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블트위스트(Double Twister) 연사공정
(1)연사공정
(2)연사조건의 설정
실의 종류 및 굵기, 필라멘트 수에 따라서 ①에서 ⑦의 연사조건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①스핀들 회전수의 선정 ②연 방향의 셋팅(S연, Z연) ③연수의 설정 ④권취 능각도(와인더수)의 설정 ⑤벌룬가이드의 높이 결정(벌룬 높이) ⑥벌룬장력의 설정(텐셔) ⑦권취장력의 설정(오버피이드 량) 이상의 조건은 직물촉감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연사의 품질면을 고려하면서 사용 조건을 결정해야 한다.
(3)스핀들 회전수의 설정
스핀들 회전수를 결정하는 인자는 원사의 종류, 품질, 직물의 촉감 및 연사기 자체의 기계적인 제약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자들을 감안하여 스핀들 회전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1)벌룬장력의 제약
원사의 특성 즉 인장강도와 신도는 원사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벌룬장력은 스핀들 회전수가 증가하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높은 장력에서도 견딜 수 있는 원사는 스핀들의 고속회전에서도 별 문제점이 없으나 저장력을 요하는 원사는 고속회전에는 불가능하다.
스핀들 회전을 고속으로 하여 벌룬장력이 한계를 초과하였을 때는 인장강도와 신도가 약한 원사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연사 중에 사절이나 핀실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적정 스핀들 회전수는 신중하게 선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벌룬장력은 직물의 촉감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충분한 검토 후에 본 작업에 착수하는 것이 좋다.
 |
〈그림3-11>에서
실선:φ140mm, L=420mm, 380mm 일정쇄선:φ90mm,L=290mm, 240mm 점선:φ110mm, L=350mm, 320mm
2)사속의 제약
연사기의 사속은 연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스핀들 회전수는 사속에 의하여 제한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투푸원 연사기의 최대의 사속은 40m/min 정도이다. 연사기의 스핀들 최대 회전수산출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한다. |
스핀들 최대 회전수=〔연수(T/M)×40m/min〕/2 사속(m/min)=〔스핀들 회전수(RPM)×2〕/연수(T/M)
(4)스넬가이드(벌룬가이드)의 높이설정
벌룬의 높이는 로타리 디스크의 상면에서 스넬 가이드까지의 높이 H를 말한다. 이 높이 H가 낮을수록 벌룬장력은 낮아지지만 너무 낮으면 벌룬사가 해서사(解舒擡)에 접촉하여 얽히기 쉽다. 반대로 H가 너무 높았을 경우에는 벌룬장력이 높아지고 세(細) 데니어 실에 있어서는 벌룬형상의 하부가 깨어진다.
벌룬형상은 실의 섬도, 스핀들 회전수, 연수에 따라서 다르며 실이 굵을수록, 스핀들 회전수가 높을수록, 강연이 되면 될수록 벌룬형상은 커진다. 또한 벌룬사가 급사 및 텐셔 혹은 해서사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절대조건이다. 벌룬형상을 잘 확인하여 어디에도 접촉하지 않고 될 수 있는 한 낮은 높이로 설정한다. 표준적인 벌룬가이드 높이는 텐셔 상부에서 벌룬가이드 하부까지의 거리가 약 24㎜이다.
(5)텐셔장력의 설정
급사 펀으로부터 해서(解舒)된 실은 스핀들 내를 통해서 로타리 디스크의 외주에 감겨 붙으며 또한 실은 공기저항 때문에 비스듬하게 비틀어지면서 스넬가이드에 도달한다. 실이 로타리 디스크에 감겨 붙는 각도를 지연각 혹은 디레이 각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더블 트위스터는 벌룬텐션(연사장력)이 일정하다고 말하고 있으나 이것은 지연각이 0°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이 필요하다.
이 지연각의 조정은 볼텐셔로 행하며 지연각이 30°이상이면 벌룬장력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지연각이 30°이하가 되면 벌룬장력은 높아지기 시작하고 사절 원인이 되기 때문에 텐셔의 부가장력은 급사펀의 최 내층에서 30°이하가 되지 않도록 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일반적으로 급사펀의 해사장력은 외층·중층에서는 낮고 내층(특히 하부로 부터의 해서)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높아지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서 지연각은 내층이 되면 작아진다. 텐셔의 장력부가량은 스핀들 회전수, 연수, 실의 물성, 실의 굵기(섬도)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양산(量産)전에 대소(大小)펀을 각각 2∼3본의 실을 올려서 지연각 체크를 하고 결정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적정한 장력이 부가되어 있느냐는 스토로브 측정기를 이용하여 지연각을 체크해서 판정한다.
