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그림은 THOMSON사의엘리트와 ROCKSHOX사의 Suspension Seat post 입니다.
위 모델은 일반적인 모델이고 하단에 있는것은 충격을 흡수해주는 서스펜션 싯포스트입니다. 하단에 있는것은 무게가 좀 나가겠죠.
프레임
왼쪽그림은 SPECIALIZED 사의 BMX프레임입니다.
앞 딜레일러
왼쪽그림은 SIMANO사의 XTR 앞 딜레일러입니다.
위 모델은 탑밴드, 아래모델은 다운밴드입니다. 또한 와이어를 위에서 또는 아래서 땡기는방식에 따라 각각 탑풀,다운풀방식으로 사용합니다.
카셋트(스프라켓)
왼쪽그림은 SIMANO사의 XTR 카셋트입니다. 요즘은 대부분 9단을 사용합니다.
앞 딜레일러
왼쪽그림은 SIMANO사의 XTR 앞 딜레일러입니다.
위 모델은 탑밴드, 아래모델은 다운밴드입니다. 또한 와이어를 위에서 또는 아래서 땡기는방식에 따라 각각 탑풀,다운풀방식으로 사용합니다.
뒷 딜레일러
왼쪽사진은 Sram사의 9.0sl 뒷 딜레일러입니다. Sram은 1:1의 빠른변속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크랭크
왼쪽그림은 SIMANO사의 XTR 크랭크입니다.
크랭크 선택시 자신의 키에 맞는 크기를 선택하세요. 보통 신장이 170-175이면 170을 175-180이면 175를 사용합니다.
체 인
왼쪽그림은 SIMANO사의 DURA-ACE 체인입니다.
체인링크를 같이 쓰고 있는데 매우 편리하더군요.
헤 드 셋
왼쪽그림은 CHRIS KING사 헤드셋입니다.
헤드셋은 일반베어링과 실드베어링이 있습니다
스 템
왼쪽그림은 THOMSON사의 엘리트 모델입니다.
스템은 자신의 몸에 맞게 길이와 각도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그 립
왼쪽그림은 SPECIALIZED 사의 S-works Grip입니다.
그립은 손이 미끄러지는것을 방지하여 힘손실을 막아줍니다..
핸들바
왼쪽그림은 EASTON사의 핸들바입니다.
위에모델은 프리라이딩,다운힐에서 많이 쓰는 라이져바구요 하단에 있는것은 XC용인 일자바입니다.
브레이크 레버
왼쪽그림은 AVID사의 울티메이트 레버입니다.
브레이크는 케이블,유압,에어식이 있으며 주로 케이블과 유압식(Disc)을 많이 사용합니다.
쉬프터 레버
왼쪽그림은 SIMANO사의 XTR과 Sram사의 Half pipe입니다.
위모델은 레피드 파이어이고 아래모델은 그립을 돌려서 변속하는 그립쉬프터입니다
앞 서스펜션
왼쪽모델은 ROCKSHOX의 Psylo Race와 Marzocchi 사의 Monster T 입니다.
왼쪽은 싱글크라운 오른쪽은 더블 크라운이고 ,트레블은 각각 XC용은 주로 65-80mm를 프리라이딩용은 100-130mm 그이상은 DH에서 주로 사용하지요
타이어
왼쪽 그림은 SPECIALIZED사의 타이어입니다.
왼쪽은 주로 쓰는 산악용타이어이고 오른쪽은 로드타이어입니다. 장거리 투어시는 로드타이어를 끼면 아주 좋지요.
Q R
왼쪽그림은 Salsa사의 Suspension Flip-Offs입니다.
대부분의 MTB들은 쉽고,빠른 조절을 위해 모두 QR(퀵릴리즈)을 사용하지요.
휠 셋
왼쪽 그림은 Mavic사의 CROSS MAX UST입니다.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휠셋에는 튜브를 넣어 사용하지만 그림에 있는 모델은 튜브가 들어가지 않는 모델입니다. 크로스맥스UST는 전용 타이어를 사용하여야 튜브를 장착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합니다.
자전거 정비
자전거 정비를 하는데 있어 실험정신은 아주 중요하다. 모르면 배워도 되겠지만 혼자서 터득하는 기술은 아주 오랜 기간동안 내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는다. 모든 자료들을 참고하면서 자신의 방법을 찾고 최선의 정비기술을 함양한다. 우리나라는 실질적으로 자전거를 생산하는 업체가 드물다. 거의 모든 업체들이 주문자 생산 방식으로 제품을 수급하며, 많은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것이 현 실정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내에서 보다 나은 정비기술을 배운다는 것은 힘들다. 자전거를 직접 생산해 낸다면 보다 발전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정비의 목적
정비란 자전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주기적으로 해주는 것이 좋다. 보다 나은 정비는 원활한 자전거 이용에 도움이 된다. 자전거가 제대로 굴러가지 않는다면 자전거 타기는 매우 힘들 것이며 즐거운 마음으로 자전거타기를 할 수 없을 것이다. 항상 준비하는 자세로 정비하고 기술을 배운다.
