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감독님은 국외물이라 불릴 영화를 두 편 만드셨습니다. (중략) 이건 좀 대담하지 않나, 하는 반응을 보였던 기억이 납니다. 홍콩의 대스타 두 명을 데리고 동성애 러브스토리를 찍었으니까요. 이런 식으로 이해하는 게 맞는 건가요?
A. <해피 투게더> 같은 경우는 97년 이전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그땐 사람들이 중국 본토 반환 이후의 삶이 어떻게 될지 걱정하던 시절이었어요. 캐나다, 미국, 호주의 영주권을 얻으려는 사람들이 있었고, 그것 때문에 비극도 많았어요. 결혼이 파탄 나는 경우도 많았고요. 홍콩 사람들이 제일 실망한 순간 중 하나가 여권을 받을 때였습니다. 그건 분명 영국 여권이지만 ‘BNO’ 즉 해외 영국 국민용이란 꼬리표가 있었어요. 이는 곧 자신들이 영국 여권을 가진 영국 국민이지만 본토 반환 후에 영국에서 살 권리는 없다는 뜻이었죠. 말하자면 우린 사생아란 뜻이었습니다. 저는 이 문제에 관한 영화를 만들어야 겠다고 느꼈습니다. 받아들여지기를 원하지만 거절당하는 이야기,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관계, 즉 이를 테면 동성애에 대한 영화를요.
저로선 특히 97년 이후에도 홍콩에서 게이영화를 만들 수 있을지 확신이 없어서 더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장국영한테 말했어요. “우리, 게이영화 하나 만듭시다.” 그랬더니 그가 “ 좋아, 못할 거 없지.” 하더군요. “진심인 거죠?” 하니까 이러더군요. “당신이 감독인데 당연히 진심이지. 근데 상대역은 누구야?” 그래서 “양조위”라고 하니까, 그가 “좋네”하더군요.
Q. 수많은 장소 중에 왜 아르헨티나였던 겁니까? 마누엘 푸익의 소설을 좋아하셨기 때문에? 그가 감독님의 스토리텔링 방식에 영향을 줬다고 하신 적이 있죠. 게다가 그도 동성애자였고요.
A. 맞습니다. 그의 소설 중에서도 <하트브레이크 탱고>를 제일 좋아합니다. 정말 훌륭한 제목이라고 생각해요. 너무 맘에 들어서 한동안 이 영화의 가제로 쓰기도 했는데, 아르헨티나 촬영 허가를 받으려고 서류를 제출했을 때 정식 판권을 획득한 거냐고 사람들이 묻더라고요. 그래서 “현재 노력 중입니다”라고 대답했더니, 당연히 허가가 안 났어요. 탱고에 관한 영화를 찍는데 아르헨티나 말고 어딜 가겠습니까? (중략) 전 생각했죠. “홍콩에서 가능한 한 최고로 멀리 떠나고 싶다. 이 세상 반대편으로 가서 두 남자 이야기를 만들고 싶어.” 그랬는데 알고보니 진짜로 아르헨티나가 홍콩에서 제일 먼 거리에 있더라고. (웃음).
<오프닝씬에 관하여>
“오프닝을 러브신으로 가자. 둘이 사랑을 나눌 때 내가 원하는게 바로 이런 방이야. 침대는 두 개. 조명은 최소한으로.”
“디테일이랄 게 없어. 하지만 촬영은 바로 들어가야 돼. 양조위 그 친구가 앞으로 감당할 수 있을지 아님 여기서 그만둘지 봐야 하니까” 저는 두 주인공이 가장 친밀한 그 순간에 영화를 시작하고 싶었어요. 그 후부터 둘 사이는 멀어지게 됩니다. 저는 양조위가 그 과정을 연기해낼 수 있을지 확신을 얻어야만 했어요. 그때가 영화의 운명이 걸린 순간이었습니다.
