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甲 |
비견 |
겁재 |
편인 |
정인 |
편관 |
정관 |
편재 |
정재 |
식신 |
상관 |
乙 |
겁재 |
비견 |
정인 |
편인 |
정관 |
편관 |
정재 |
편재 |
상관 |
식신 |
丙 |
식신 |
상관 |
비견 |
겁재 |
편인 |
정인 |
편관 |
정관 |
편재 |
정재 |
丁 |
상관 |
식신 |
겁재 |
비견 |
정인 |
편인 |
정관 |
편관 |
정재 |
편재 |
戊 |
편재 |
정재 |
식신 |
상관 |
비견 |
겁재 |
편인 |
정인 |
편관 |
정관 |
己 |
정재 |
편재 |
상관 |
식신 |
겁재 |
비견 |
정인 |
편인 |
정관 |
편관 |
庚 |
편관 |
정관 |
편재 |
정재 |
식신 |
상관 |
비견 |
겁재 |
편인 |
정인 |
辛 |
정관 |
편관 |
정재 |
편재 |
상관 |
식신 |
겁재 |
비견 |
정인 |
편인 |
壬 |
편인 |
정인 |
편관 |
정관 |
편재 |
정재 |
식신 |
상관 |
비견 |
겁재 |
癸 |
정인 |
편인 |
정관 |
편관 |
정재 |
편재 |
상관 |
식신 |
겁재 |
비견 |
<천간 상호간 십성구분>
구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子 |
정인 |
편인 |
정관 |
편관 |
정재 |
편재 |
상관 |
식신 |
겁재 |
비견 |
丑 |
정재 |
편재 |
상관 |
식신 |
겁재 |
비건 |
정인 |
편인 |
정관 |
편관 |
寅 |
비견 |
겁재 |
편인 |
정인 |
편관 |
정관 |
편재 |
정재 |
식신 |
상관 |
卯 |
겁재 |
비견 |
정인 |
편인 |
정관 |
편관 |
정재 |
편재 |
상관 |
식신 |
辰 |
편재 |
정재 |
식신 |
상관 |
비견 |
겁재 |
편인 |
정인 |
편관 |
정관 |
巳 |
식신 |
상관 |
비견 |
겁재 |
편인 |
정인 |
편관 |
정관 |
편재 |
정재 |
午 |
상관 |
식신 |
겁재 |
비견 |
정인 |
편인 |
정관 |
편관 |
정재 |
편재 |
未 |
정재 |
편재 |
상관 |
식신 |
겁재 |
비견 |
정인 |
편인 |
정관 |
편관 |
申 |
편관 |
정관 |
편재 |
정재 |
식신 |
상관 |
비견 |
겁재 |
편인 |
정인 |
酉 |
정관 |
편관 |
정재 |
편재 |
상관 |
식신 |
겁재 |
비견 |
정인 |
편인 |
戌 |
편재 |
정재 |
식신 |
상관 |
비견 |
겁재 |
편인 |
정인 |
편관 |
정관 |
亥 |
편인 |
정인 |
편관 |
정관 |
편재 |
정재 |
식신 |
상관 |
비견 |
겁재 |
<천간대비 지지의 십성구분>
표로서 거창하게 정리하다보니 외울 것도 많고 어려워 보이기도 하지만 앞서 학습하였던 음양(陰陽)과 오행(五行)
에 충실하여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나머지 일곱 글자를 구분하는 작업이니 사실 그리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명식 작성법에서 일간(日干)을 나타내는 글자 즉, 나를 기준으로 천간(天干)의 음양오행(陰陽五行)
지지(地支)의 음양오행(陰陽五行)을 구분하는 작업인데 하나씩 가 보도록 합시다.
① 십성(十星)의 종류
십성(十星)의 종류에는 비견(比肩). 겁재(劫財). 식신(食神). 상관(傷官). 정재(正財). 편재(偏財).
정관(正官). 편관(偏官). 정인(正印). 편인(偏印).열 가지가 있습니다.
