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97을 띄우면 최근에 작업한 문서를 불러오는 창이 나타납니다. 최근 작업한 문서를 쓸 때는 이 창이 편하지만 새 문서를 만들 때는 '취소'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습니다. 이 창이 뜨지 않게 하려면 바탕화면의 한글97 아이콘에 마우스 커서를 대고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등록정보를 고릅니다. 그런다음
c:\hnc\hwpw.exe라고 써있는 '대상'항목에 /q 명령어를 덧붙이고, '확인'버튼을 누릅니다.
⇒마우스로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을 누르지 않고 키보드를 써서 한글97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바탕화면의 한글97 아이콘에 마우스 커서를 대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 '등록정보'를 고릅니다. '바로 가기키' 항목에
마우스 커서를 대고 A를 누르면 <Ctrl+Alt+A> 키가 저절로 찍힙니다. 그런다음 '확인'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이제 Ctrl키와 Alt, A키를 함께 누르면 한글97이 수행됩니다. A키뿐 아니라 숫자, 문자, 특수기호등을 모두
쓸 수 있습니다.
⇒한글에서 같은 이름으로 문서를 저장하면 이전에 작업하던 문서에 덮어씁니다. 이 때 실수로 빈문서나 다른 문서로 덮어쓰면 지금까지 작업한 것들이 헛수고가
됩니다. 이런 문제를 막기위해 한글97에서는 문서를
저장할 때 백업파일로 만들어 놓도록 했습니다. '파일'
메뉴의 '환경설정'을 고른 뒤 '편집'탭을 활성화시키고
'백업파일 만듦'에 체크하면 문서를 저장할 때마다 '파일이름.bak' 파일이 만들어집니다. 작업하던 문서를 다시 쓰려면 bak 확장자를 hwp로 바꾸면 됩니다.
⇒정전이 되어 컴퓨터가 갑자기 꺼지거나 잠시 자리를
비웠을 때 다른사람이 한글을 끝내면 지금까지 작업한
문서를 한번에 날릴 수 있습니다. '파일' 메뉴의 '환경설정'에서 '편집' 탭을 고른 뒤 '쉴 때 자동저장'이나
'무조건 자동저장'에 체크하면 문서를 작성할 때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저장됩니다.저장되는 시간간격은 '쉴 때 자동저장'은 0~360초, '무조건 자동저장'은 0~60분 사이에서 고르면 됩니다.
⇒화면아래의 상태표시줄에 현재 문서의 저장상태를
보여주는 *나 +, 빈칸 등의 표시가 있습니다. 빈칸은
문서가저장된 것이고, *는 저장되지 않은 상태를 뜻합니다. 이 부분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르면 문서가 저장됩니다. +는 '자동저장'이 지정되었음을 나타냅니다.
⇒도구상자를 화면에 띄우려면 보기→도구상자를 눌러야 합니다. 화면위에 있는 도구바의 빈곳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도 도구상자를 고를
수 있는 창이 뜹니다. 여기서 필요한 항목을 체크하면
화면에 해당 도구상자가 생기고, 체크를 해제하면 사라집니다.
⇒중요한 문서라면 파일에 암호를 걸어두고 아무도 보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 메뉴는 한번 설정해두면
암호를 정확하게 써넣지 않으면 해당파일을 불러 올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파일' 메뉴에서 '문서정보'와 '문서암호'를 차례로 고른다음 5자 이상의 암호를 써넣고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확인하는 창이 뜨면
다시 암호를 써넣고 '설정'버튼을 누르면 암호가 정해집니다.문서에 걸어놓은 암호를 해제하려면 파일→문서정보→문서암호를 차례로 고른 뒤 현재 암호를 쓰고,
'새 암호'에 엔터키를 넣으면 됩니다.
