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의 사항 ***
대기와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 및 화학물질은 공기정화장치(집진시설, 정화시설 등...)를 통하여 배출하여야 한다.
폭발성이 강한 유해가스 등을 배출하고자 할때는 용도에 맞는 방폭모터를 사용하여야 할것입니다.
방폭이란? 위험물의 폭발을 예방하거나 또는 폭발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것
산업현장 - 공장환기 및 물류창고 환기시설의 목적은?
첫째, 근로자들의 건강에 무해한 정도로 유해한 입자상 물질, 가스, 유증기, 용접흄, 분진, 악취, 유해가스, 오일미스트, 이형제 사용으로 인한 냄새와 유해 물질, 오염된 공기 등의 농도를 낮춰 주는 것이고,
둘째, 인화나 폭발이 발생하지 않도록 먼지나 증기의 농도를 낮춰 주는 것이며(폭발 위험이있는 유증기 등...폭발지역(구역-구간): 방폭지역의 용도에 맞는 방폭 모터 사용하여 동력팬 및 환기팬 제작 설치할것 )
셋째, 작업장 내부의 불필요한 고열 즉, 뜨거운 열기를 외부로 배출(EA)하고 외부의 신선한 외기(OA)가 유입되어 쾌적하고 활기찬 작업환경을 만들어 제품의 품질향상과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나의 발전은 물론 회사의 성장과 더불어 건강한 가정 및 건전한 사회를 이루어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것입니다.
첫 번째,
가장 근본적인 목적은 작업장 내 유해한 오염물질들로부터 작업자들의 건강을 보호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단순하게 실내공기의 높고 낮음 즉, 냉.난방을 조절하는 공기조절 시스템(HVAC system: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 ditioning의 약자로 보통 공조시설이라고 함) 과는 다르다. 공조시설을 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흐름과 열역학적인 지식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산업환기는 일차적으로 작업자들의 건강 문제를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산업위생 (industrial hygiene)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이 필요하고 여기에 공기흐름과 열역학적인 지식이 합해져야 한다. 즉, 공조시설의 기본인 급기와 배기시설을 넘어서 산업위생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공장환기 및 산업환기의 설계를 함으로서 수많은 종사자들이 근무하는 공장의 작업환경이 쾌적함으로 인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 향상과 생산성 증가로 이어짐은 물론이거니와 작업자들의 건강한 삶이 보장되어 일차적으로 가정이 건강해지고 이차적으로 사회가 건강해져서 최종적으로는 국가의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산업환기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쌓기 위해서는 산업위생에 대한 기초지식을 쌓아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여기서, 근로자들의 건강에 무해한 농도만큼 낮춰 주기 위한 기준치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고용노동부 고시 제2018-62호:개정 2018.07.30)'과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1조(2016년 개정, 2018년 12월 12일 시행)가 정한 13개 유해 물질에 대한 '허용 기준'이 있다.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 (출처 --- 네이버 검색 : 고용노동부)
(제2018-62호)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전문).hwp
http://www.moel.go.kr/skin/doc.html?fn=201807301511526d0440d7c3934b06aca25a69eaba694b.hwp&rs=/viewer/BBS/2018/
www.moel.go.kr
(출처 : 네이버 검색 "고용노동부" 검색 (정확한 정보는 본인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출처 --- 네이버 검색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 2018. 12. 13.] [대통령령 제29360호, 2018. 12. 11., 타법 개정]
제31조(허용 기준 이하 유지 대상 유해인자) 법 제39조의 2 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해인자"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6. 2. 17.>
1. 납 및 그 무기화합물
2. 니켈(불용성 무기화합물로 한정한다)
3. 디메틸포름아미드
4. 벤젠
5. 2-브로모프로판
6. 석면(제조ㆍ사용하는 경우만 해당한다)
7. 6가 크롬 화합물
8. 이황화탄소
9. 카드뮴 및 그 화합물
10.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톨루엔-2,6-디이소시아네이트
11. 트리클로로에틸렌
12. 포름알데히드
13. 노말헥산
[전문개정 2009. 7. 30.]
