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 지도 이미지 다운로드하기
2편 : paint.net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활용
3편 : 도엽과 자편각
4편 : 인쇄할 지도 이미지 만들기
5편 : 인접 도엽 이어 붙이기
인쇄하기와 주기 사항
[인쇄하기]
[4편 : 인쇄할 지도 이미지 만들기]와 [5편 : 인접 도엽 이어 붙이기]에서 만든 지도 이미지는 100%의 배율로 인쇄해야 지도 고유의 축척대로 인쇄됩니다. 하지만 paint.net 프로그램의 인쇄 설정에는 100% 배율로 인쇄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그래서 paint.net에서는 지도 이미지만 만들어 파일로 저장했습니다. 결국 100% 배율의 인쇄가 가능한 다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 지도 이미지 파일을 열어 인쇄하면 됩니다. 지도 이미지를 인쇄하는 분들 중에는 자택에 프린트가 없어 PC방 같은 다중 이용 업소에서 인쇄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100% 배율의 인쇄가 가능한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무료 프로그램이어야 합니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는 그림판이 있습니다. 다음 내용은 지도 이미지를 그림판 프로그램에서 100% 배율로 인쇄하는 절차입니다.
1. Windows 운영 체제의 컴퓨터에서 아래 그림의 [시작](1번)을 클릭하고 [Windows 보조프로그램](2번)을 클릭한 후 [그림판](3번)을 클릭하여 그림판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2. 아래 그림에서 [파일](1번)의 [열기(O)](2번)를 클릭하여 [열기]창을 엽니다.
3. 아래 그림의 1번 영역에서 지도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연 후 해당 파일을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그리고 [열기(O)](2번)를 클릭합니다.
4. 아래 그림과 같이 [파일](1번)의 [인쇄(P)](2번)에 커서를 위치시켜 인쇄의 하위 메뉴를 연 다음 [페이지 설정(S)](3번)을 클릭하여 [페이지 설정]창을 엽니다.
5. 아래 그림의 [페이지 설정]창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1) [용지]의 [크기(Z):](1번)에서 인쇄할 용지를 선택합니다.
(2) [방향](2번)에서 용지의 인쇄 방향을 선택합니다.
(3) [여백(밀리미터)](3번)에서 [왼쪽(L):], [위쪽(T):], [오른쪽(R):], [아래쪽(B):]에 모두 0을 입력합니다.
(4) [가운데](4번)에서 [가로(H)]와 [세로(V)] 항목에 모두 체크 표시(✔)를 합니다.
(5) [크기 조정](5번)에서 [배율(D):]을 선택한 후 입력값이 100%인 상태로 하단의 [확인](6번)을 클릭합니다.
6. 아래 그림과 같이 [파일](1번)의 [인쇄(P)](2번)에 커서를 위치시켜 인쇄의 하위 메뉴를 연 다음 [인쇄(P)](3번)를 클릭하여 [인쇄]창을 엽니다.
7. 아래 그림과 같이 [인쇄]창의 [프린터 선택](1번)에서 인쇄할 프린터를 클릭하여 선택하고 [매수(C):](2번)에서 인쇄할 매수를 선택한 후 하단의 [인쇄(P)](3번)를 클릭합니다.
[주기 사항]
1. 자북선 그리기
(1) [4편 : 인쇄할 지도 이미지 만들기]의 [지도의 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를 통해 만들어지고 인쇄된 종이 지도의 경우 진북 방향을 나타내는 직선(1번) 또는 경도선에서 각도기나 나침반을 이용해 해당 지역 자편각(-9.04°)만큼 기울여 자북선(2번)을 그립니다. 그리고 지도정치를 할 때 자북선에서 자북과 자남을 헷갈리지 않도록 자북 방향에 자북(Magnetic North)의 이니셜 M.N.(3번)을 표기합니다.
(2) [4편 : 인쇄할 지도 이미지 만들기]의 [지도의 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를 통해 만들어지고 인쇄된 종이 지도의 경우 각도기나 나침반을 이용해 진북 방향을 나타내는 세로 경계선(1번) 또는 경도선에서 해당 지역 자편각(-9.04°)만큼 기울여 자북선(2번)을 그립니다. 그리고 지도정치를 할 때 자북선에서 자북과 자남을 헛갈리지 않도록 자북 방향에 자북(Magnetic North)의 이니셜 M.N.(3번)을 표기합니다.
2. 산 이름 또는 지역명 표기
아래 그림과 같이 인쇄된 종이 지도 상단에 해당 산의 이름이나 지역명을 표기합니다.
