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일생의례
민간설화
제주의 혼례 준비 잔치, 가문잔치
혼례 > 제주도 지역의 독특한 혼례 모습제주의 혼례 준비 잔치, 가문잔치
제주도에서는 혼례의 과정이 잔치로 이루어진다. 가문잔치는 혼례를 치르기 전날 저녁 친척들과 가까운 마을 사람들을 불러 음식을 대접하는 잔치이다. 친척들은 이 날 모여 다음 날 혼례에 대한 의논을 한다. 일반적으로 혼롓날보다 가문잔칫날 더 축하객이 많고 바쁘다. 가문잔치는 혼인 준비에 큰 도움을 준 친척이나 이웃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의미도 있으므로 가문잔치를 하지 않으면 주변 사람들이 잔치도 아니라며 흉보기도 하였다.
제주도에서는 혼례의 과정이 잔치로 이루어진다. 결혼식 준비부터 일반적으로 3일, 길게는 7일 동안 잔치가 이루어진다. 결혼식 하루 이틀 전부터 준비를 하기 위해 많은 친척들과 많은 사람들이 모인다. 먼저 결혼 준비를 위해 돗(돼지)을 잡는다. 피로연에서 돼지고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결혼할 자녀가 있는 집에서는 돼지를 많이 키웠다. 돗을 잡고 음식을 준비하고, 천막을 치는 등 준비하는 것을 ‘돗 잡는 날’이라고 한다. 준비가 끝나면 그 날 저녁 가족들과 친구들을 모아서 접대하는데 이것을 ‘가문잔치’라 한다.
홍세함(1975 제주도 선흘리 혼례 재현)
홍세함(1975 제주도 선흘리 혼례 재현)(사진출처:제주특별자치도문화원연합회)
가문잔치는 마련한 음식을 친지와 하객들에게 접대하는 날로 결혼 당일보다 더 축하객이 많고 바쁜 날이다. 대부분의 부조도 이 날 한다. 결혼식에 참가하지 못하더라도 이 날만은 마을 주민들도 꼭 찾아와 축하와 함께 부조를 한다. 가까운 사이일수록 반드시 참여했다. 하객들은 이 날이 되면 '잔치 먹으러 간다' 또는 '먹을 일 있다.'라고 이야기한다.
가문잔치에서 궨당(친척)들은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다음날의 혼사에 대해 의논하며 준비한다. 친척들은 둘러앉아 사돈집에 참석할 우시(상객), 대반, 중방 등을 정한다. 특히 신랑 집에서는 가문잔치 때 예장을 쓰고 홍세함을 준비하는 등 최종 점검을 함께 한다. 친가인 성펜궨당과 외가인 외펜궨당도 함께 잔치 준비를 하는데, 주요 결정권은 신랑의 친가인 성펜궨당에게 있다. 제주도는 환경적인 특성상 마을내혼이 많았다. 친가와 외가가 같은 마을이나 인근 마을에 거주하며 집안의 큰 일에 함께 참여했다. 따라서 혼인의례에 외척이 참여하는 비중이 한반도 내륙보다 높을 수 밖에 없다.
가문잔칫날은 특별한 절차가 없으며 형식에 구애 받지 않는다. 돼지고기에 모자반을 넣고 끓인 ‘몸국’과 ‘가문반’을 나누어 먹고, 서귀포에서는 ‘반’이라고 해서 돼지고기 석 점과 순대, 떡 등을 남녀노소 구분 없이 나눠 먹는다. 가문잔치를 하며 음식을 대접하는 것은 혼인 준비에 큰 도움을 준 친척이나 이웃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는 의미도 있다. 그래서 가문잔치를 하지 않으면 주변 사람들이 잔치도 아니라며 흉보기도 하였다.
순대,몸국(1975 제주도 선흘리 혼례 재현)
순대,몸국(1975 제주도 선흘리 혼례 재현)(사진출처:제주특별자치도문화원연합회)
이러한 제주의 구식혼례 혼인 관행은 1950년대 중반까지 이어졌으나, 1960년대의 과도기를 거치면서 1970년대 이후로는 신식혼례가 자리잡았다. 또한, 결혼식장에서 혼례를 치르다보니 가문잔치도 당일 피로연으로 변화하였다.
참고자료단행본국립민속박물관. 일생의례사전.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2014.단행본김혜숙. 제주도 가족과 궨당. 서울: 제주대출판부, 1999.단행본현승환, 국립민속박물관. 제주의 민속문화 6 제주인의 일생.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2007.웹페이지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 "가문잔치", http://jeju.grandculture.net
웹페이지
디지털서귀포문화대전, "가문잔치.", http://seogwipo.grandculture.net
집필자전소윤
연관키워드
혼례
가문잔치
제주도
돗잡는날
궨당
연관tag#
#혼례
#가문잔치
#제주 혼례
#제주 관혼상제
초등교과과정연계
· 3학년 ▶ 사회
· 5학년 ▶ 사회
위치정보/지방문화원
500m
NAVER
© NAVER Corp.
지도 핀 제주특별자치도 중앙로 2, 2층
문화원 아이콘
제주도문화원연합회 GO
제주특별자치도 중앙로 2, 2층
멀티미디어자료 (3)
홍세함(1975 제주도 선흘리 혼례 재현) 이미지입니다사진출처: 제주특별자치도문화원연합회
이미지
홍세함(1975 제주도 선흘리 혼례 재현)
(사진출처: 제주특별자치도문화원연합회)
순대,몸국(1975 제주도 선흘리 혼례 재현) 이미지입니다사진출처: 제주특별자치도문화원연합회
이미지
순대,몸국(1975 제주도 선흘리 혼례 재현)
(사진출처: 제주특별자치도문화원연합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