⇒파일 이름이나 문서의 제목은 구별하기 쉬운 것으로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글97로 문서를 읽으면 맨 위에있는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와 파일 이름, 문서의 첫줄에 적힌 글귀등이 나타납니다. 파일이름을 바꾸려면
'새이름을 저장'을 이용하고, 글귀를 바꾸려면 파일→문서정보→문서요약을 차례로 눌러 창을 띄운 뒤 '제목'에적당한 내용을 적으면 됩니다. 이외에 주제, 지은이, 날짜, 키워드, 기타내용 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바탕화면처럼 문서를 예쁜 그림으로 장식할 수도 있습니다. 모양→테두리/배경→전체쪽을 차례로 고르면
'쪽 테두리/배경' 창이 뜹니다. 그런다음 '문서배경'탭을 활성화 시키고 배경색을 마음에 드는 것으로 바꾸면
문서전체의 색깔이 바뀝니다. 그림을 넣으려면 '그림으로 넣기'에 체크한 뒤 그림파일이 있는 곳을 지정하면
됩니다.이렇게 한다음 글자의 색을 바꾸고 배경으로 깔릴 그림의 밝기와 명암을 조절하거나 워터마크 등 여러
가지 효과를 주면 예쁜 편지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영문 입력 상태에서 한글을 치면 잘못된 내용을 지우고 한글로 다시 써야 하지만 Alt 키와 +(=)키를 함께 누르면해당내용이 바르게 바뀝니다. 반드시 잘못 친 다음
곧바로 이 키들을 눌러야 하고 두 번 누르면 다시 한글에서 영어로 바뀝니다.
⇒'한영 자동전환'을 이용하면 대부분은 바르게 바뀌지만 올바르게 써넣은 문장이 엉뚱하게 틀린 내용으로 바뀌는 수가 있습니다. 한영 자동전환을 없애려면 '도구'
메뉴의 빠른 교정→빠른 교정 동작과 한영 자동전환→한영전환동작의 체크를 모두 없애면 됩니다.
⇒표 작업을 할 때는 여백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어딘가 빈 공간이 있거나 그림의 형태가 남아 있으면 칸수를 제대로 조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여백을 확인하려면 보기→조판부호를 누르면 됩니다.이렇게 하면 조판,문단부호들이 나타나면서 어디에 여백이 있는지 파란색으로 보여줍니다.
⇒무른하이픈(soft hyphen)은 영어 단어가 한줄에 들어가지 못할 때 넘친 부분을 다음줄로 넘기면서 -표시를 달아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단어 전체가 다음줄로 넘어갈 때 앞줄의 편집 상태가 엉망이 됩니다.영어 단어의 일부를 다음줄로 보낼 때는 반드시
음절(자음+모음)을 기준으로 합니다. 모음 뒤에 커서를
대고 Ctrl 키와 -키를 함께 누르면 됩니다. -앞에 마우스 커서를 두었을 때 화면 아래의 상태표시줄에 '-(하이픈)'이라고 뜨면 작업이 제대로 된 것입니다.
⇒입력된 문서를 지울 때 Back Space 키나 Delete키를
이용해도 되지만 단축키를 쓰면 더 빠르고 편합니다.
Ctrl키와 Delete키를 함께 누르면 오른쪽의, Delete키를 누르면 왼쪽의 한 단어가 지워집니다. 커서가 있는
줄을 모두 지우려면 Ctrl키와 Y키를, 커서부터 줄 끝까지 지우려면 Alt키와 Y키를 함께 누르면 됩니다. 실수로 지운 것을 되살리려면 편집메뉴에서 '되살리기'를
고르거나 Ctrl키와 Z키를 함께 누르면 됩니다. 이 명령은 커서를 이동하지 않고 지운 것을 한 묶음으로 해서
가장 최근에 지운 세 묶음까지 되살려줍니다.
⇒한글97에서는 텍스트 문서를 문서를 불러올 때 문서종류를 묻는 창이 뜹니다. 조합형, 완성형, 2바이트, 아스키 등 여러 가지 코드들을 물어보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완성형 문서만 쓰기 때문에 이 창이 번거롭습니다.문서 종류를 묻는 창을 없애려면 '파일' 메뉴에서 '환경설정'창을 열고 '코드형식' 탭을 띄웁니다.그런다음 '텍스트 파일읽기'에서 '지정'을 고르고 '문서종류'를 '완성형'으로 한 뒤 '설정'버튼을 누르면 다음부터는 텍스트문서를 읽을 때 완성형으로 알아서 바로 뜹니다.
⇒한글을 한자로 바꾸거나 한자를 한글로 바꾸려면 글자나 단어의 오른쪽 끝에 커서를 두고 F9키를 누르면
되지만 많은 한자를 한글로 바꾸려면 글자마다 F9키를
눌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합니다. 한글로 바꾸려는 한자가 많으면 바꾸려는 부분을 블록으로 지정한 다음 Alt키와 F9키를 함께 누릅니다.그러면 한자나 일어를 한글로바꾸는 '한글로 바꿈' 창이 뜹니다. '한자를 한글로'에 체크한 다음 '바꾸기'버튼을 누르면 블록으로 지정한 영역의 한자가 한꺼번에 한글로 바뀝니다.
