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판사판의유래 |
|
---|
이판(理判)은 수도하는 스님을 말하고, 사판(事判)은 절에서 살림을 맡아하는 스님을 말한다.
그러나 이 두 단어가 합쳐지면 뜻이 전혀 달라진다.
뾰족한 방법이 없어 막다른 상황에 이르렀을때 쓰이는 말이다.
이 말이 생겨난 배경에 관해서 두가지 설이 있다.
1. 첫번째 배경
이판승과 사판승이 생긴 배경은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에는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제하는 정책을 폈다. 이 때 승려들은 두 가지 방향에서 활로를 모색하게 되었다. 사찰을 존속시키는 것과 함께, 불법(佛法)의 맥을 잇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
그래서 일부 승려들은 절을 살리기 위하여 온갖 고난을 이겨내고,절을 지키는데 모든 노력을 바쳤다.
그런 이들이 바로 사판승이고, 별칭으로는 살림승이었다.
또 어떤 승려들은 이와는 달리 속세를 피해 은둔하면서 참선과 독경으로 불법(佛法)을 이어온 승려들도 있었다.
이들이 이판승이고, 별칭 공부승이라고도 했다.
모두 특징이 있었지만, 약점도 있었다.
공부만 하던 스님은 불교의 외형적 발전에 기여를 못했고, 살림만 하던 스님은 공부를 못했으니 교리에 어두웠다.
그런데 해방 후 비구승과 대처승의 다툼이 있었을 때 각기 서로를 이판승, 사판승에 비유해 상대를 비판했던 적도 있었다.
사실 조선 5백년 동안 불교가 살아남은 것은 두 승려집단의 공이었지만 이들이 추구하는 것이 달라 다툼은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이판&사판을 다 시도했지만, 묘안이 없어 자포자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야말로 '이판사판', '자포자기'가 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이것이 그 첫번째 유래중 하나다.
2. 두번째 배경
어느 고을에 조상 대대로 높은 벼슬을 지낸 이름난 양반이 살았다. 이 양반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어느날 두 아들이 양반에게 찾아와 머리를 조아리고 중이 되겠다고 하였다.
"아버님, 누구도 저희 결심을 꺾을 수는 없습니다. 부디 허락해 주십시요, 오늘 당장 절로 들어가 형님은 도를 닦고 불교의 경전을 공부하는 이판이 될 것이고, 저는 절의 살림을 꾸리는 사판이 될것입니다."
양반은 이게 웬 날벼락인가 싶었다. 조선시대의 스님은 아주 천한 취급을 받았기 때문에, 두 아들이 이판이되건 사판이되건 집안은 그야말로 끝장이 나기 때문이었다. 양반은 자신과 집안을 막다른 궁지에 몰리게 한 두 아들이 너무나 원망스러웠다.
이리하여 '이판사판'은 궁지에 몰려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는 상황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고 한다.
출처 : [직접 서술] 직접 서술
첫댓글 아 ~~ 예 잘들어 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