1)텐셔의 장력조절
①텐셔의 기능
펀에서 풀려진 실은 스핀들을 통하여 스토라지 디스크(Storage disc)를 돌아 나와 벌룬가이드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실은 공기저항에 의하여 대각선으로 꼬여지게 된다. 지연각 그림에서와 같이 스토라지 디스크를 돌아 나오는 실의 각도를 지연각(Delay angle) 혹은 와인딩 각(Winding angle)이라고 부른다. <그림3-14 a>에서는 지연각이 300°이고 <그림3-14 b>에서는 30°이다. 이러한 지연각이 30°이상일 경우에는 벌룬장력은 항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고 지연각이 30°이하일 경우에는 해사장력이 변동되어 벌룬형성에 영향을 끼쳐 벌룬형태가 작아지거나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벌룬장력이 높아지고 심하면 사절의 원인이 된다.
②지연각과 벌룬장력 및 해사장력
지연각은 스토라지 디스크 출구에서의 장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동된다. 장력이 높을 경우 지연각은 작아지며 장력이 낮을 경우 지연각은 크게 된다. 그러므로 스토라지 디스크 출구에서의 장력은 실의 해사 장력과 텐셔가 부여한 장력을 합친 것을 말한다. 만약에 이러한 장력이 변동된다면 지연각도 도 따라서 변동된다.
일반적으로 펀의 해사장력은 실 층이 감소함에 따라 달라지는데 펀의 바깥부분과 중간부분의 실이 해사 될 때는 해사 장력이 낮으며 속부분인 내층의 실이 해사 될 때, 특히 펀의 아래 부분일 경우 해사 장력은 최고치에 달한다. 따라서 펀의 내층 실이 해사 될 때는 스토라지 디스크 출구에서의 장력은 높아지고 지연각은 작아진다.(지연각 변화) 와셔로서 장력을 조절함으로서 어떤 경우에서라도 30°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연각을 관측하는 방법은 스트로보스코브를 사용하여 비춰보면 용이하다.
<그림3-14>지연각 <그림3-15>지연각 변화 |
③텐셔의 장력 조절방법
투포원 연사기에서 사용하는 텐셔는 볼텐셔와 소형의 와셔텐셔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볼텐셔의 종류는 6가지인데, ø3.97, ø6.25, ø7.14, ø7.94, ø9.53, ø11.10들이 갖추어져 있다. 그러므로 텐셔로서 장력을 부가시키면 지연각은 작아진다. 이와 같은 허용 지연각의 범의는 30°에서 720°가 바람직하며 스핀들에서의 해사 장력 산포 때문에 가능하면 지연각 범위 내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의 실 층이 바같층과 중간층일 때는 지연각이 180°에서 360°정도이고, 가장 내부층에서 실이 풀려질 때는 45°정도이다. (강연일 경우에는 지연각을 너무 크게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지연각이 너무 클 경우에는 볼의 직경을 큰 것으로 사용하고 톱가이드의 피스(Pieces) 수를 늘려야 한다. 그리고 지연각이 너무 작다면 볼 텐셔의 직경을 작은 것으로 바꾸고 피스 수를 줄인다. 이와 같은 장력조정 외에 와셔 텐셔도 다음과 같은 영향을 끼친다.
a)해사되는 실이 벌룬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b)역연사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c)필라멘트가 분리되어 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장력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을 살펴보면
a)사속이 높을 경우 장력을 감소시킨다. b)연수가 높을 경우 장력을 증가시킨다. c)스핀들 회전수가 높으면 장력을 증가시킨다. d)태 데니어일 경우 장력을 증가시킨다 e)벌룬의 높이가 크면 장력은 증가한다.
2)권취장력(오버피드)
권취장력을 낮추기 위하여 연사된 실을 권취하는 부분에 피드롤러를 장치하여 권취장력을 조절하고 있다. 그런데 보편적으로 권취장력은 데니아 당 0.1∼0.2g 정도를 가한다. (벌룬장력이 높으면 권취장력도 같이 증가한다) |
 |
3)연수
실에 가해지는 꼬임수는 연축과 크로스각(능각도) 등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실제 연수를 확인한 다음에 연수의 결정을 하여야 한다.