⇒한글 97의 한자사전에는 17만개의 단어가 등록되어
있지만 인명과 지명등의 고유명사는 등록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직접 등록해 주어야 합니다. 내 이름을 한자
단어사전에 등록시키려면 먼저 이름을 한글로 써넣은
다음 F9키를 누르고, '한자로 변환'창이 뜨면 아래쪽 +
모양의 '한자 단어 등록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이 버튼이 없으면 창을 접거나 펴는 손바닥 모양의 아이콘을
누르면 됩니다. '한자 단어 등록'창이 뜨면 등록할 한자
단어영역의 한자부분을 알맞은 한자로 바꾼 뒤 '등록'버튼을 누릅니다. 이렇게 하면 다음부터는 내 아름을 쓴 뒤 F9키를 누르면 해당 한자 단어를 보여줍니다.새로 등록한 한자 단어는 최대 12음절까지 할 수 있고,
이들은 c:\hnc\lib\hanja.dic에 보관됩니다.
⇒쓰고 싶은 특수문자가 한글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글자겹침'을 이용해 원하는 특수문자를 직접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특수문자에 없는 ⑩이라는 문자를
만들려면 '입력'메뉴에서 '글자겹침'을 고르면 '글자 겹치기'창이 나타납니다. '겹쳐 쓸 글자'의 빈칸에 커서를
대고 오른쪽버튼을 눌러 '문자표'를 고르면 '문자표에서 선택창이 나타납니다.⑩에 필요한 숫자 문자는 '원문자 조각' 영역의 ①(문자코드 '2e0a')와 0(문자코드'2e13')입니다.①을 고르고 '넣기'버튼을 누르면 '글자겹침' 창의 미리보기 영역에 결과를 보여줍니다. 같은 방법으로 0을 고르고 '넣기' 버튼을 눌러 미리보기
영역에서 작업한 결과를 확인합니다. 결과가 제대로 되었으면 '넣기'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한글97에서는 특수문자를 종류별로 따로 관리합니다. 자주 쓰는 문자 ※,★,◆등은 Ctrl키와 F10키를 같이 눌렀을 때 뜨는 창에 모여 있지만 그외의 문자는 여러 가지 항목으로 나뉘어 등록되어 있습니다. 내가 썼던 특수문자가 어디에 속해 있는지 재빨리 알아내려면
특수문자 앞에 커서를 놓고 F3키를 누른다음 Ctrl키와
F10키를 함께 누르면 됩니다.
⇒특수문자나 긴 문자열을 반복해서 써야 할 때면 매번
이들을 불러와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므로, 이 때 준말을 입력해 본말을 불러내는 사용구를 쓰면 편하다. 특수문자 ☎를 상용구로 등록하려면 입력메뉴에서 '상용구'를골라 '상용구 내용'창을 띄우고 창의 오른쪽 아래에 있는 손바닥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 숨어 있는 메뉴를 불러냅니다.+모양의 '상용구 추가하기' 버튼을 눌러
준말에는 '전화'라고 쓰고, 본말에는 특수문자 ☎를 넣고 '넣기'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전화'라고 쓰고 Alt키와 I키를 함께 누르면 특수문자 ☎로 바뀝니다.