Q. 그리고 왕조위는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도통 몰랐고요.
A. 현장을 준비시키자 양조위 얼굴에 핏기가 싹 가시더군요. 아무리 그래도 촬영 첫날부터 러브신을 찍을 줄은 몰랐던 거지. (중략)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누구도 딱히 모르는 거야. 그래서 저는 카메라만 배치했고, 크리스는 조명을 켰고, 양조위는 타월을 두른 채 장국영만 쳐다보며 앉아 있었죠. (중략) 장국영이 먼저 타월을 벗으며 “자, 시작하지”하고 말하더군요. 이때가 누가 위로 올라탈지 결정되는 ‘바로 그’ 순간 이었습니다. 왜냐하면 누가 위쪽을 맡을지 내가 말해준 적이 없으니까. 그때 장국영이 걸어가 침대 위에 먼저 누웠습니다. 그걸로 모든 게 결정된 셈이었죠. 양조위가 “좋아요, 갑시다”하자 사방이 쥐죽은 듯 조용해졌습니다. 그도 타월을 벗었지만 아직 사각팬티를 입고 있는 상태였어요. 전 그것도 벗어야 한다고 생각했죠. 하지만 그가 “싫어요! 안 벗을 겁니다, 이 이상은 허락 못 해요” 하길래 저도 “좋아요, 이대로 갑시다”하고 그냥 진행 했습니다. 이후부터는 장국영이 그를 리드했습니다. (중략) 그 장면을 마친 후, 양조위는 완전히 충격을 받아 거기 멍하니 앉아 있었습니다. 장국영이 그에게 말하더군요. “이젠 알겠지, 지금까지 내가 여자랑 러브신을 찍으며 좋아 죽는 척 연기하면서 속으로 어떤 기분이었을지를.” 양조위에게는 이 경험이 엄청난 충격이었던 겁니다. 몇 년 지난 후에 그가 고백하더군요. “제가 지금 최고로 후회 되는 게, 그날 팬티를 벗을 용기를 왜 못냈을까 하는 겁니다.” 제 생각에 그가 <색, 계> 출연을 결심한 이유중 하나가 이거라고 생각해요.
흥미돋았던거 아주 조금 가져왔어 저작권땜에 더 이상의 내용은 적기 무섭.. 관심 있으면 책 사서 읽는거 추천할게~~
근데 나 장국영 엄청 팬인데 난 이성애자라고 생각하고 본인이 성정체성에 대해서 거리낌없이 말하고 그래서 바이라고 생각할수도 있다고 생각했거든? 사람들이 다 바이라고 알고있기도 하고 근데 실제로 장국영 여자연예인들이랑 스캔들도 많이나고 결혼할뻔한적도 있고 게이루머는 황색언론이랑 측근중에 장국영 루머 퍼뜨러서 돈버는 사람때문에 퍼진거라고 알고있거든 그래서 장국영이 스트레스도 많이받았고 게이스캔들 났던 맨날 붙어다니던 친구도 사실 아니라고 알고있는데 왕가위감독이 저렇게 얘기한게 뭔가 읭 하다.. 뭐지
삭제된 댓글 입니다.
ㅜㅜ 어디서 봤어?
@오전10:25 해피투게더는 둘다 없네 ㅠㅠㅠ!! 고마워!!
나 왕가위 너무 좋아해서 책까지 샀잖아
해피투게더도 물론 인상깊게 봄
이 영화 진짜 배경 음악 영상미 다 매혹적이야 장국영이랑 양조위는 물론ㅠ
여기서 양조위 연기 진짜 너무 좋았어 물론 장국영은 항상 연기 잘하지만
근데 나 장국영 엄청 팬인데 난 이성애자라고 생각하고 본인이 성정체성에 대해서 거리낌없이 말하고 그래서 바이라고 생각할수도 있다고 생각했거든? 사람들이 다 바이라고 알고있기도 하고
근데 실제로 장국영 여자연예인들이랑 스캔들도 많이나고 결혼할뻔한적도 있고 게이루머는 황색언론이랑 측근중에 장국영 루머 퍼뜨러서 돈버는 사람때문에 퍼진거라고 알고있거든 그래서 장국영이 스트레스도 많이받았고
게이스캔들 났던 맨날 붙어다니던 친구도 사실 아니라고 알고있는데 왕가위감독이 저렇게 얘기한게 뭔가 읭 하다.. 뭐지
@nod off 옹 나도 그렇게 생각해 그래서 왕가위 감독이 저렇게 진짜 말했다는게 안믿겨서 ㅋㅋ장국영이 성정체성 관련해서 스트레스 많이 받은걸 알텐데 자기 책에다가 저렇게 썼다는게
@nod off 사후에 쓴거면 더 이상해..책사서 읽어봐야겠다ㅋㅋㅋ
@nod off 둘이 사이 그렇게 좋았던것도아니고 번역문제같은게 있을수도 있으니까 진짜 읽어봐야겠다 ㅋㅋ근데 진짜 생각할수록 이상하네 자기가 무슨권리로 본인이 함구한걸 떠드는건지..ㅋㅋ
@Timothée Chalamet ㅈㄴㄱㄷ 왕가위 좀 그래 다른 배우한테도 막말 개심함;;
내 인생영화. 첫장면이 러브신이라서가 아니라 그냥 영화가 처음부터 끝까지 너무 뜨겁고 처절하고 그래ㅜㅜㅠ
장국영이 말했다는 여자러브신 저 말 난 가짜라고 알고있었는데 실제로 저런말 한적 없다고 팬카페에서 본기억이 있는데 확실히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