4)크로스 각(와인더수)
크로스 각은 기아박스에 있는 기아를 change 함으로서 쉽게 조정할 수 있다. 플렌지보빈에 권취할 경우 크로스각은 3∼5°가 적당하고 테이퍼 치즈에 권취할 때는 9∼18°가 적합하다.
5)연방향
연방향을 바꿀 경우 벨트의 진행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드라이빙 벨트의 진행방향이 좌측으로 돌아가면 S연이고 우측으로 돌아가면 Z연이다. |
 |
(6)주의사항
지연각이 클 경우는 볼 직경을 크게 또는 개수를 늘린다. 반대로 지연각이 작을 경우는 볼 직경을 적게하거나 또는 개수를 줄이는 따위로 하여 조절한다. 톱 와셔텐셔는 장력을 부가하는 목적 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도 있다.
①펀으로부터의 해서사가 벌룬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②해연(연입)이 펀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③필라멘트 분리에 의한 루우프 발생 및 스나알(Snarl)현상이 발생함에 의한 과도한 해서의 발생을 억제한다.
단, 아래와 같은 상태의 경우는 와셔텐셔를 사용하지 않고 볼 텐셔만 사용한다.
①와셔텐셔이 상, 하로 춤추는 것과 같은 경우(과대텐션→지연각이 작다) ②가공사 등에서 해서되는 실이 혼입됨에 따라 단사 필라멘트가 급사펀에 파고 들어가는 것과 같은 경우 ③원사유제의 량 및 종류에 따라서 톱 가이드와 와셔텐셔에 다량으로 유제가 부착하는 것이 있다. 그 때문에 해서가 불안정하게 되는 경우(해서의 속도가 원활하지 못하다)
텐셔장력 부가량은 (표3-1)의 항목을 참고로 하여 조절하면 좋다.
장 력 부 가 량 |
많 이 부 가 |
작 게 부 가 |
사 속 |
늦 어 질 때 |
빨 라 질 때 |
연 수 |
강 연 ( 强 撚 ) 이 됨 에 따 라 |
감 연 (甘 撚 ) 이 됨 에 따 라 |
스 핀 들 회 전 수 |
고 속 이 될 때 |
저 속 이 될 때 |
굵 기 ( 섬 도 ) |
굵 어 지 면 |
가 늘 어 지 면 |
벌 룬 의 높 이 |
높 게 하 면 |
낮 게 하 면 |
(7)벨트조정
1)벨트 장력조정 방법
벨트의 장력은 벨트신장이 약 0.8∼1.0%가 적당하지만 실제로는 기계를 운전시켜 느슨한 쪽의 스핀들 회전수를 체크하고 설정한 스핀들 회전수가 나오는 범위, 또는 각추의 회전수 편차가 없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느슨하게 당겨야 한다. 그러나 벨트장력이 부족한 채로 사용하면 실을 걸어 운전시에 스핀들 회전수에 편차가 생겨 감연사(甘撚絲)의 발생원인이 된다. 벨트 장력조정에서의 주의사항으로서 ①에서 ④의 조건이 있다.
①벨트장력 조정중에는 모터베이스 부상(浮上)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볼트는 될 수 있는 한 떼어 내지 않도록 한다. ②벨트장력 조정중에는 여러번 벨트를 손으로 돌려 벨트장력이 균일하게 되도록 해서 측정한다. ③벨트는 너무 강하게 당겨도 소비전력이 높아진다. 또 풀리(pulley) 축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베어링의 수명이 짧아진다. ④벨트를 당긴채로 장기간 정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 경우는 벨트를 느슨하게 하여 장력을 주지 않는 상태로 해 둔다
2)벨트장력의 측정방법
①무라타 기계제 장력측정 게이지 사용방법(Murata 장력측정 게이지 사용법)
부속의 벨트장력 조정용기구(장력측정 게이지)를 사용하여 그림과 같이 벨트에 고정해 a, b, c의 3점이 벨트에 적중했을 때의 손잡이 위치(※표)에서 장력이 적절한지를 판단한다. 새 벨트 일 때는 색의 띠가 전부 보이며 통상적 일 때는 색띠 범위내이다.