⇒특정단어가 쓰인 곳을 찾거나 그 단어를 다른 단어로
바꾸려면 '찾기'나 '찾아 바꾸기'를 이용합니다. '편집'
메뉴에서 '찾기'나 '찾아 바꾸기'를 골라도 되지만 '찾기'는 F2, '찾아 바꾸기'는 Ctrl키와 A, Q키를 함께 누르면 불러올 수 있습니다. '찾아 바꾸기'에서 찾는 조건에 문자열과 글자모양 등을 지정하려면 손바닥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 '찾을 글자모양' 버튼을 고릅니다. '찾을
글자모양' 창이 뜨면 원하는 글자모양을 정하고, '설정'
버튼을 누르면 '찾을 글자모양' 버튼에 체크표시가 나타납니다. 같은 방법으로 '바꿀 글자모양'을 고를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을 취소하고 싶으면 한번 더 '찾을 글자모양'이나 '바꿀 글자모양'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한글97에서는 한글과 특수문자는 1바이트, 숫자나
영어,기호등은 1/2바이트를 차지합니다. 문서를 만들
때 숫자, 영어, 기호등을 쓰면 문자간격이 좁아지고, 한글과 특수문자는 넓어지는 수가 있습니다. 스페이스바는 1바이트씩 움직이고, Alt키와 스페이스바를 함께 누르면 1/2바이트씩 움직입니다. 이둘을 적절하게 이용하면 문자간격을 보기좋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블록을 고르려면 F3키를 누르고 화살표 키를 움직이거나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커서를 이동하면 되지만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편할 때가 있습니다.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채 마우스를 움직이면 블록 전체가
반전으로 표시되고 선택됩니다. 마우스로 단어, 줄, 문단, 문서전체를 빠르게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문서에
마우스를놓고 왼쪽 버튼을 두 번 누르면 단어 하나가,
세 번 누르면 한 문단이 선택됩니다. 또, 문서 왼쪽 여백에서 마우스 왼쪽 버튼을 한 번 누르면 한 줄이, 두
번 누르면 한 문단이, 세 번 누르면 문서 전체가 선택됩니다.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해 블록을 고른다음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채 끌면 마우스 커서가 화살표 모양으로 바뀌면서 선택한 블록이 이동합니다. 이 때 Ctrl키를 함께 누르면서 마우스를 끌면 화살표 모양에 +가 붙고, 이동이 아닌 복사를 할 수 있습니다.
⇒글자모양을 바꾸려면 바꿀 대상을 블록이나 구역으로 지정한 뒤, '모양'메뉴에서 '글자모양'을 고르면 됩니다. 이것보다 더 빠르게 글자모양을 바꾸는 방법은
Alt키와 L키를 함께 누르면 '글자모양' 대화 상자가 뜹니다. 원하는 글꼴 이름을 알고 있으면 마우스를 이용해 직접 찾는 것보다 키보드로 글꼴 이름을 써넣고 엔터키를 누르면 더 편합니다. 또, 이름의 첫글자가 다른
글꼴과 겹치지 않으면 모음만 써넣어도 글꼴이 바뀝니다.
⇒글자크기의 단위는 포인트이고, 허용범위는 1~127포인트입니다. 1포인트는 0.352mm이므로 127포인트는 42.8mm입니다. 글자크기를 바꾸려면 글자모양' 창을 이용하는 것보다 마우스로 리본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실제 인쇄되는 글자 크기를 알아보려면
'파일'메뉴의 '미리보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PC통신의 '갈무리'를 한글에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구'메뉴에서 '갈무리'를 고르면 마우스 커서가
카메라 모양으로 바뀝니다. 그런다음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갈무리할 내용을 고른 뒤 마우스 버튼을 놓으면 '갈무리한 그림 저장하기' 창이 뜹니다. 파일이름과 보관할 폴더, 파일형식등을 지정하고, '저장'
버튼을누르면 됩니다. 파일 형식은 bmp, gif, wmf등이
있습니다.
⇒빈 문서에 표나 그림을 그리면 길이와 크기를 가늠하지 못해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눈금자처럼 문서에 격자가 보이면 '보기' 메뉴에서 격자→설정을 차례로 누르면 '격자설정' 창이 뜹니다. 격자 방식은 '격자에 상관없이' '격자 자석 효과' '격자에만 붙이기' 등이 있습니다. '격자 자석 효과'는 '격자 자석 범위'를 정하고 그
안에 그림이 있으면 저절로 격자에 붙는 효과입니다.
격자 방식과 가로, 세로 간격을 정했으면 '격자 보이기'에 체크하고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빈 문서에는
전에는 없던 엷은 파란색으로 가로, 세로 간격을 두고
점들이 나타납니다. 이제 격자를 이용해 글상자의 크기를 정확히 맞춰 멋진 제목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한글문서에는 화면 테두리에 하얀색 눈금자가 있습니다. 눈금자의 단위를 바꾸려면 아래줄 칸이 표시되는
곳을 마우스왼쪽 버튼으로 두 번 누른다음 '눈금자 단위' 창이 뜨면 눈금자의 단위를 mm나 인치, 15cpi,
12cpi, 10cpi 중에서 고를 수 있습니다. 문단 모양이나
편집 용지에서도 간격이나 여백의 단위를 고를 수 있습니다. '모양' 메뉴에서 '문단 모양'을 골라 창을 띄우고
바꾸려는 간격의 단위부분을 마우스로 누르면 단위의
종류를보여줍니다. 단위는 mm, in, pts, 급, 초, % 등이 있습니다.'급'의 크기는 1포인트가 2.411급이고
127포인트가 179.2급입니다.