자전거 부위별 명칭
Barends : 자전거 핸들 바 끝에 설치하는 부품, 여러 가지 형태와 크기로 만들어진다, 원래의 용도는 산악 라이딩 시 손 보호에 있었다, 하지만 점차 발전된 형태는 언덕을 오를 때 지렛대 원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게 해주고, 평지에서는 손의 피로를 풀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한다.
Bead : 타이어의 끝부분을 말한다, 주로 케블라 나 금속 케이블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데, 타이어가 림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Bottle Cage : 프레임에 물병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품.
Bottom Bracket : 줄여서 BB라 부르고, 크랭크암+체인링 이 Bottom Bracket shell 내에서 돌도록 해주는 부품으로 베어링의 조합체 와 스핀들로 구성되어있다.
Bottom Bracket shell : BB가 설치돼는 부분을 말한다.
Brake : 자전거가 정지할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장치.
Brake lever : 자전거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하는 손잡이.
Brake shoe : 림과 집적 닿아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부품, 주로 고무재질이다.
Brake Booster : 말발굽과 비슷한 형태로 만들어지며, 컨틸레버 브레이크나 V브레이크의 강한 브레이킹 시 프레임이나 포크의 변형을 방지해 주는 부품.
Braze on : 물통게이지, 브레이크와 쉬프트 케이블 가이드 등의 것들을 프레임에 용접해 놓은것.
Cable End(cap) :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부품으로 브레이크나 쉬프트 케이블 끝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부품이다.
Cable Guide : 프레임에 설치된 브레이크나 쉬프트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부분.
Cable Housing : 브레이크 케이블이나, 쉬프트 케이블을 감싸주는 유연성 있는 파이프 (브레이크 케이블이 쉬프트 케이블보다 조금 더 두껍고 케이블 하우징 역시 브레이크 케이블 하우징이 조금 더 두껍다. 각각의 내부구성도 다르다.)
Cage : 앞 딜레일러 의 변속 시 체인을 밀어주는 평행한 양쪽부분, 뒷 딜레일러는 풀리 가 있는 양쪽 부분을 말한다.
Cassette Sprocket : 프리허브에 설치되는 코그(cog)들의 집합체.
Chain : 체인링의 동력을 뒷바퀴의 코그로 전달해주는 부품.
Chainring : Chain wheel와 같은 의미, 크랭크암 에 설치되는 2개 또는 3개의 톱니바퀴.
Chainstays : 프레임의 BB부분에서 뒷바퀴 부분으로 이어진 파이프.
Crankarm : BB의 스핀들과 연결되어 페달을 연결하는 부분.
Crankarm Bolt : 크랭크암 을 BB의 스핀들과 연결하는 나사.
Crankset : BB, 2개의 크랭크암, 체인링.
Derailleur : 두개의 딜레일러가 있으며 앞은 Front 뒤는 Rear
Drivetrain : 딜레일러, 체인, 프리휠, 크랭크셋.
Dropout : 바퀴가 설치되는 서스펜션의 끝부분.
Dropout Hanger : 뒷 딜레일러 를 설치하는 부분.
Dustcap : 허브의 베어링 부분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바깥 부분을 구성하는 부품. 페달이나 크랭크셋 의 나사부분에 끼워지는 커버.
End plugs : 핸들바 의 끝부분에 끼우는 뚜껑.
Fixed Cup : 오른쪽의 BB를 고정시키는 컵.
Flange : 허브의 스포크 가 끼워지는 부분.
Grips : 손의 미끄러짐이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핸들 바 끝부분에 끼워 라이딩 시 손으로 잡는 부분.
Handelbar :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재질 또한 여러 가지로 만들어 진다.자전거의 진향 방향을 조종한다.
Headset : 헤드 튜브 내에 설치되는 베어링 조합체로 스티어 튜브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한다.
Head Tube: 거의 수직의 상태로 자리 잡게 되며, 서스펜션과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짧은 파이프.
Housing : 쉬프트나 브레이크 케이블을 감싸는 파이프.
Hub : 휠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며, 스포크에 의해 림과 연결된다.(회전축을 포함하고 2개 또는 그이상의 베어링을 포함)
첫댓글네이버 자출사카페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 에서 퍼왔습니다. 물론 무단으로 퍼왔구요... 위 카페에 가입하시면 읽을 거리가 무진장 많은데, 관심있으신 분들은 가입하셔서 일견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초보자 위주로 읽을 거리들을 골라서 조금씩 퍼오도록 하겠습니다.
첫댓글 네이버 자출사카페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사람들) 에서 퍼왔습니다. 물론 무단으로 퍼왔구요... 위 카페에 가입하시면 읽을 거리가 무진장 많은데, 관심있으신 분들은 가입하셔서 일견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초보자 위주로 읽을 거리들을 골라서 조금씩 퍼오도록 하겠습니다.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고맙습니다
자전거에대한 초보상식이래요.., 혹필요할까봐 다른싸이트에서 퍼서 올림니다. 올여름도 건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