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널트레이너의 책임과 역할 - 4
퍼스널 트레이너의 정의
국내에서의 퍼스널 트레이닝은 ‘웰빙’의 바람이 시작되던 2000년, 서울 명동에 ‘캘리포니아 피트니스 센터’가 설립되고부터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캘리포니아 피트니스 센터’는 퍼스널 트레이닝을 바탕으로 1년여 만에 회원 1만 명을 넘어섰고, 다음 해 압구정 2호점, 2005년 강남점을 열었다.
캘리포니아의 한국 진출이 새로운 휘트니스 문화를 선도하면서 '발리 토탈 피트니스'(2003년)' 월드짐'(2004년)등의 외국계 기업이 잇달아 국내에 체인점을 열었다. 또한 국내 브랜드인 ‘휴레스트”가 명동점(2005)을 오픈 하면서 강남과 부천에 체인점인2호점 3호점을 열고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들 초대형 피트니스 센터의 등장은 국내 피트니스 문화를 일순간에 바꿔 버렸다. 이들 업체들은 퍼스널 트레이닝과 함께 요가, 태권도 등 전통 운동을 접목한 특색 있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외국의 GX수업을 도입하면서, 단순히 트레드밀과 기구운동에 머물렀던 국내 피트니스 문화를 한 단계 상승 시켰다.
그러나 전문적인 퍼스널트레이너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나친 퍼스널트레이닝에 대한 강요와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 그리고 센터운영에 대한 선진적인 시스템의 부족이 결국은 이런 대형 센터들이 생존경쟁에서 도태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퍼스널트레이닝 부분은 새로운 영역이다. 퍼스널트레이너는 “고객의 개인적인 체력 및 건강 목표를 달성 할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지도자와 고객이 1:1 상황에서 안전하고 적절하게 운동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고객을 지도하고 트레이닝 시킬 수 있는 유자격자를 고용하여 이루어 지는 직업”(한명우 외, 2004)으로 폭넓게 정의하고 있다. 또 다른 정의를 보면 “각 개인마다 다른 신체의 특징과 개개인의 다른 활동 환경에 맞춰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안전하고 적절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본인에게 맞는 운동처방을 내려주는 최첨단 피트니스 프로그램 진행자이다 (Mark, 2004)라고 정의하고 있다..
1999년에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에서 이와 유사한 국내 분야인 운동처방분야를 소개했다. ‘운동처방’에 대한 체육학(운동과학) 에서의 운동 처방 개념은 체력의 향상과 건강의 유지 증진을 목적으로 개인의 체력수준, 건강상태, 연령 등을 고려한 운동의 종류와 운동의 형식을 선택해 주고 그 질과 양을 어떻게 실시하여야 하는가를 제시함은 물론 처방된 운동의 내영을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수행 할 수 있도록 운동지도, 관리하는 역할까지도 포함하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차광석, 2004).
그러나 퍼스널트레이닝에 대한 이해와 학문적, 경험적 바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보급은 퍼스널트레이닝에 대한 양적인 팽창과 지속적인 수요를 가져 왔지만 정작 지도자인 “퍼스널트레이너”에 대한 전문적인 역할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나 배경은 여전히 미미한 상태이다.
퍼스널트레이너를 필요로 하는 이유를 보면 사람들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을 위해 퍼스널트레이닝을 생각하게 되었고, 많은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퍼스널트레이너를 찾게 되었다. 여기에는 병이나 사고로 허약해진 몸을 회복시키기 위한 특별한 보살핌의 필요성, 자신의 체력수준을 증진시키는데 전념하기 위함, 그리고 가장 흔한 이유는 그들 자신의 동기를 유발시키고 교육시킬 전문가를 고용하고자 하는 욕구 등이 포함되었다(Kathy와 Irv, 2004).
ACSM(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은 운동처방은 한 개인에게 권고할 신체활동 양생법을 체계적이고 개별적으로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규정하고 있어(ACSM, 1991), 이 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운동처방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퍼스널트레이너는 다양한 부분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이는 고객에 대한 피트니스 측정과 상담 그리고 고객의 목적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운동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평소의 식습관을 분석하고 건강하고 적절한 영양정보와 식단을 제공하며, 보다 활동적이고 건강한 생활습관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여 최적의 피트니스(Optimum Fitness)을 유지하며, 장기적으로 스스로를 관리 할 수 있는 올바른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공 할 수 있는 역할을 말함이다.
최적의 피트니스(Optimum physical fitness)란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최적의 심폐지구력, 근력과 근지구력, 유연성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체중을 유지하는 것을 말함이다(ACE, 1997). 이러한 구체적인 목표는 대부분의 경우 (1) 체력향상을 위해서 (2) 미래의 질병의 발생과 재발을 줄임으로써 건강을 증진하고 (3) 운동중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하고 있다(ACSM, 1991).
유 재환
Fitness Training 전공
(Auckland Technology of University)
스포츠재활 체육학 석사
F.P.B.KOREA 대표
한국퍼스널트레이너협회장
국제마스터 퍼스널트레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