⇒한글의 탭에는 세로 열을 일정하게 맞추는 '왼쪽
탭'과 오른쪽 정렬과 같은 '오른쪽 탭', 각 열의 제목을
중앙에맞춤하는 '가운데 탭', 숫자들의 자릿수를 맞춰주는 '소수점 정렬 탭', '책의 목차나 색인을 만들 때 쓰는 '점 끌기탭' 등이 있습니다. '점 끌기 탭'은 다른 탭과 함께 쓰는 것으로서 탭 간격을 점선으로 연결해줍니다. '모양'메뉴에서 '문단 모양'을 골라 창을 띄운 다음
탭의 위치와 간격, 종류, 추가/삭제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스타일 부여된 문단에 글자를 쓰다가 글자모양을 바꾼다음 다시 처음의 스타일로 돌아오려면 Alt 키와 A
키를 함께 누르면 됩니다. 이 단축키를 한 번 누르면 바탕글 스타일의 글자모양으로, 다시 한 번 누르면 현재
스타일의 글자모양으로 바뀝니다.
⇒마우스를 이용해 쉽게 글상자의 크기를 바꿀 수 있습니다. 먼저 글상자의 외곽선 가까이 마우스를 가져간
다음마우스 모양이 화살표로 바뀌면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8개의 조절점이 생기고, 이중 하나 위에 마우스를 놓고 끌면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글상자의 조절점을 끌면
가로 세로비율을 유지하면서 크기가 바뀝니다. Ctrl 키를 누르면서 하면 글상자의 중심을 기준으로 크기가 조절됩니다.
⇒표의 크기를 바꾸려면 커서를 편집하려는 표 내부에
놓고 F3 키를 눌러 셀 블록 편집 상태로 바꿉니다. 셀
편집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축키를 이용해 셀의 크기를 1mm씩 키우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단 축 키 |
설 명 |
Shift + ←,→,↑,↓ |
선택된 셀의 폭과 높이만 줄거나 늘어난다. |
Ctrl + ←,→,↑,↓ |
선택된 셀이 있는 줄, 칸의 전체의 폭과 높이가 줄거나 늘어난다. |
Alt + ←,→,↑,↓ |
표 전체크기는 유지되면서 선택된 셀이 있는 줄, 칸 전체의 폭과 높이가 줄거나 늘어난다. |
⇒입력한 본문의 내용 가운데 블록으로 설정한 부분을
자동으로 표로 만들 수 있습니다. 표 메뉴에서 '문자열을 표로'를 고르면 '문자열을 표 안으로 넣기' 창이 뜹니다. '자동으로 넣기'나 '분리방법 지정'을 골라 낱말과 낱말사이에 입력한 여러 가지를 기준으로 표의 칸을
나눕니다. 머리말이나 꼬리말 같은 숨은 화면에서는 문자열을표로 바꿀 수 없지만 만들어 놓은 표는 문자열로
바꿀 수 있습니다. 표 전체를 블록으로 설정한 뒤 표→표를 문자열로를 차례로 고릅니다. '표를 문자열로 만들기' 창에서 낱말과 낱말 사이에 넣어줄 문자들을 정한 뒤 '설정' 버튼을 누르면 표 안에 있던 내용이 문자열로 바뀝니다.
⇒엑셀처럼 한글97에서도 간단한 표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한글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간단한
사칙연산 뿐 아니라 합계, 평균, 최대, 최소 등 많은 함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표 안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뒤 '계산식'을 고르면 셀의 이름을 이용해 직접
계산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계산식에서 쓰는 함수의
종류는모두 24개입니다.
⇒글자의 속성 가운데 '밑줄넣기'라는 것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밑줄 색깔은 검정이지만 다른 것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밑줄이 들어갈 부분을 블록으로 설정한 다음
Alt키와 L키를 함께 눌러 '글자모양' 창을 띄웁니다. 그런다음 '음영색' 항목을 골라 원하는 색으로 바꾸고 밑줄 속성을 넣으면 밑줄 색깔이 바뀝니다. 파랑, 초록,
청록,빨강, 자주, 노랑, 흰색 등이 있습니다.
