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랭이 |
대로 만든 모자로 역졸, 백정, 보부상이나 상주들이 햇볕 가리개용으로 사용하였다. ↔벙거지 |
방갓 |
상주나 멀리 떠나는 사람들이 이용했으며, 작은 삿갓이다. |
채번 |
빈대떡, 젅, 구운 고기 담는데 이용. 산나물이나 채소 말릴 때. 특히 김장 담을 때 소금에 저린 배출 물 빼기용으로 이용 |
소쿠리 |
채소, 과일, 등 물빼기용으로 이용 |
광주리 |
음식물을 담거나 악세사리용 |
베개 |
여름용 베개, 작은 것 |
죽부인 |
여름용 베개, 큰 것 |
부채 |
더위 쫒는데 사용 하거나 장식품. 畵家, 書家, 文人들이 그림이나 시 |
석작 |
떡, 생선, 과일 기타 이바지 보낼 대 쓰이는 물건으로 일반 가정에서도 사용. 떡동구리라고도 하며 1~4층(1~4단)으로 되어 크기별로 나누어진다. |
죽척(대자) |
옛날 30cm용 대나무 자 (플라스틱이 나오기 전) |
대악기 |
피리, 퉁소(통수) 등에 이용 |
죽침대 |
1970년대 유행하던 침대 |
찬합 |
반찬이나 술안주 담아 두는 곳 |
대젓가락 |
도시락, 대밥그릇, 대주걱, 도시락 등 |
죽기 |
대로 만든 제기 |
차 도구 |
차나 술잔 등 |
죽비 |
지휘봉 |
기타 생활용품 |
기타 생활에 필요한 도구 들 |
대를 이용한 제품
댓잎차 |
댓잎에는 단백질을 비롯해 불포화 지방, 칼슘, 비타민 B1 함유돼 있고 아미노산이 많아 피로해복, 스테미너 보강 및 감기몸살과 주독을 풀어준다. 구수하고 단백하고 깔끔해 육류를 즐기는 독일 미국 스위스 캐나다, 프랑스등으로 수출하고 있다.
채취시가는 5월부터 8월에 잎을 채취한 다음 물에 씻은 후 잘게 썰어 뜨거운 솥에 덖고 비비기를 반복해 완전히 건조시키는 방법을 거친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벗 매란국죽 처럼 댓잎차에 매화꽃을 띄우면 차 한잔에 풍경을 담을 수 있는 멋을 누릴 수 있다. |
대나무술 |
대를 이용하여 만드는 술에는 중국에서 만드는 죽염청주(45∘),담양에서 만드는 댓잎술(12∘)이 있으며 그 이외에도 죽순으로 만드는 죽순주, 대나무 전체를 가영하여 만드는 죽력고가 있으며 시중에서 판매하는 대통술이 있다. <동의보감>에 죽순은 ‘성질이 차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소갈을 멎게 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번열(가슴이 답답하고 괴로우면서 나는 신열)을 없애고 기를 보한다’고 했으니, 신장에 좋고 정력에 좋다고 유추해도 무리가 없다. 죽순만이 아니고, 순은 독이 없어서 나물로 무쳐 먹거나 술을 담그기도 한다. |
죽염 |
죽염은 대나무통에 천일염 소금을 다져넣고 황토흙으로 입구를 봉한 다음 쇠가마에 넣어 쌓고 소나무 장작불로 태워 한 번 굽는다. 이렇게 아홉 번을 반복하고 아홉 번째는 1,200℃ 이상의 고열로 녹여낸다. 이것을 가루로 만들거나 쌀알만하게 깨서 복용한다. 피로회복, 소화촉진, 청혈, 위장병에 좋고 염증을 다스리는 데 효과 있다. |
대나무 수액 |
일본에서는 5월5일 대나무 수액을 이용하였다. 하늘이 내려준 물이라 하여 神水라 하였다. 대나무 수액 중에는 인간이 필히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하고 있다. 기미, 죽은깨, 검버섯제거, 노화방지, 이뇨, 심신안정에 이용 |
대통밥 |
대통밥이라 근래에 개발한 음식으로 각종재료( 각종곡식, 닥종이, 대추, 밤 )을 대나무에 넣고 한지로 덮고 물을 약간 부어 압력솥에 넣어 40분 가량 찝니다. |
◎ 거제 맹종죽의 제품
주요 용도로는 화병/필통/붓통/서류통/명함통/도시락통/술통 등 각종 통기구와 과자그릇 쟁반 공예품 젓가락 칼 포크 스푼 합판 해태양식 보호구 담장 마루 기둥 완구류 장식재 펄프원료 대나무숯 등이다.
첫댓글 대나무공예품으로 소쿠리, 광주리, 바구미, 산대미, 챙이(키),동고리, 반짓고리... 등등의
예전에 우리들 손에 많이익은 물건들의 사진들이 있었으면...
와우~ 저 탈렌트 아저씨는 저 곳에 아는 분이 있나 봐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