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단로 스위치
#회로도 단로 스위치의 회로도 설명은 생략해도 될 것 같습니다. 이미 여러 군데서 자연스럽게 설명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나) 3로 스위치
#회로도 : 머리속에 다음 상황을 그려보자. 대학교 강의실 복도의 출입문이 왼쪽(S/W1)과 오른쪽에 (S/W2)가 있고, 복도에 형광등이 있다. 학생 한 명이 왼쪽으로 들어 오면서 S/W1 을 눌러 형광등을 켠 뒤, 오른쪽으로 나가면서 S/W2를 눌러 형광등을 끄는 것이다.
(가) 3로 S/W의 원리
3로 S/W는 공통(Com)과 접점 2개 (A1,B1)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전기가 공통을 통해 A1이나 B1 어느 한곳으로 흐르는 구조이다. (나) 동작 ■차단기를 올리면 N상은 곧바로 램프에 투입 된다. R상은 3로 S/W1 의 공통과 A1, 그리고 S/W2의 A2까지 밖에 흐르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형광등이 켜지 않는다. ■이제 학생이 왼쪽 출입문으로 들어와 S/W1 를 누르면? 접점이 A1 → B1 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기는 공통에서 S/W1의 B1과, S/W2의 B2로 연결되어 형광등이 켜지게 된다. ■오른쪽의 출입문으로 나가면서 S/W2를 누르면? 접점이 B2 → A2로 이동하 면서 전기가 끊기게 되므로 형광등이 꺼지게 된다.
#실제 결선 모습 #준비물 : 누전차단기, 3로스위치 2개, 할로겐셋트
#회로도의 (R)상이 (1)번 스위치의 공통으로 갔죠? 바로 (가)의 청색입니다. #회로도의 (N)상이 (마)입니다. 할로겐 안정기로 바로 갔군요. #회로도의 (1)번 스위치의 공통을 지나 나온 2가닥이 (2)번 스위치와 연결됐죠? (나)와 (다)연결된 검은색 2가닥입니다. 우리가 흔히 연락선이라고 부르죠. #회로도의 (2)번 스위치의 공통에서 할로겐의 다른 코일로 갔죠? (라0의 노란선입니다.
#3로 스위치의 구조 살펴 보기
#(가) 부분이 공통입니다. 구멍이 2개죠? 똑같아요 2가닥을 꽂을 수 있답니다. #(가)의 공통은 (나)와 (다)로 연결됩니다. 위의 회로도에 보았듯이 말입니다. 회로도의 점선이 (나), 적색의 실선이 (다)입니다. #현재 테스터기를 보세요. 바늘이 움직였죠? 현재는 (가)와 (나)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결론은, 공통(가)에까지 온 전류는 스위치를 켬에 따라 (나)로도 흐르고 (다)로도 흐를 수가 있는 것이죠.
#스위치를 끈 상태입니다. 테스터기의 바늘이 죽어 있죠. 그럼?
#그렇습니다. 위에 꽂혀 있던 노란선을 밑으로 옮겼습니다. 스위치를 켜기 전에는 죽어 있답니다.
#그러다 스위치는 켜니까 바늘이 움직입니다. 반대로 위의 구멍은 죽어 있겠죠.
|
출처: 포시즌365 (이제는! 자연이주는 에너지... 원문보기 글쓴이: 포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