⇒각주의 내용을 바꾸려면 커서를 바로앞에 두고 편집→고치기를 차례로 고릅니다. 네 개의 각주가 있는 문장에서 세 번째 각주를 고치려면 세 번째와 네 번째 사이의 아무곳이나 커서를 놓아도 됩니다.이렇게 하면 세
번째 각주의 편집창이 뜹니다. 이처럼 고치기를 할 때는 커서를 중심으로 왼쪽에 있는 각주가 열립니다.
⇒그림에 캡션을 넣으려면 그림위에 마우스 커서를 놓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 '캡션 편집'을 고르거나 Ctrl키와 N,C키를 함께 누릅니다. 그림에 대한 설명을 써넣고 Shift와 Esc키를 함께 누르거나 눈금자 옆에 있는
문 모양의 '숨은 창 닫기' 아이콘을 누릅니다. 본문으로
돌아오면 그림 안에 캡션이 나타납니다. 캡션의 위치를
바꾸려면그림을 두 번 누르고 '그림 고치기' 창을 띄웁니다.'여백/캡션' 탭에서 캡션의 위치와 크기등을 바꿀
수 있습니다.
⇒그리기 도구상자에서 직선 아이콘을 고르면 직선을
쉽게 그릴 수 있습니다. 이 때 직선의 양쪽 끝에 마우스
커서를 두고 Ctrl 키를 누르면서 끌면 직선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길이와 기울기가 조절됩니다. 또, Shift 키를누르고 끌면 직선의 기울기가 15도 단위로 움직입니다. 직선위에 마우스를 두면 직선을 옮길 수 있고, 이
때 Ctrl 키를 함께 누르면 복사가 됩니다.
⇒사각형과 타원을 그리려면 '그리기' 도구상자에서 도형 아이콘을 골라 마우스를 원하는 곳까지 끌면됩니다.이 때 Shift 키를 함께 누르면 정사각형이나 원, 반듯한
호 등을 그리고, Ctrl 키를 누르면 시작점을 중심으로
가로, 세로의 반경을 조절합니다. 도형을 고칠 때는 조절점 위에 마우스를 놓고 끌고, 이 때 Shift키를 누르면도형 본래의 비율을 유지합니다.
⇒그려놓은 다각형을 원하는 모양으로 편집하려면 마우스로 다각형을 선택한 뒤 8개의 조절점이 나타나면
'그리기' 도구상자에서 '다각형 편집' 아이콘을 고르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다각형 편집'을 고릅니다. 다각형의 꼭지점마다 노드(node)가 표시되고, 노드에 마우스 포인터를 놓고 끌면 다각형의 꼭지점을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마우스 단추에서 손가락을
떼면 다각형이 다시 그려집니다. 이와같은 과정을 반복해다각형의 모양을 원하는 대로 바꾸면 됩니다. 다각형
편집상태를 취소하려면 다른 개체나 본문을 마우스 왼쪽버튼으로 누릅니다.
⇒문서를 작성할 때 편집용지 때문에 정해진 쪽 모양으로 글과 그림들이 넘치면 자동으로 다음 쪽으로 내용이
넘어갑니다. 자동으로 쪽이 나뉘는 부분은 화면에 검은색의 점선이 표시됩니다. 이와 반대로 이용자가 원하는곳에서 강제로 쪽을 나눌 수도 있습니다. 커서를 쪽을
나눌 줄에 두고 Ctrl키와 엔터키를 함께 누르면 문단부호다음쪽으로 넘어가면서 쪽이 나뉘는 곳에 빨간색의
점선이 생깁니다. 강제 쪽 나누기를 취소하려면 커서를
빨간색의 쪽 분리선 바로 뒤에 놓고 BackSpace키를 누르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뒤쪽 첫 번째 문단이 앞쪽 마지막 문단에 합쳐집니다.
⇒신문이나 회지, 잡지등에서는 하나의 쪽을 몇 개의
세로 방향의 공간으로 나누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다단편집이라 하고, 한글에서는 최대 8단까지 나눌 수 있습니다. 다단으로 문서를 만들때 '단 나누기'는
쪽 나누기처럼 하나의 단에 내용을 모두 채우지 않고
강제로 단을 넘기는 것을 말합니다. 먼저 '모양' 메뉴의
나누기→다단에서 단수를 정합니다. 그런다음 '모양'
메뉴에서 나누기→단 나누기를 차례로고르면 커서 뒤의 내용이 다음 단으로 넘어갑니다. 하지만 한번 설정한 단의 형태는 문서 전체에 적용되므로 하나의 문서를
여러 형태의 단의 수로 편집하려면 조판 나누기를 써야
합니다. 조판을 구분할 곳에 커서를 두고 모양→나누기→조판나누기를 차례로 고르면 됩니다.
