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81 |
比 |
견줄 비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두 사람이 앞을 향하여 양손을 들어올리고 나란히 서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나란히 하다/견주다/비교하다’의 뜻으로 쓰인다.
[예자(例字)] ①比較(비교) ②比率(비율) *批(비평할 비) *琵(비파 비)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82 |
毛 |
털 모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짐승의 꼬리털 모양’을 본뜬 글자로 ‘털/털로 만든 물건’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자(例字)] ①毛孔(모공) ②毛皮(모피) *毫(터럭 호) *尾(꼬리 미)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83 |
氏 |
성씨 씨 (뿌리 씨)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손잡이가 달린 조그마한 칼 모양’을 본뜬 상형문자로, ‘씨족(氏族)/사람의 성(姓)/성씨’라는 뜻을 나타낸다. *고대 중국에서는 조상 신(神)에게 제사를 지낸 후에 잔치를 하면서 씨족끼리의 유대를 강화할 때, 이 작은 칼(氏)로 제사에 사용한 고기를 잘라 나누어 먹음으로써 이 칼이 씨족의 상징이 되었다고 한다.
[예자(例字)] ①氏族(씨족) ②氏名(씨명) *底(밑 저) *昏(어두울 혼)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84 |
气 |
구름기운 기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수증기/하늘의 구름 모양’을 본뜬 글자로 ‘구름/수증기/공기/기운’의 뜻을 나타내나,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고대 중국에서는, 하늘의 여러 가지 구름 모양과 구름의 이동도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힘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였다고 한다.
[예자(例字)] *氣(기운 기) *汽(물끓는김 기)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85 |
水 |
물 수 (氵,氺=水)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끊임없이 흐르는 물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물/강/시내’ 라는 뜻이나, 다른 글자와 조합해 사용할 때는 ‘氵’ 또는 ‘氺’로도 모양이 바뀐다.
[예자(例字)] ①水道(수도) ②水面(수면) ③水魚之交(수어지교 : 물과 물고기처럼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한 사이) *泉(샘 천) *尿(오줌 뇨) *浴(목욕할 욕) *暴(사나울 폭)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86 |
火 |
불 화 (灬=火)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갑골문자에서는 ‘활활 타오르는 모닥불의 화염 전체 모양’을 본떠서, ‘불/불타다/불사르다/불똥이 튄다/불과 관련된 상태/불타는 것처럼 급하다’는 뜻의 글자이며, 다른 한자의 아래쪽에서는 ‘灬’로 모양이 바뀐다. *‘鳥(새 조)’와 ‘馬(말 마)’는 상형문자로 ‘火(불 화)’와는 관련이 없음.
[예자(例字)] ①火焰(화염) ②火急(화급) ③火葬(화장) *炎(불꽃 염) *燃(불탈 연) *熱(뜨거울 열)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87 |
爪 |
손톱 조 (爫=爪)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어떤 물건을 움켜쥐고 있는 ‘손 모양’을 본뜬 글자로 ‘손/손톱/손과 관련된 동작’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자(例字)] ①爪傷(조상=손톱으로 할퀸 상처) ②爪痕(조흔=손톱의 흔적) *爭(다툴 쟁) *爬(긁을 파) *印(도장 인)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88 |
父 |
아비 부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손(又)에 회초리(丿), 또는 도끼를 들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아버지/어르신/노인’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자(例字)] ①父母(부모) ②父父子子(부부자자) ③父傳子傳(부전자전) *斧(도끼 부) *釜(가마 부) *爺(아비 야)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89 |
爻 |
점괘 효 (본받을 효)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손(又)’에 ‘산가지(X)’를 들고 있는 모양에서 ‘점칠 때에 사용하는 서로 교차된 산가지’라는 뜻에서, ‘수효/엇걸다/사귀다/점괘’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자(例字)] ①爻像(효상=좋지 못한 몰골이나 광경) *爽(시원할 상)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90 |
爿 |
조각널 장 (장수장 변)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통나무를 둘로 쪼갠 것 중의 왼쪽 부분’을 본뜬 글자로 ‘나무판/테이블과 관련된 것’이라는 뜻을 나타내나,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예자(例字)] *壯(장할 장) *將(장수 장)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91 |
片 |
조각 편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통나무를 세로로 쪼갠 것 중의 오른쪽 부분’을 본뜬 글자로 ‘평평한 널판’이라는 뜻을 나타내나,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예자(例字)] ①斷片(단편) ②破片(파편) *版(조각 판) *牌(패 패) *牒(편지 첩)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92 |
牙 |
어금니 아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입안의 위․아래의 어금니가 서로 맞물린 모양’을 본뜬 글자로, ‘어금니’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자(例字)] ①象牙(상아) ②齒牙(치아) ③牙城(아성 : 대장이 지키고 있는 성) *邪(간사할 사) *雅(맑을 아)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93 |
牛 |
소 우 (牜=牛)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뿔이 난 소 머리’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본뜬 글자로 ‘소/소와 관련된 것’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다른 글자의 왼쪽에 올 때는 모양이 약간 바뀐다.
