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 대상자와 가족의 심리역동
죽음의 의미
삶의 과정, 영원한 삶의 시작, 삶의 완성
"나는 훌륭하게 싸웠고 달릴길을 다 달렸으며 믿음을 지켰습니다." 딤후 4:7
죽음에 대한 태도
"나는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죽음에 대해 탐구하고 토의하며 자신의 감정 반응을 인지한다.
자신의 문제에 대응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호스피스 대상자의 심리역동과 중재
호스피스 대상자의 일반적 심리적 상태
1. 고립, 자포자기에 빠지지 않으려고 한다.
2. 가능한 한 자신을 통제하고자 한다.
3. 치료에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기를 원한다.
4. 신체적 지적인 면에서 최대한의 기능을 하고자 한다.
5. 사회적 고립을 두려워하고 좋은 대인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다.
6.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대화 할 상대를 필요로 한다.
7. 미완성의 일을 완성시키고자 한다.
8. 통증을 느끼지 않거나 가능한 한 통증을 덜 느끼고자 한다.
9.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익숙한 장소에서 임종을 맞고 싶어한다.
10. 자신의 즐거웠던 과거를 회상 할 기회를 가지려 한다.
11. 자신의 질병과 치료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갖고자 한다.
12. 장례절차, 자녀문제, 집안일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 한다.
13. 주변 사람들의 정직하고 진실한 태도를 원한다.
14. 성적 애정적 돌봄을 원한다.
15. 심리적 영적 상담을 받고 싶어한다.
호스피스 대상자의 심리역동
1. 상실감(loss)
상실은 의미있고 가치있는 어떤 것을 박탈하는 것으로 호스피스 대상자는 죽어가
는 과정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상실감을 체험하게 한다.
1) 신체적 상실
2) 고립감, 자기존중감, 존엄성에 대한 위협에서 오는 정서적 상실
3) 사회적 접촉과 관계감소, 역할 변화로 인한 사회적 상실
죽어가는 사람의 입장에서 진실로 돕는다 (혼자있게 하지 말고 함께 있어준다.)
2. 두려움(feat)
모든 두려움의 근원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다.
두려움은 피해의식, 불안의 근원이 된다.
1) 죽음이 미지의 것이라는 두려움
2) 고독에 대한 두려움
3) 가족, 친지 상실에 대한 두려움
4) 신체, 부분 상실에 대한 두려움
5) 자아 조절능력 상실에 대한 두려움
6) 통증에 대한 두려움
7) 주체성 상실에 대한 두려움
8) 퇴행에 대한 두려움
3. 절망감(despair)
무능감, 무력감, 실망, 포기가 순환적으로 작용하는 연속적인 상태이다.
중재
1) 상실감,두려움, 절망감을 이해하고 공감한다.
2) 함께 있어준다.(언제 죽을지 모르기에 무섭고 두려한다.)
3) 경청한다. (내 이야기를 하지 말고 들어 주어야 한다. 말을 가로막지 말 것)
4) 편안하고 수용적 분위기를 조성해서 감정을 표현 하도록 하고 지지한다.
5)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6) 사회적지지를 돕는다.- 가족과 친지의지지
호스피스 대상자 가족의 심리역동과 중재
호스피스 대상자 가족의 일반적 심리상태
1. 임종환자와 같이 있고 싶어한다.
2. 임종환자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한다.
3. 임종환자의 평안을 확인하길 원한다.
4. 임종환자의 상태에 대해 알고 싶어한다.
5. 임종시기가 임박했다는 사실을 알고 싶어한다.
6.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어한다.
7. 다른 사람들로부터 위로와지지를 받고 싶어한다.
가족의 심리역동
1. 상실감-비탄:①처음 진단 받으면 충격, 상실, 비탄, 분노, ② 인지 ③ 해결
2. 임종환자에 대한 갈등: 죄책감, 적대감 등
3. 두려움 분노
4. premortem dying(사전 임종 현상): 임종환자와 그 가족간의 상호 관계에서 일어
날 수 있는 현상으로 환자의 죽음이 지연될 때 실제적인 임종전에 가족이 상실감-
비탄의 과정을 끝나게 되어 환자를 제외 시키는 현상 (사전 임종 현상이란 1년 선고
받았는데 4년을 사는수도 있다 . 병든 장수라고도 하며 모두가 지쳐서 소홀히 할
수 있으며 죽은 마음으로 산다 . 칭찬과 격려로 위로 해주자
중재
1) 가족의 심리적 갈등을 이해하고 공감한다.
2) 경청한다.
3) 편안하고 수용적인 분위기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 하도록 한다.
4) 가족이 환자의 치료와 임종간호에 계속 참여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5) 계속적인 관심과 지지
야생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