⇒입력된 자료의 일부분을 원하는 순서대로 다시 배열할 때 쓰는 것이 '소트(sort)'입니다. 소트할 범위를 블록으로 지정한 다음 '도구' 메뉴에서 '소트'를 고르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소트'를 누릅니다. '소트'
창이뜨면 정렬할 여러 가지 기준을 정할 수 있습니다.
최대 3개까지 기준을 정하고, 이 때 위치 인식은 탭을
기준으로 정합니다. 소트할 자료가 글자 또는 숫자인지
고르고 정렬의 순서를 가나다순 또는 역순으로 할 것인지 등을 정합니다. 이 외에 입력된 자료의 코드순, 발음순이나 낱말의 앞에서, 뒤에서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작업한 문서를 프린터로 인쇄하려면 '파일' 메뉴의
'인쇄'를 누르면 됩니다. 인쇄할 때는 여러 가지 편리한
메뉴를 쓸 수 있습니다. '역순인쇄'는 문서의 마지막 쪽부터 인쇄하고, 양면 인쇄를 하려면 홀수쪽만 인쇄하고
종이를 뒤집어 넣어 다시 짝수쪽만 인쇄하면 됩니다.
같은 내용을 여러장 인쇄하려면 '한부씩 찍기'를 골라
문서를분류하는 것이 편합니다.
⇒한글 파일을 한 곳에만 모아두면 필요한 문서를 찾기가 힘듭니다. 한글97에서는 문서를 원하는 대로 분류하도록 꾸러미를 만들어줍니다. 꾸러미를 만들려면 '불러오기' 창을 띄우고 '최근문서' 탭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누른 다음 '새 꾸러미 만들기'를 고릅니다. 이곳에서 꾸러미를 만들면 꾸러미가 c:\work 안에 만들어지고, 꾸러미 등록하기'를 누르면 c:\work 이외의 폴더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한글97에 들어있는 '문서찾기'를 이용하면 원하는
글자나 어절이 담긴 문서를 전체 문서중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파일→문서찾기→직접찾기를 차례로 고르면 '직접찾기' 창이 뜹니다. 이 곳에서 찾을 문자열과
검사대상, 검사할 디렉토리, 파일형식, 작성한 날짜 등
여러 가지 옵션을 붙여 문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검사할 디렉토리는 '한 개 디렉토리' '이하 디렉토리' '한 개
드라이브' '모든 드라이브' 중에서 고를 수 있어 문서를
찾을 때 편합니다.
⇒한글97에서는 작성한 문서를 원고지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원고지로 만들 문서를 열고 도구→원고지→원고지 제목을 차례로 구르면 '원고지 제목' 창이 뜹니다. 이 곳에서 글의 제목과 종류, 부제등을 적고, '넣기' 버튼을 누릅니다. 그런다음 도구→원고지→원고지 보기/인쇄를 차례로 누르면 원고지 형식틀에
문서가 출력됩니다. 원고지 형식은 200자, 400자, 1천자 가운데서 고르고 원고지 색상도 빨강, 초록, 파랑,
검정중에서 선택할수 있습니다.
⇒한글97에서 '그리기 마당'을 잘 활용하면 문서를 예쁘게 꾸밀 수 있습니다. 그리기 마당은 한글97을 설치할 때기본으로 깔리고, 클립아트 종류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습니다. 그리기 도구상자를 열려면 보기→도구상자를 눌러 그리기 도구 상자에 체크하거나 화면위에
있는 도구바의 빈곳에 커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도구상자를 고르면 됩니다.그리기 도구상자가
열리면 왼쪽에서9번째 있는 '그리기 마당'을 누릅니다.
하얀 창이 뜨면서 전에 썼던 클립아트를 '최근문서'처럼 보여줍니다.이것을 누르면 '그리기 마당' 창이 뜨고
클립아트의 종류가 꾸러미 형태로 분류되어 있습니다.원하는 클립아트에 마우스 커서를 대고 왼쪽 버튼을 누르면 커서가 +로 바뀝니다. 이제 한글 문서에 마우스를
대고 원하는 크기대로 끌면 선택한 그림이 문서에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