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生之事(인생지사) 塞翁之馬(새옹지마)
塞(새) - 변방 새
翁(옹) - 늙은이 옹
-변방(塞) 즉 국경지대에 살던 한 늙은이(翁)에게 좋은 말(馬)이 한 필 있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이 말이 국경을 넘어 사라지고 말았다.
동네 사람들은 안타까움에 노인을 위로 하러 들자
노인 왈 - 괞찮습니다. 더 좋은 일이 있겠지요.
그러는 것이었다.
아니나 다를까 얼마 있지 않아 국경을 넘어 없어졌던 그 수컷 말이 짝을 데리고 나타난 것이다.
동네 사람들은 또다시 그 노인네를 찾아가 축하한다고 기뻐들 하자
노인 曰(왈) - 글쎄요, 이게 꼭 그렇게 좋아만 할 일이었으면 좋겠지만..
하는 게 아닌가?
얼마 있지 않아 그 새로운 말을 타고 놀던 노인네의 유일한 아들이 그만 낙상하여 다리가 부러지는 일이 생겼다.
동네 사람들은 그 노인네의 기우가 현실이 된 것에 감탄을 함과 아울러 아무튼 아들이 다리가 부러져 불구가 된 일에 대하여 위로를 해 드리러 노인네에게 갔다.
또 다시 위로를 받은 그 노인네 曰(왈)
글쎄요 물론 제 자식이 불구가 된 일이 경사스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인생이 끝난 것도 아니고 오히려 이 불행이 행운으로 바뀔지 누가 알겠습니까? 하며 오히려 동네사람들보고 걱정들 말라고 하였다.
그리고 얼마 있질 않아 노인네가 사는 변방에서 전쟁이 일어나 젊은이들이 다 징집되어 전쟁터로 보내져 여기저기에서 죽거나 다치는 일이 있게 되었다.
그 노인네가 사는 마을에도 많은 청년들이 전쟁터로 징집되어 나가 전투에 참가하게 되자 전사자가 속출하여 온 마을이 통곡과 슬픔에 휩싸이게 되었다.
그런데 이 노인네의 아들은 말 타다 떨어져 불고가 되는 바람에 징집에서 면제되어 생명을 잃지 않게 되었다는 연유에서
인생지사 塞翁之馬(새옹지마)라는 격언이 생기게 되었다
-인생이란 우여곡절을 겪게 마련이라 부침이 있는 법이지만
좋은 일과 나쁜 일이 계속되란 법은 없는 법이므로
一喜一悲(일희일비)하지 말고 현실에 만족하고 충실하게 살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
|
첫댓글 어렴픗이 알고있었는데..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