② 스타코마 장력측정 게이지 사용방법(Tsudakoma 장력측정 게이지 사용법)
적정한 벨트장력은 장력측정 게이지로 <그림3-18>과 같이 용수철 저울을 눌러서 ①과 ①' 벨트에 접촉하였을 때 저울의 눈금이 1.8∼2kg이 되도록 벨트장력을 조정한다.
|
 |
<그림3-18>벨트장력 측정방법 |
더 블 트 위 스 터 기 종 (機種) |
최저벨트 장력(kgf) |
색 상 |
새 벨 트 |
통 상 |
309·310-A |
343(35) |
275(28) |
적(赤) |
308·310-B, C |
490(50) |
392(40) |
청(靑) |
302·307 |
735(75) |
588(60) |
황(黃) |
<그림3-19> 장력측정 게이지(용수철 저울을 눌렀을 때) |
더블트위스터 기종 |
벨 트 장 력 (kgf) |
T D N - A |
1.8 ~ 2.0 |
T D N - B |
1.8 ~ 2.0 |
③가기노기(Kakinoki) 및 이시가와(Ishikawa) 장력 조정방법
스핀들벨트는 나일론 필름에 들어 있는 합성피혁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초기장력 시 신장은 1.6∼2%이다. 일반벨트의 표면에는 장력 설정용의 기준장마크가 있다. 만약 없는 경우는 기준장을 나타내는 2본의 선을 매직으로 긋는다.
<조정방법>
①기준장 마크가 없는 경우 벨트를 자유로운 상태로 완화, 임의의 위치에 간격 500㎜의 표시를 붙인다. ②어져스트 핸들을 돌려 모터를 인장방향으로 이동시켜 벨트를 약 1.6% 당긴다. 2본의 기준선으로 마크한 500㎜ 간격의 기준선 사이가 508∼510㎜의 폭이 되도록 모터를 이동하여 벨트를 당긴다. ③모터를 회전시켜서 스토로보스코프에 의해 벨트당김 측과 느슨한 측의 스핀들 회전수를 조사한다. 회전수의 오차범위가 2% 이내이면 벨트장력은 정상이다.
(8)확인사항
1)운전전의 확인사항
①사도가 잘못되지는 않는지, 실이 벗어나지 않는지를 확인한다. ②급사펀과 권취 실린더, 튜우브의 사이에서 실이 느슨하지 않는지 점검한다. ③권취실린더, 튜우브가 바르게 드럼에 접촉하여 실 끝이 감겨 붙어있는지 확인한다. ④스핀들, 피이드로울러, 프릭션 드럼 등에 파사가 감겨 붙은 것이 있는지 확인한다. ⑤텐셔에 필요에 따라 링·볼을 설치하였는지 확인한다. ⑥기계 주변에 파사 등에 흩어져 있지 않는지 점검한다. ⑦스핀들이 완전히 벨트에 접촉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2)가동직후의 확인사항
①사절되어 있지는 않는지, 사절추를 발견할 경우에는 급사에서 실을 풀어냄으로 스핀들에 실이 감겨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시 텐션부의 실을 절단한다. ②급사펀이 공회전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③권취실린더, 튜우브가 원활하게 회전하며 정상으로 실이 권취되고 있는지, 피이드로울러에 실이 감겨 붙어 있지는 등을 확인한다. ④정상으로 운전되고 있는 추는 드로프 와이어(drop wire)를 작동시킨다. ⑤실이 정상적인 사도로부터 벗어나 있지는 않는지 확인한다. ⑥스트로보 스코프로 벌룬현상은 정상인지, 이상 변동되고 있는 것은 없는지, 이상 벌룬은 원인을 조사하여 수정한다. 규정의 연수인지를 검연기로 조사한다. ⑦스핀들 회전수, 지연각이 정상인지 확인하여 스핀들 회전수에 편차가 있을 경우 기계를 정지시키고 불량 추를 수리하든지 예비 스핀들로 교체한다. ⑧벌룬장력 및 권취장력을 텐션메터로 측정하고 확인한다. ⑨스핀들 및 기계의 각부에 이상음 및 진동의 발생이 없는지 확인한다.