구분은 일간(日干) 즉 나를 기준으로 나머지 글자를 판별하는 것입니다.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肩 劫 |
食 傷 |
財 星 |
官 星 |
印 星 | |||||
일 간 기 준 |
五行이같 고 陰陽이 같으면 |
五行이같 고 陰陽이 다르면 |
일간이 生하고 陰陽이 같으면 |
일간이生하고 陰陽이 다르면 |
일간이 剋하고 陰陽이 같으면 |
일간이剋하고 陰陽이 다르면 |
일간을 剋하고 陰陽이 같으면 |
일간을剋하고 陰陽이 다르면 |
일간을生하고 陰陽이 같으면 |
일간을生하고 陰陽이 다르면 |
판 단 |
比肩 |
劫財 |
食神 |
傷官 |
偏財 |
正財 |
偏官 |
正官 |
偏印 |
正印 |
<십성(十星)의 종류>
일간(日干)과 오행(五行)이 같고 음양(陰陽)이 같으면 比肩(비견)이라 하고,
오행(五行)이 같고 음양(陰陽)이 틀리면 겁재(劫財)라 부릅니다.
일간과 같은 동기(同氣)간의 오행이며 比肩(비견)과 劫財(겁재)를 합쳐서 비겁(比劫)이라 총칭하게 됩니다.
일간(日干)이 생(生)해 주고 음양(陰陽)이 같으면 식신(食神)이라 하고,
일간(日干)이 생(生)해 주고 음양(陰陽)이 다르면 상관(傷官)이라 부릅니다.
즉, 일간(日干)이 생(生)하는 글자들을 나타내며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을 합쳐서 식상(食傷)이라 총칭합니다.
일간(日干)이 극(剋)하고 음양(陰陽)이 같으면 편재(偏財)이라 하고,
일간(日干)이 극(剋)하고 음양(陰陽)이 틀리면 정재(正財)라 부릅니다.
즉, 일간(日干)이 극(剋)하는 글자들을 나타내며 偏財(편재)와 正財(정재)를 합쳐서 재성(財星)이라 총칭합니다.
일간(日干)을 극(剋)하고 음양(陰陽)이 같으면 편관(偏官)이라 하고,
일간(日干)을 극(剋)하고 음양(陰陽)이 다르면 正官(정관)이라 부릅니다.
즉, 일간(日干)을 극하는 글자들을 나타내며 편관(偏官)과 정관(正官)을 합쳐서 관성(官星)이라 총칭합니다.
일간(日干)을 생(生)하고 음양(陰陽)이 같으면 편인(偏印)이고,
일간(日干)을 생(生)하고 음양(陰陽)이 다르면 정인(正印)이라 부릅니다.
즉, 일간(日干)을 생(生)하는 글자들을 나타내며 편인(偏印)과 정인(正印)을 합쳐서 인성(印星)이라 총칭합니다.
정리해 보면 일간과 같은 오행을 비겁(比劫)이라 부르는데
그 중에서도 일간과 음양이 같으면 비견, 다르면 겁재로 구분이 되는 것입니다.
나머지도 이와 같이 구분하면 되는데 자세한 구분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갑목(甲木)의 경우를 가지고 십성(十星)이 어떻게 분류가 되는지 살펴보도록 합니다.
a. 나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으면 비견(比肩)
갑목(甲木)에게 오행(五行)이 같은 것은
천간(天干)에서 갑목(甲木)과 을목(乙木), 지지(地支)에서는 인목(寅木)과 묘목(卯木)이 있습니다.
(五行의 성질이 木) 따라서 甲木의 比肩이 될 수 있는 후보들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甲木 |
乙木 |
寅木 |
卯木 |
<甲木의 比肩후보>
다음은,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갑목(甲木), 을목(乙木), 인목(寅木), 묘목(卯木)의 음양(陰陽)을 구분하여 비견(比肩)을 판별해 보도록 합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甲木 |
乙木 |
寅木 |
卯木 |
판 별 |
陽木 |
陰木 |
陽木 |
陰木 |
<甲木의 比肩>
위 후보자중 위에서 말한 비견(比肩)에 해당하는 글자는
일간(日干) 갑목(甲木)과 음양(陰陽)이 같은 갑목(甲木)과 인목(寅木)이 비견(比肩)에 해당합니다.
b. 나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틀리면 겁재(劫財)
마찬가지로, 갑목(甲木)에게 오행(五行)이 같은 것은
천간(天干)에서 갑목(甲木)과 을목(乙木) 지지(地支)에서는 인목(寅木)과 묘목(卯木)이 있습니다.