[예자(例字)] ①牛乳(우유) ②韓牛(한우) ③牛耳讀經(우이독경) *物(물건 물) *牧(기를 목) *特(특별할 특) *犧(희생 희)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94 |
犬 |
개 견 (犭=개사슴록변)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늠름한 사냥개 모양’을 본뜬 글자로, 주로 ‘개/짐승/사나운 짐승과 관련된 상태’를 나타내며, 다른 글자의 왼쪽에 올 때는 ‘犭’으로 모양이 변한다.
[예자(例字)] ①犬猿之間(견원지간) ②忠犬(충견) ③愛犬(애견) *狂犬病(광견병) *獸(짐승 수) *獄(감옥 옥) *犯(범할 범)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95 |
玄 |
검을 현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작은 물건(幺)이 뭔가에 덮여져 있는 모양’을 본떠서 ‘검다/아득하다/가물거리다’는 뜻을 나타낸다.
[예자(例字)] ①玄米(현미) ②玄海灘(현해탄) *絃(줄 현)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96 |
玉 |
구슬 옥 (王=구슬옥변)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구슬 세(三) 개를 꿴 모양’을 본뜬 글자로 ‘옥(玉)의 종류/옥(玉)의 모양/옥(玉)과 관련된 것’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다른 한자(漢字)의 왼쪽이나 위쪽에 사용할 때는 ‘丶’이 없어지고 ‘王’으로 모양이 바뀌지만, ‘임금(王)’으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
[예자(例字)] ①玉童子(옥동자) ②玉體(옥체) ③碧玉(벽옥) ④紅玉(홍옥) ⑤珠玉(주옥) *班(나눌 반) *現(나타날 현) *弄(희롱할 롱) *珏(쌍옥 각)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97 |
瓜 |
오이 과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덩굴에 매달린 오이 모양’을 본뜬 글자로 ‘오이/넝쿨식물의 열매’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자(例字)] ①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 오이 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지 말라) *孤(외로울 고) *狐(여우 호) *弧(활 호)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98 |
瓦 |
기와 와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진흙으로 만든 기와’를 본뜬 모양의 글자로 ‘도자기의 종류/토기/기와/실패’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자(例字)] ①瓦解(와해) ②瓦釜雷鳴(와부뇌명:옹기솥이 큰소리를 낸다=무식한 사람이 잘난 척하다/어리석은 사람이 높은 자리에 앉아 큰소리친다) *甁(병/단지 병) *甕(질그릇 옹)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99 |
甘 |
달 감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단맛을 보는 입안의 혀끝’ 모양을 본뜬 글자로, 혀끝으로 맛을 보고 ‘맛이 달다/달콤하다/맛이 좋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예자(例字)] ①甘味료(감미료) ②甘言利說(감언이설) *柑橘(감귤) *蜜柑(밀감) *甚(심할 심)
순번 |
부수(部首) |
부수 명칭 |
발달 과정 |
100 |
生 |
날 생 |
|
[획순(劃順) 쓰기]
[자해(字解)] ‘땅(土)’과 ‘싹(千)’을 조합한 글자로, ‘싹이 땅에서 힘차게 솟아오르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살아가다/싱싱하다/(사물이)생기다/(사물이)태어나다’는 뜻을 나타낸다.
[예자(例字)] ①生物(생물) ②生老病死(생로병사) ③生鮮(생선) ④生水(생수) ⑤生動感(생동감) ⑥生活(생활) *甥(생질/조카 생) *牲(희생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