3)운전중 연사 종료시의 확인사항
①권취형상, 모우, 루우프, 실의 오염, 사절 등을 항상 체크해서 상태가 나쁜 곳이 있었을 경우 반드시 그 원인을 조사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나서 운전한다. ②상태가 좋지 않은 내용과 추 번호를 체크시트에 기입하여 재발방지를 한다. ③연수가 적정한지 한번 더 확인한다.
4)스핀들 관계(볼스터의 세정 및 오일교환)
①볼스터에서 스핀들을 떼 낸다. ②세정기 픽업을 볼스터에 끼워, 세정 및 급유를 동시에 행한다.(취급방법은 세정기에 부속되어 있다). 세정·급유기가 없는 경우는 주사기의 선단에 가느다란 비닐 파이프를 설치하고 스텝 베어링부 부근에 침전한 미소한 이물 및 마모분 등을 제거하며 이것으로 불충분한 경우는 볼스터를 스핀들 레일에서 때내어 깨끗한 스핀들 기름속에 흔들어 씻는다. ③급유량은 5cc로 볼스터의 내면에 기름이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4.5∼4.8cc 급유 한다. 급유할 때마다 부속의 오일레벨 게이지로 볼스터내의 유량을 점검, 기름을 보급한다. 급유량이 너무 많을 경우 스핀들을 회전시키면 기름이 넘쳐서 벨트를 더럽히는 일이 있다. ④주유시 볼스터의 네크 베어링에 기름이 묻혀지게 한다. ⑤기름의 량을 정확히 부속의 오일레벨 게이지로 측정한다.
5)스핀들 취급시 주의사항
①스핀들의 취급은 흠이 생기지 않도록 신중하게 해야한다. ②스핀들 탈 부착시 쓰레기 및 먼지가 혼입 할 우려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③세정에 세유(洗油)를 쓰지 않고 스핀들 유를 사용한다. ④스핀들을 설치할 때 브레이드, 훠브의 오염, 기름을 충분히 닦아낸다. 반드시 정지용 마그네트가 상대(相對)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⑤세정유와 교환유는 구별해서 섞이지 않게 한다. ⑥볼스터의 오일 교환은 시운전 후 500시간, 그후는 6개월에 1회는 반드시 실시한다. 기름오염 및 소모량은 사용조건에 따라서 대폭적으로 달리한다. 기름을 교환한 후도 적절한 시기에 점검해서 오염된 추의 기름을 바꾸어 넣는다.
연사물의 TM 비교
두 실간의 꼬임 세기를 비교할 때 그 연수만으로는 우열을 가름하기 힘들고 그 연의 각도(연계수)를 측정하여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_ K=T√D K=연계수, T=꼬임수, D=denier _ 50D 3,200T/M의 연계수=3200*√50=22.627 이 된다.
서 열 |
D |
TM |
연계수 |
연축률(%) |
1 |
150 |
2450 |
30.006 |
40 |
2 |
50 |
3200 |
22.327 |
22 |
3 |
100 |
1900 |
19.000 |
18 |
4 |
150 |
1500 |
18.371 |
17 |
5 |
75 |
2000 |
17.320 |
15 |
6 |
300 |
800 |
13.856 |
8 |
연각도
실에 꼬임을 주면 나선상의 권취선이 생긴다. 이 경우 권취선과 실의 중심축과의 각도를 연각도라 하며, 그 크기는 중심축과의 거리(d/2)에 비례한다. 또 이 각도의 대소로 꼬임의 정도를 나타내고 각도가 클 때는 작을 때보다도 강한 꼬임이 부여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꼬임의 연도(撚度)의 강약과 연수(T)와는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
(a)에서 동일한 굵기의 실로서 연수를 높게 하면 꼬임의 정도가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b)에서 동일한 꼬임정도를 얻으려면 세사는 태사와 비교하여 많은 꼬임을 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도환산도(撚度換算圖)
다음의 연도환산도는 굵기가 다른 실로서 동일한 연도를 얻기 위한 환산도이다. 또 75D 1,000T/M, 1,500T/M, 2,000T/M 및 2,500T/M의 연수를 기준으로 하여 이것과 동등한 꼬임을 굵기가 다른 실에 적용한 예이다. 예를 들면, 75D 2,500T/M의 경우 150D에서는 약 1,750T/M이 된다.
공정관리
(1)rpm 편차, 추별 편차, 호대간 편차는 다음과 같은 인자들로 나타난다.
