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103]
(소) 발 |
자원(字源) : {象形字} 무릎 아래의 다리를 본뜬 글자로, 위 부분은 '장딴지'와 '무릎' 부분이고, 아래는 '발바닥을 본뜸. 글자 본래의 의미는 '발 족(足)'의 뜻으로 '소' 발음을 지닌 글자인데, '匹(필)'과 통용되기 때문에 부수자로는 '짝 필'로 통용되지만 부적절한 명칭임. 또한 글자의 변{왼쪽 부분}에 사용될 때는 부수의 변형이 일어남. 부수의 활용은 보통 '발'이나 '걷는다' 등의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2자 7) 疏 (소) 성기다,뚫리다,상소 : 疏遠, 疏外, 上疏 |
9) 疑 (의) 의심하다 : 疑心, 懷疑 |
5-10,[104]
(녁) 병들어 눕다 |
자원 : {象形字}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어떤 물건에 몸을 기대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의미는 '병들어 기대다.'이고 발음은 '녁'임. {會意字} 사람과 침상 같은 것의 결합으로, 사람이 누워있는 모양을 표현해서 병이 걸려 앓고 있음을 의미함. 부수의 활용은 '병', '상처' 등이나 그로 인한 상태나 감각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6자 4) 疫 (역)돌림병,염병:疫疾,防疫,免疫 5) 疲 (피)피곤하다,고단하다 : 疲勞, 疲困 5) 疾 (질) 병,괴롭다,빠르다: 疾病,疾走 |
5) 病 (병) 병,흠 : 病患, 病魔, 疾病 5) 症 (증) 병증세 : 渴症, 厭症, 炎症 7) 痛 (통) 아프다,몹시,슬프다 : 嗚呼痛哉, 痛症 |
5-11,[105]
(발) 걷다 |
자원 : {象形字} 사람이 두 다리를 뻗친 모양을 본뜬 글자로, '걷다'의 의미에 '발'이라는 발음을 지녔는데, '發{필 발}'의 머리 부분이라서 통칭 " 필발머리 "라고 불리지만 부적절한 명칭임. 부수의 활용은 '발'의 동작이나 상태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4) 癸 (계) 열째천간,북방: 癸酉年,癸方 7) 登 (등) 오르다,나가다 : 登山, 登校 |
7) 發 (발) 피다,쏘다,펴내다,드러나다 : 發達, 發送, 百發百中 |
5-12,[106]
(백) 희다 |
자원 : {象形字} 갑골문(甲骨文)에서는 촛불의 심지가 타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아 '밝다'는 의미로 출발해 '희다'는 의미로 확장된 것으로 봄. 이 밖에 해{日}가 아침에 떠오르는 모양으로 보는 경우나 해골(骸骨)의 모양을 본뜬 것, 도토리의 모양을 본뜬 경우 등이 있는데, 모두 '희다'는 의미는 동일함. {會意字,指事字} '入'과 '二'를 합한 글자로, 두 글자가 모두 '陰氣(음기)'에 방향도 '서쪽'을 나타내기 때문에, 저녁 해질 무렵 어슴푸레한 사물의 색깔이 '희다'는 데서 의미를 도출해 냄. 해의 모양에 빛을 의미하는 점을 더해 해의 밝은 빛인 희다는 의미로 봄. 부수의 활용은 주로 '희다', '밝다' 등의 의미로 활용되고, 소리부호[音符]로 활용되기도 함 [ 예) 魄(백)넋, 栢(백)잣나무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5자 0) 白 (백) 희다,밝다,아뢰다: 白衣從軍, 白髮, 白眉 1) 百 (백)일백,온:百年河淸,百尺竿頭 |
3) 的 (적) 과녁, 접미사 : 的中, 目的, 標的 4) 皇 (황) 임금,크다 : 三皇五帝, 皇帝 4) 皆 (개) 다 : 悉皆, 皆勤, 擧皆 |
5-13,[107]
(피) 가죽 |
