 4차 산업을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될 것으로 기대된다.
- SK 컨소시엄은 새만금개발청과 함께 첨단 분야의 벤처를 발굴 · 육성하고 10년 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기업)을 1개 이상 탄생시키겠다는 목표를 향해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은 “이번 SK컨소시엄 투자 유치는 그동안 침체된 지역분위기를 일거에 반전시키는 기회가 될 것이고, 이를 통해 본격적인 대기업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하면서
“ 앞으로도 이번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새만금의 재생에너지를 지렛대로 해양 레저파크 및 복합 산업단지 조성 등 혁신적인 전략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 이 보도자료 관련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김연우 사무관, 최효엽 주무관(☎ 063-733-1301,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1 |
| 창업클러스터 구축 사업개요 및 조감도 |
□ 사업개요
ㅇ (사업비) 1,000억원 * REC 제도개선시 300억원 추가투자 계획
ㅇ (사업구역) 새만금 산업단지 2공구 연구단지 33,000㎡(약1만평)
ㅇ (사업내용)
- 커뮤니티 기능이 포함된 복합도서관을 기반으로 융합형 생산공간 및 지원공간 등 6개의 건물로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창업ㆍ혁신기업 유치
* (조성기간) `21~`23, (운영기간) 20년
- 사업기간(20년) 동안 누적 300여개 기업 유치 및 지원을 통해 유니콘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업성장 프로그램 마련
- 지역농어민, 유치기업, 밴처캐피탈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스타트업 페스티벌을 매년 개최
ㅇ (기대효과)
- 창업클러스터 창업·혁신 기업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용 창출
- 새만금 지역 내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유망기업 유치·발굴 및 유치기업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업성장 생태계 구축 등
| 【창업클러스터 조감도】 |
|
|
| |
|
참고2 |
| 데이터센터 유치 사업개요 및 조감도 |
□ 사업개요
ㅇ (사업비) 약 1조 9,700억원(직접투자 및 투자유치)
ㅇ (사업구역) 새만금 산업단지 5공구 33,000㎡
ㅇ (사업내용)
- `24년 목표로 새만금의 여건 개선 및 입주기업에 전력비 절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 전력인프라 및 1단계 데이터센터 4개동 조성
- 새만금의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RE100실현이 가능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3高(고확장성, 고성능, 고안정성)를 갖춘 데이터센터 구축
- `29년 목표로 총 16개동으로 확장 조성
ㅇ (기대효과)
- (직접효과) 국내외 IT기업 및 스타트업 누적 60여개 기업 유치
- (간접효과)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새만금에 지식산업 유입 발판 마련
| 【데이터센터 조감도】 |
|
|
| |
|
참고3 |
| 새만금 재생에너지 사업추진 |
□사업개요
ㅇ 새만금 지역에 태양광 2.4GW, 풍력 0.1GW, 연료전지 0.1GW 등 총 2.6GW 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조성(농림부 0.4GW 별도 추진)
- 1단계 1.7GW는 ‘22년부터, 2단계 0.9GW는 ‘25년 이후 발전개시 목표
* (1단계) 수상태양광 1.2, 육상태양광 0.3, 풍력 0.1, 연료전지 0.1 / (2단계) 수상태양광 0.9GW
- 태양광(2.4GW)은 청(투자유치, 1단계 0.5, 2단계 0.9), 지자체(지역발전, 0.5), 새만금공사(기관운영, 0.2), 한수원(계통연계, 0.3) 등 관련 기관에 배분
ㅇ 발전사업을 기반으로 투자유치 및 용지조성을 가속화하고, 관련 연구‧지원시설 등을 설치하여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 조성
□ 신재생에너지 유형별 사업 위치
| |
참고4 |
| 투자유치형 발전사업 추진 |
□ 추진 개요
ㅇ (사업구조) 단순 발전사업에 그치지 않고, 발전수익을 새만금 지역 투자사업의 인센티브로 활용하여 발전사업과 투자사업을 연계
ㅇ (현황) 0.5GW는 투자모델* 선정 완료, 데이터센터 및 창업클러스터 조성 투자사업부터 사업자공모(’20.6~8.) 및 제안서 평가(9.15) 실시
* ① 데이터센터 및 창업클러스터(6천억원, 0.2GW), ② 첨단산업복합단지(3천억원, 0.1GW), ③ 해양관광단지(2.6천억원, 0.1GW), ④ 정주형 테마마을(3천억원, 0.1GW)
※ 1.4GW 중 나머지 0.9GW는 공용전력망 여건을 감안하여 단계적 사업 추진 예정
□ 사업 모델
ㅇ데이터센터․창업클러스터를 구축하는 산업투자와 국제협력․관광레저용지 대상 개발투자 등 4건을 투자모델로 선정
제안사 | 발전규모 | 투자금액 | 투자사업 내용 |
산업투자형 | 0.2GW | 6천억원 |
- 데이터센터 설치 및 기업유치
- 창업지원시설 설치ㆍ운영 |
개발투자형 | 0.1GW | 3천억원 |
- 국제협력용지에 75만평 규모의 복합산업단지 조성 |
0.1GW | 2.6천억원 | 관광레저용지 53만평 조성 | |
0.1GW | 3천억원 | 관광레저용지 120만평 조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