①스핀들과 벨트접촉 불량 ②벨트장력 부족 ③텐션 풀리(Tension pulley) 조정 불량 ④벨트에 묻은 오일 등으로 인한 슬립
(2)장력
1)벌룬닝 장력 2)권취장력 3)실린더 경도(Cylinder Hardness)
①Before Setting Standard : 65˚ ②꼬임장력 및 권취장력은 저 장력일 때 모우가 적고 사절 및 세팅에 대한 효과가 있다. ③실린더하네스가 높으면 열고정 효과에 열수축 영향을 주어 모슴줄이 생긴다.
(3)점검
1)T/M 불균일
①1000T/M : 100 rpm 미만 ②2000T/M : 200 rpm 미만 (1∼2%내로 관리) ③추별 rpm 편차⇒T/M 편차가 생긴다. ④호대별 rpm 편차⇒장력편차가 생긴다.
2)크레들(Cradle) 회전편차
①크레들과 드럼의 터치(Touch) 불량 ②크레들 베어링부 마모 ③크레들 베어링부에 파사가 감긴다.
3)지연각
①초기 720°이내(사종에 따라 다소 차가 있음)로 한다. ②말기 360°이상으로 한다. ③사종의 물성에 따라 최적 조건을 설정한다.
4)가이드 센터(Guide center) 불량으로 인한 사절
①톱 가이드와 벌룬가이드 간의 센터(Center) 불일치 된다.
5)정장관리
①정장은 실 길이를 일정함으로 경사용으로 사용관리 한다. ②비정장(절사분)은 실 길이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위사용으로 사용한다..
6)폭차이
①온도이완에 따른 폭변화(Setting 후)가 생긴다. ②권취장력이 발생한다. ③셋팅(Setting)조건 등 (원사의 물성차이)
7)사절
선염사인 경우 염료의 불안정 용해, 과다 장력, 가이드 이탈, 펀사 삽입시 취급 부주의, 볼(Ball) 이상 (녹, 취급 부주의로 인한 흠, 마모), 가이드 홈 등으로 사절의 원인이 된다.
각종직물의 표준연축율
(1) 생사의 표준 연축율
연축율 |
126D |
105D |
84D |
63D |
42D |
28D |
21D |
1% |
370 |
405 |
453 |
522 |
645 |
783 |
904 |
2 |
550 |
607 |
699 |
784 |
968 |
1,175 |
1,357 |
3 |
740 |
810 |
906 |
1,044 |
1,290 |
1,567 |
1,809 |
4 |
923 |
1,012 |
1,132 |
1,306 |
1,612 |
1,958 |
2,261 |
5 |
1,073 |
1,176 |
1,318 |
1,518 |
1,859 |
2,278 |
2,630 |
6 |
1,203 |
1,316 |
1,472 |
1,698 |
20,97 |
2,547 |
2,941 |
7 |
1,295 |
1,417 |
1,585 |
1,828 |
2,257 |
2,742 |
3,166 |
8 |
1,385 |
1,518 |
1,698 |
1,959 |
2,419 |
2,938 |
3,393 |
9 |
1,480 |
1,619 |
1,811 |
2,089 |
2,580 |
3,133 |
3,618 |
10 |
1,573 |
1,721 |
1,925 |
2,220 |
2,741 |
3,330 |
3,845 |
11 |
1,664 |
1,821 |
2,037 |
2,350 |
2,902 |
3,525 |
4,070 |
12 |
1,757 |
1,923 |
2,151 |
2,481 |
3,064 |
3,721 |
4,297 |
13 |
1,850 |
2,024 |
2,264 |
2,611 |
3,225 |
3,917 |
4,522 |
14 |
1,933 |
2,115 |
2,366 |
2,729 |
3,370 |
4,093 |
4,726 |
15 |
2,016 |
2,206 |
2,468 |
2,846 |
3,515 |
4,270 |
4,930 |
16 |
2,090 |
2,287 |
2,552 |
2,951 |
3,644 |
4,426 |
5,110 |
17 |
2,163 |
2,367 |
2,648 |
3,055 |
3,773 |
4,582 |
|
18 |
2,234 |
2,444 |
2,734 |
3,153 |
3,894 |
4,729 |
|
19 |
2,302 |
2,519 |
2,818 |
3,284 |
4,015 |
|
|
20 |
2,367 |
2,590 |
2,897 |
3,342 |
4,127 |
|
|
21 |
2,432 |
2,661 |
2,977 |
