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자동차의 임금·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이 21일 부결된 가장 큰 이유는 노조 내부에서의 ‘집안싸움’ 때문이었다. 현 강성 집행부에 대해 영업부문 조합원들이 불신임 표를 던지면서 르노삼성은 또다시 벼랑 끝에 서게 됐다. 노조 내부가 정리되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르노삼성 임단협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22일 르노삼성에 따르면 ‘2018년 임단협 잠정합의안’ 찬반투표는 찬성 47.8%, 반대 51.8%로 협상안이 부결됐다. 자동차 업계의 예상과 달리 잠정합의안이 조합원 투표의 벽을 넘지 못한 것은 정비부문 직원들의 반발이 컸기 때문이다. 부산공장에 소속된 생산직 조합원들은 찬성 52.2%, 반대 47.2%를 기록했지만, 정비 직원들로 구성된 영업지부 소속 조합원들은 찬성 34.4%, 반대 65.6%로 반대의견이 훨씬 많았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이번 잠정합의안이 부결된 것은 현 강성 집행부에 대해 정비부문 조합원 대다수가 ‘불신임 표’를 던졌기 때문"이라며 "뿌리 깊은 노조 내부의 갈등이 결국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이라고 말했다.
르노삼성 노조는 부산공장 생산직 근로자 1736명이 가입한 기업노조와 444명의 정비 직원들이 있는 영업지부로 나뉜다. 영업지부 소속 조합원들은 기업노조의 지지를 얻어 출범한 노조 집행부의 강경투쟁 기조에 대해 계속 불만이 쌓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월 이후 7개월여간 끌어온 이번 임단협에서 핵심 쟁점이 된 것은 인력 충원과 생산직 근로자들의 근로여건 개선 등이었다. 노조는 사측에 ▲근로자를 전환 배치할 경우 노조의 합의를 거치도록 규정 개정 ▲생산직 근로자 200명 충원 ▲부산공장 시간당 생산대수(UPH) 하향 조정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이같은 요구가 모두 지나친 경영 개입이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노조 집행부와 사측이 긴 시간 동안 대립한 이 요구들은 모두 정비 부문 직원들과는 별다른 상관이 없었다. 이 때문에 정비 부문에서는 생산직 조합원들의 이익을 위해 자신들이 소외되고 있다는 이유로 집행부의 파업 지침을 제대로 따르지 않는 직원들이 늘어만 갔다. 지난달 집행부가 파업에 상습적으로 불참한 정비 부문 조합원 20여명을 제명하면서 노조 내부의 갈등은 최고조에 달했다.
이번 잠정합의안이 도출된 이후에도 노조 집행부는 정비 부문 조합원들에게 구체적인 합의 사항 등에 대해 제대로 전달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잠정합의안이 부결된 것은 가뜩이나 강성 집행부에 대한 불만이 커진 상황에서 최소한의 소통도 하지 않자 많은 정비 부문 조합원들이 작심하고 반격에 나섰기 때문이었다.
이번 잠정합의안 부결로 르노삼성 임단협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강성 집행부에 대한 정비 부문 직원들의 반감이 크게 늘어난 상황이라 노조 내부가 정리되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크다.
익명을 요구한 르노삼성 협력업체 관계자는 "어렵게 지난해 임단협을 끝내도 하반기에는 올해 임금협상을 또 시작해야 한다"며 "1년 내내 이어지는 르노삼성의 노사 갈등, 노노 갈등으로 인해 힘없는 협력사들만 벼랑 끝에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첫댓글 노조야 집에 가서 놀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