자원 : {象形字} 손[又]으로 짐승의 가죽을 벗기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가죽'이나 '가죽을 벗기다' 등의 의미로 사용됨. 일반적으로 같은 '가죽'의 의미를 지닌 '革(혁)'은 이미 벗겨낸 후의 가죽으로 가공된 상태의 가죽이고, '皮'는 벗겨내기 전의 가죽을 의미해 가공 전의 가죽 상태를 의미해 '피부'나 그 상태 등의 의미로 쓰임. {會意字} 안쪽의 '又'는 손을 의미하고, 바깥쪽은 가죽을 의미해 '손으로 가죽을 벗기다.'는 의미를 지닌 '가죽'으로 보는 경우도 있음. 부수의 활용은 주로 '피부'나 '가죽' 등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되고, 소리부호[音符]로도 쓰임. [ 예) 彼(피)저, 被(피)입다 등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0) 皮 (피) 가죽,껍질 : 皮革, 皮骨相接 |
5-14,[108]
(명) 그릇 |
자원 : {象形字} 물건을 담는 그릇 모양을 본뜬 글자로, 위는 음식을 담는 부분이고, 가운데는 그릇의 몸, 아래는 그릇의 바닥을 나타내, '그릇'이나 '쟁반' 등의 의미로 쓰임. 부수의 활용도 역시 '그릇'이나 '그릇에 담는 것' 등의 의미로 활용되고, 부수의 위치는 항상 글자의 발{아래 부분}에 위치함. * '血(혈)'은 그릇에 담긴 제사에 쓰는 희생물의 피를 의미하는 '혈액'의 뜻으로 사용되는 별도의 부수자임. |
기초 한자 - 1800자 중 7자 5) 益 (익) 더하다,이롭다,이익 : 損益, 多多益善, 老益壯 7) 盛 (성)성하다,많다: 興亡盛衰,盛況 7) 盜 (도)도둑,훔치다:强盜,竊盜,盜聽 8) 盟 (맹) 맹세하다,맹세 : 盟約, 盟邦 |
9) 盡 (진) 다하다:盡人事待天命,盡心 9) 監 (감) 보다,감옥,거울삼다 : 監査, 監督, 監獄 10) 盤 (반) 쟁반,바탕,돌다: 盤石,盤旋, 杯盤狼藉 |
5-15,[109]
(목) 눈
|
자원 : {象形字} 사람의 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본래 가로로 표현하다가 후대에 와서 세로로 사용함. 부수의 활용은 '눈'과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 '보는 것' 등의 의미로 활용됨. * '見(견)'은 '보는 행위' 자체를 의미하는 별도의 부수자임. * '目'이 간혹 가로로 사용되는 경우{기초 한자에는 없음}가 있는데, 이 때 그물망 부수와 모양이 같게 보여 구별해야 함. { 예) '눈목'부수 - 睾(고)불알,넓다 / '그물망'부수 - 罪(죄)죄, 置(치)두다, 羅(라)비단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4자 0) 目 (목)눈,조목,요점 : 目不識丁, 目不忍見, 目標 3) 直 (직)곧다,바르다:直言,直感,宿直 3) 盲 (맹) 장님,무지하다,어둡다 : 盲人, 盲從, 文盲 4) 相 (상) 서로,보다,돕다,모습,정승 : 相扶相助, 首相 4) 省 (성) 살피다,보다 : 省察, 省墓 (생) 덜다,생략하다 : 省略 4) 眉 (미) 눈썹 : 白眉, 眉間, 兩眉 4) 看 (간) 보다,지키다 : 走馬看山, 看做, 看護 |
5) 眠 (면) 자다,쉬다 : 冬眠,安眠,睡眠 5) 眞 (진) 참,진실로,사진 : 眞價, 寫眞, 眞相 6) 眼 (안) 눈,고동 : 眼下無人, 千里眼 8) 睡 (수) 졸다,자다 : 睡眠,午睡,昏睡 8) 睦 (목) 화목하다,친하다: 親睦,和睦 8) 督 (독) 감독하다,거느리다,재촉하다 : 督勵, 監督 12) 瞬 (순) 눈깜짝이다 : 瞬息間,瞬間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4) 盾 (순) 방패 : 矛盾 |
5-16,[110]
(모) 창 |
자원 : {象形字} 고대 전차{병거(兵車)}에 꽂아 세워놓은 장식이 달리고 자루가 긴 모양의 창을 본뜬 글자. 일반적으로 '矛'는 찌르는 용도로 만든 창이고, '戈(과)'는 치거나 낚아채는 용도로 만든 창인데, '戈'는 별도의 부수자임. 부수의 활용은 주로 '창'과 관련된 의미를 지니지만, 속한 한자가 별로 없음. |
기초 한자 - 1800자 중 해당한자 없음.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 0) 矛 (모) 창 : 矛盾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