3,434 |
|
|
|
22 |
2,498 |
2,733 |
3,057 |
3,526 |
|
|
|
23 |
2,551 |
2,795 |
3,125 |
|
|
|
|
24 |
2,611 |
2,861 |
3,198 |
|
|
|
|
(2) 인견사의 표준연축율(연수 1m간)
연축율 |
200D |
150D |
120D |
100D |
75D |
60D |
50D |
40D |
30D |
1% |
297 |
344 |
384 |
421 |
486 |
543 |
595 |
666 |
769 |
2 |
465 |
537 |
600 |
658 |
759 |
849 |
930 |
1,039 |
1,201 |
3 |
620 |
716 |
800 |
877 |
1,012 |
1,132 |
1,240 |
1,386 |
1,601 |
4 |
759 |
878 |
980 |
1,074 |
1,240 |
1,386 |
1,519 |
1,696 |
1,962 |
5 |
876 |
1,013 |
1,130 |
1,239 |
1,431 |
1,600 |
1,753 |
2,180 |
2,264 |
6 |
974 |
1,126 |
1,257 |
1,378 |
1,591 |
1,779 |
1,949 |
2,380 |
2,264 |
7 |
1,065 |
1,233 |
1,375 |
1,508 |
1,741 |
1,946 |
2,133 |
2,584 |
2,754 |
8 |
1,154 |
1,335 |
1,490 |
1,633 |
1,886 |
2,109 |
2,310 |
2,774 |
2,984 |
9 |
1,240 |
1,432 |
1,600 |
1,754 |
2,024 |
2,264 |
2,480 |
2,958 |
3,202 |
10 |
1,321 |
1,529 |
1,706 |
1,870 |
2,159 |
2,414 |
2,645 |
3,136 |
3,416 |
11 |
1,401 |
1,623 |
1,808 |
1,982 |
2,289 |
2,539 |
2,804 |
3,307 |
3,621 |
12 |
1,477 |
1,709 |
1,907 |
2,091 |
2,414 |
2,699 |
2,957 |
3,473 |
3,819 |
13 |
1,551 |
1,795 |
2,003 |
2,195 |
2,535 |
2,834 |
3,105 |
3,631 |
|
14 |
1,622 |
1,876 |
2,094 |
2,295 |
2,650 |
2,963 |
3,246 |
|
|
15 |
1,690 |
1,951 |
2,180 |
2,389 |
2,758 |
3,085 |
3,379 |
|
|
16 |
1,652 |
2,023 |
2,260 |
2,477 |
2,858 |
3,198 |
3,303 |
|
|
17 |
1,814 |
2,094 |
2,340 |
2,565 |
2,960 |
3,311 |
|
|
|
18 |
1,872 |
2,161 |
2,415 |
2,647 |
3,055 |
3,417 |
|
|
|
19 |
1,930 |
2,229 |
2,490 |
2,729 |
3,150 |
3,523 |
|
|
|
20 |
1,984 |
2,291 |
2,560 |
2,809 |
3,238 |
|
|
|
|
21 |
2,038 |
2,353 |
2,630 |
2,882 |
3,327 |
|
|
|
|
22 |
20,93 |
2,417 |
2,700 |
2,959 |
3,417 |
|
|
|
|
23 |
2,143 |
2,475 |
2,765 |
3,030 |
|
|
|
|
|
24 |
2,193 |
2,533 |
2,830 |
3,102 |
|
|
|
|
|
25 |
2,244 |
2,591 |
2,895 |
3,173 |
|
|
|
|
|
26 |
2,290 |
2,646 |
2,955 |
|
|
|
|
|
|
27 |
2,337 |
2,698 |
3,015 |
|
|
|
|
|
|
28 |
2,383 |
2,752 |
3,075 |
|
|
|
|
|
|
(3) 아세테이트의 표준연축율(0.2gr/d)
연 축 율 |
200D |
150D |
120D |
100D |
75D |
55D |
40D |
0.5 |
175 |
230 |
250 |
280 |
330 |
410 |
520 |
1 |
280 |
340 |
350 |
440 |
530 |
660 |
820 |
2 |
440 |
520 |
630 |
700 |