갑목(甲木)의 겁재(劫財)가 될 수 있는 후보들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甲木 |
乙木 |
寅木 |
卯木 |
<甲木의 劫財후보>
다음은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갑목(甲木), 을목(乙木), 인목(寅木), 묘목(卯木)의 음양(陰陽)을 구분하여 겁재(劫財)를 판별해 보도록 합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甲木 |
乙木 |
寅木 |
卯木 |
五 行 |
陽木 |
陰木 |
陽木 |
陰木 |
<甲木의 劫財>
갑을인묘(甲乙寅卯)목의 후보자중
일간 갑목(甲木)과 음양(陰陽)이 틀린 을목(乙木)과 묘목(卯木)이 겁재(劫財)에 해당합니다.
c. 내가 생(生) 해주고 음양이 같으면 식신(食神)
갑목(甲木)이 生해 주는 오행(五行)은 火가 됩니다. 혹시 목생화(木生火)이것을 잊어버리신 것은 아니겠지요??
따라서 화(火)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오행(五行)이 식신(食神)의 후보자가 됩니다.
갑목(甲木)의 식신(食神)이 될 수 있는 후보들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丙火 |
丁火 |
巳火 |
午火 |
<甲木의 食神후보>
다음은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병화(丙火), 정화(丁火), 사화(巳火), 오화(午火)의 음양(陰陽)을 구분하여 식신(食神)을 판별해 보도록 합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丙火 |
丁火 |
巳火 |
午火 |
五 行 |
陽火 |
陰火 |
陽火 |
陰火 |
<甲木의 食神>
위의 후보자중 일간 갑목(甲木)과 음양(陰陽)이 같은 것은
병화(丙火)와 사화(巳火)이므로 이들이 식신(食神)이 됩니다.
d. 내가 생(生)해 주고 음양이 다르면 상관(傷官)
갑목(甲木)의 상관(傷官)이 될 수 있는 후보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丙火 |
丁火 |
巳火 |
午火 |
<甲木의 傷官후보>
다음은,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병화(丙火), 정화(丁火), 사화(巳火), 오화(午火)의 음양(陰陽)을 구분하여 상관(傷官)을 판별해 보도록 합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丙火 |
丁火 |
巳火 |
午火 |
五 行 |
陽火 |
陰火 |
陽火 |
陰火 |
<표 6-11> 甲木의 傷官후보
위의 후보자중 일간 갑목(甲木)과 음양(陰陽)이 다른 것은
정화(丁火)와 오화(午火)이므로 이들이 상관(傷官)이 됩니다.
e. 나를 극(剋)하고 음양이 같으면 편관(偏官)
갑목(甲木)을 극(剋)하는 오행(五行)은
금(金)이므로 금(金)에 해당하는 오행(五行)이 편관(偏官)의 후보가 됩니다.
갑목(甲木)의 편관(偏官)이 될 수 있는 후보들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庚金 |
辛金 |
申金 |
酉金 |
<甲木의 偏官후보>
다음은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경금(庚金), 신금(辛金), 신금(申金), 유금(酉金)의 음양(陰陽)을 구분하여 편관(偏官)을 판별해 보도록 합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庚金 |
辛金 |
申金 |
酉金 |
五 行 |
陽金 |
陰金 |
陽金 |
陰金 |
<甲木의 偏官>
일간 갑목(甲木)과 음양(陰陽)이 같아야 편관(偏官)이 되므로
경금(庚金), 신금(申金)이 편관(偏官)에 해당됩니다.
f. 나를 극(剋)하고 음양이 틀리면 정관(正官)
갑목(甲木)의 정관(正官)이 될 수 있는 후보들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庚金 |
辛金 |
申金 |
酉金 |
<甲木의 正官후보>
다음은,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경금(庚金), 신금(辛金), 신금(申金), 유금(酉金)의 음양(陰陽)을 구분하여 정관(正官)을 판별해 보도록 합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庚金 |
辛金 |
申金 |
酉金 |
五 行 |
陽金 |
陰金 |
陽金 |
陰金 |
<표 6-15> 甲木의 正官후보
일간 갑목(甲木)에게 편관(偏官)이 되는 후보자들을 제외한 신금(辛金), 유금(酉金)이 정관(正官)에 해당합니다.