3. 지도 축척 표기
위 그림과 같이 인쇄된 종이 지도 하단에 해당 지도의 축척을 표기합니다.
4. 위 1.항의 자북선은 지도 이미지를 종이에 인쇄하기 전에 paint.net 프로그램에서 다음 절차에 따라 미리 표기해도 됩니다.
(1) [4편 : 인쇄할 지도 이미지 만들기]의 [지도의 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를 통해 지도 이미지를 만드는 경우 자북선의 각도 파악하기
- [4편 : 인쇄할 지도 이미지 만들기]/[지도의 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의 1.항에 소개된 방법에 따라 해당 지도 이미지의 도편각을 파악합니다.(예 : 진북은 수직 상향인 도북에서 시계 방향으로 0.57° 기움)
- [3편 : 도엽과 자편각]/[자편각]에 소개된 방법에 따라 해당 지도 이미지의 자편각을 파악합니다.(예 : 자북은 진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4° 기움)
- 도북이 수직 상향인 지도 이미지에서 도편각과 자편각을 바탕으로 자북선의 각도를 파악합니다.(예 : 수직 상향인 도북에서 시계 방향으로 0.57° 기운 진북, 진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4° 기운 자북, 따라서 자북은 수직 상향인 도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8.47° 기움, 이 각도는 paint.net 프로그램에서 98.47°로 표시됨, [4편 : 인쇄할 지도 이미지 만들기]/[지도의 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1.항/(5)호 참조)
(2) [4편 : 인쇄할 지도 이미지 만들기]의 [지도의 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 또는 [5편 : 인접 도엽 이어 붙이기]를 통해 지도 이미지를 만드는 경우 [3편 : 도엽과 자편각]/[자편각]에 소개된 방법에 따라 자북선의 각도를 파악합니다.(예 : 자북은 수직 상향인 진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4° 기움, 이 각도는 paint.net 프로그램에서 99.04°로 표시됨, [4편 : 인쇄할 지도 이미지 만들기]/[지도의 진북이 수직 상향인 이미지 만들기]/1.항/(5)호 참조)
(3) 아래 그림의 paint.net 프로그램에서 [선 / 곡선] 아이콘(1번)을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지도 이미지에서 자북선의 시작점이 될 부분(2번)에 커서를 위치시킨 다음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마우스를 움직여 커서(3번)를 이동시키면 시작점을 기준으로 한 커서의 방향이 프로그램 하단(4번)에 각도로 표시됩니다. 지도 이미지의 상단부이면서 커서 방향의 각도가 자북선의 각도를 가지는 곳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마우스 왼쪽 버튼을 놓습니다. 이 작업은 지도 이미지를 충분히 확대한 상태에서 진행하면 더욱 쉽습니다. 그리고 [✔마무리](5번)를 클릭하여 자북선 그리기를 완료합니다.([2편 : paint.net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활용]/[paint.net의 기본 사용법]/11.항 참조)
5. 위 2항, 3항의 주기 사항도 지도 이미지를 종이에 인쇄하기 전에 paint.net 프로그램에서 다음 절차에 따라 표기해도 됩니다.
(1) 지도 이미지에 글자를 표기하기 위해 먼저 아래 그림의 [텍스트] 아이콘(1번)을 클릭하여 선택합니다. [색]창의 색상표(2번)에서 글자의 색상을 지정하기 위해 원하는 색상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그림의 3번에서 글꼴을 지정하고 4번에서 글자의 크기를 지정합니다.
(2) 위 그림의 지도 이미지에서 글자를 표기할 곳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하면 1자 모양의 커서(5번)가 생성되어 주기적으로 깜빡입니다. 이떼 키보드를 통해 글자를 입력하면 1자 모양의 커서 위치(5번)에 글자가 표기됩니다. 글자들 중 알파벳과 숫자는 정상적으로 잘 표기되지만 한글은 한 음절을 입력한 후 다음 음절을 입력해야 이전 음절이 표기됩니다. 현재 입력한 한글 음절이 바로 표기되게 하려면 키보드의 [Delete]키를 누르면 됩니다.
(3) 아래 그림의 1번 아이콘에 커서를 위치시키면 커서가 손 모양으로 바뀝니다. 이때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마우스를 움직이면 방금 입력한 글자들이 따라서 이동합니다. 이 기능을 통해 글자들을 지도 이미지상의 원하는 곳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글자 표기를 마치려면 아래 그림의 [✔마무리](2번)를 클릭합니다.
6. 인쇄된 종이 지도는 현장에서 비 또는 땀에 젖으면 이미지가 잘 안 보이거나 찢어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가급적 종이 지도는 방수가 되는 투명 지퍼백에 넣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