850 |
1,040 |
1,300 |
3 |
570 |
700 |
800 |
920 |
1,120 |
1,360 |
1,700 |
4 |
|
|
|
|
|
|
|
5 |
800 |
1,000 |
1,160 |
1,300 |
1,560 |
1,930 |
2,400 |
6 |
900 |
1,150 |
1,300 |
1,450 |
1,800 |
2,200 |
2,800 |
7 |
1,000 |
1,250 |
1,450 |
1,600 |
2,000 |
2,400 |
3,000 |
(4) 나일론사의 표준연축율
연 축 율 |
200D |
110D |
70D |
50D |
30D |
15D |
0.1% |
150 |
190 |
230 |
270 |
310 |
450 |
0.2 |
230 |
260 |
310 |
370 |
480 |
600 |
0.3 |
290 |
310 |
370 |
440 |
570 |
720 |
0.5 |
400 |
390 |
460 |
550 |
720 |
900 |
1.0 |
530 |
520 |
620 |
750 |
960 |
1,200 |
2.0 |
620 |
700 |
840 |
1,000 |
1,300 |
1,650 |
3.0 |
780 |
830 |
1,000 |
1,200 |
1,550 |
1,950 |
5.0 |
1,060 |
1,010 |
1,250 |
1,500 |
1,900 |
2,450 |
10 |
1,400 |
1,400 |
1,700 |
2,000 |
2,600 |
3,100 |
20 |
1,700 |
1,900 |
2,300 |
2,750 |
3,500 |
4,400 |
30 |
2,100 |
2,300 |
2,750 |
3,300 |
4,200 |
5,200 |
(5) 폴리에스터사의 표준연축율
연수\구분 |
50D |
75D |
100D |
150D |
200D |
300D |
400D |
123 |
0.07% |
0.1 |
0.2 |
0.2 |
0.3 |
0.3 |
0.4 |
150 |
0.08 |
0.14 |
0.24 |
0.25 |
0.35 |
0.4 |
0.6 |
198 |
0.1 |
0.25 |
0.3 |
0.3 |
0.5 |
0.7 |
0.9 |
242 |
0.2 |
0.3 |
0.4 |
0.5 |
0.7 |
0.9 |
1.3 |
308 |
0.6 |
0.7 |
0.8 |
0.9 |
1.1 |
1.6 |
1.9 |
348 |
0.7 |
0.9 |
1.0 |
1.2 |
1.5 |
2.1 |
2.7 |
408 |
0.8 |
1.0 |
1.2 |
1.4 |
1.9 |
2.6 |
3.8 |
453 |
0.9 |
1.1 |
1.3 |
1.6 |
2.1 |
3.0 |
4.8 |
502 |
1.0 |
1.2 |
1.6 |
2.0 |
2.7 |
3.9 |
6.0 |
600 |
1.1 |
1.4 |
2.1 |
2.6 |
3.8 |
5.5 |
7.9 |
709 |
1.3 |
1.8 |
2.7 |
3.4 |
5.2 |
7.4 |
10.5 |
800 |
2.0 |
2.7 |
3.2 |
4.3 |
6.6 |
9.4 |
14.2 |
925 |
2.4 |
3.2 |
3.8 |
5.1 |
8.4 |
12.1 |
18.8 |
1000 |
2.9 |
4.0 |
4.5 |
5.9 |
9.6 |
14.1 |
22.0 |
1200 |
3.5 |
5.0 |
5.8 |
7.8 |
13.9 |
20.2 |
33.4 |
1400 |
4.4 |
6.2 |
7.3 |
11.5 |
19.0 |
32.3 |
50.2 |
1600 |
5.5 |
7.7 |
9.1 |
14.5 |
24.2 |
45.2 |
|
1800 |
6.6 |
9.3 |
11.1 |
18.3 |
33.3 |
58.0 |
|
2000 |
7.8 |
10.9 |
13.1 |
24.2 |
43.2 |
|
|
2200 |
9.0 |
12.6 |
15.4 |
30.7 |
52.5 |
|
|
2400 |
10.3 |
14.5 |
17.9 |
38.4 |
|
|
|
2600 |
12.7 |
16.4 |
20.0 |
47.5 |
|
|
|
2800 |
13.1 |
18.4 |
22.5 |
|
|
|
|
3000 |
14.7 |
20.5 |
25.4 |
|
|
|
|
3200 |
16.4 |
22.0 |
|
|
|
|
|
3400 |
18.3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