g. 내가 극(剋)하고 음양이 같으면 편재(偏財)
갑목(甲木)이 극(剋)하는 오행(五行)은
목극토(木剋土) 이므로 토(土)에 해당되는 오행(五行)이 재성(財星)의 후보에 오를 수 있습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戊土 |
己土 |
辰土, 戌土 |
丑土, 未土 |
<甲木의 偏財후보>
다음은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무토(戊土), 기토(己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축토(丑土), 미토(未土)의 음양(陰陽)을 구분해 보도록 합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戊土 |
己土 |
辰土, 戌土 |
丑土, 未土 |
五 行 |
陽土 |
陰土 |
陽土 |
陰土 |
<甲木의 偏財>
위의 후보들 중 일간 갑목(甲木)과 음양(陰陽)이 같아야 편재(偏財)가 되므로
무토(戊土), 진토(辰土), 술토(戌土)가 편재(偏財)가 됩니다.
h. 내가 극(剋)하고 음양이 틀리면 정재(正財)
갑목(甲木)의 정재(正財)가 될 수 있는 후보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戊土 |
己土 |
辰土, 戌土 |
丑土, 未土 |
<甲木의 正財후보>
다음은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무토(戊土), 기토(己土), 진토(辰土), 술토(戌土), 축토(丑土), 미토(未土)의 음양(陰陽)을 구분해 보도록 합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戊土 |
己土 |
辰土, 戌土 |
丑土, 未土 |
五 行 |
陽土 |
陰土 |
陽土 |
陰土 |
<甲木의 正財>
갑목(甲木)에게 편재(偏財)가 되는 후보자들을 제외한
기토(己土), 축토(丑土), 미토(未土)가 정재(正財)가 됩니다.
i. 나를 생(生)해 주고 음양이 같으면 편인(偏印)
갑목(甲木)을 생(生)해 주는 오행(五行)은
수생목(水生木)이므로 수(水)에 해당하는 천간(天干) 지지(地支)들이 인성(印星)의 후보가 됩니다.
그러므로 갑목(甲木)의 편인(偏印)이 될 수 있는 후보들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壬水 |
癸水 |
亥水 |
子水 |
<甲木의 偏印후보>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임수(壬水), 계수(癸水), 해수(亥水), 자수(子水)의 음양을 구분해 보도록 합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壬水 |
癸水 |
亥水 |
子水 |
五 行 |
陽水 |
陰水 |
陽水 |
陰水 |
<甲木의 偏印>
위 후보자중 음양(陰陽)이 같은 양(陽)의 성질은 임수(壬水), 해수(亥水) 이므로
갑목(甲木)에게 편인(偏印)은 임수(壬水)와 해수(亥水)가 됩니다.
j. 나를 생(生)해 주고 음양이 다르면 정인(正印)
갑목(甲木)의 정인(正印)이 될 수 있는 후보들은 편인(偏印)의 후보와 같습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壬水 |
癸水 |
亥水 |
子水 |
<甲木의 正印후보>
다음은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임수(壬水), 계수(癸水), 해수(亥水), 자수(子水)의 음양을 구분해 보도록 합니다.
구 분 |
天 干 |
地 支 | ||
天 干 |
壬水 |
癸水 |
亥水 |
子水 |
五 行 |
陽水 |
陰水 |
陽水 |
陰水 |
<甲木의 正印>
갑목(甲木)에게 편인(偏印)이 되는 후보자들을 제외한
계수(癸水)와 자수(子水)는 음양이 다르므로 정인(正印)이 됩니다.
지금까지 갑목(甲木)을 기준으로 하여 십성(十星)을 분류해 보았습니다.
예문에서 살펴보았듯이 구분은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오행(五行)을 분류하고 해당 오행(五行)의
음양(陰陽)에 따라서 십성(十星)이 정해지게 되며 나머지 일간도 이와 같이 판별하면 되겠습니다.
|
첫댓글 잘 보았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쉽게 표현 해 주셨네요.
감사 합니다.
사실 타카페서 건성건성 공부는 안하고 놀기만 했는데
선생님께서 올려주신 자료를 보니 이번 만큼은 십성과 육친이 쉽게 이해되고,
딱 저를 위한 자료 갔습니다
열공해야겠습니다
저에게는 소중하고 유익한 자료라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젊을때 조금이라도 배워서 다행이에요..~
기초 다지기.~~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틈틈히 시간나는 대로 들려서 감사한 마음으로 얻어 갑니다
감사합니다 여러번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표로 이해하기 쉽게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뷱습하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