(출처 : 네이버 검색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검색 (정확한 정보는 본인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둘째로
인화나 폭발 방지를 위한 환기이다. 이를 위해서는 안전공학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인화점(flash point)과 폭발 하한 값(LEL: low explosion limits)에 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인화점" 검색 (정확한 정보는 본인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인화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07015&cid=60227&categoryId=60227
일정 조건하에서 시료를 가열했을 때에 발생하는 증기의 양이 시료 표면상의 공기와 가연 혼합 기체를 만드는 데 충분하게 되어 여기에 화기를 가까이 하면 섬광을 발하면서 순간적으로 연소되는 시료의 온도를 말한다. 인화점을 넣어 다시 가열을 계속하면 화염을 가까이 하였을 때에 연속하여 연소되는 온도에 달하는데 이 온도를 연소점(英 fire point)이라고 부른다. 인화점 및 연소점은 인화점 시험기에 의해 측정하는데 이것에는 밀폐식과 개방식의 두 가지 형식이 있으며 다른 시험 장치에 의해 측정한다. 측정값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
terms.naver.com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발화점" 검색 (정확한 정보는 본인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발화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49737&cid=58598&categoryId=58618
물질을 마찰시키거나 가열할 때 불이 붙어 타기 시작하는 최저 온도. 發 필 발, 火 불 화, 點 점 점 발화점은 물질이 연소하기 시작할 때 온도를 뜻해요. 물질이 연소하려면 발화점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하거나 주변의 온도를 높여 주어야 해요. 발화점은 물질에 따라 달라요. 성냥골, 종이, 나무를 철판 위에 올려놓고 철판을 가열하면 성냥골이 가장 먼저 타고, 종이가 그 다음에 타며, 나무는 불이 붙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나무, 종이, 성냥골의 순으로 발화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답니다. 성냥골의 발화점은 260도로 가장 낮아...
terms.naver.com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분진폭발" 검색 (정확한 정보는 본인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분진폭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7024&cid=42380&categoryId=42380
가연성고체를 세분화해서 작은 입자로 했을 때 이것을 공기중에 적당한 밀도 이상의 농도로 부유하고 있을 때, 어떤 점화원을 주면 가스폭발과 같이 입자가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해서 급속하게 고열이 발생하며, 이것이 부유(浮遊)입자 그룹에 연소를 전파한다. 이때 그 부유 입자그룹(분진 운(雲)) 전체에 연소가 발생하면 폭발에 이른다. 이것이 분진폭발이다. 일반적으로 분진입자는 작기 때문에 부유하기 쉽고, 또 입자의 표면적 비율이 크기 때문에 산화반응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가연성가스와 유사한 폭발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분진의...
terms.naver.com
분진폭발
[ dust explosion , 粉塵爆發 ]
가연성고체를 세분화해서 작은 입자로 했을 때 이것을 공기중에 적당한 밀도 이상의 농도로 부유하고 있을 때, 어떤 점화원을 주면 가스폭발과 같이 입자가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해서 급속하게 고열이 발생하며, 이것이 부유(浮遊)입자 그룹에 연소를 전파한다.
이때 그 부유 입자그룹(분진 운(雲)) 전체에 연소가 발생하면 폭발에 이른다. 이것이 분진폭발이다. 일반적으로 분진입자는 작기 때문에 부유하기 쉽고, 또 입자의 표면적 비율이 크기 때문에 산화반응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가연성가스와 유사한 폭발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분진의 입자 지름은 천차만별이며 고르지 않은 계(系)이기 때문에 폭발현상은 상당한 특색이 있다. 즉, 복사열이나 빛이라도 발화할 수 있으며, 미세한 분진은 완전히 연소하여도 큰 입자는 불완전연소를 할뿐만 아니고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기 쉽다. 또 퇴적분진이 폭풍압력에 의해 떠올라 분진운(雲)을 만들므로 폭발이 2차에서 수차의 폭발로 확대하는 경향이 있다.
분진폭발이 발생하는 것은 공기중의 입자가 떠올라 폭발하한계 이상의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단시간 중에 착화되어 일어나는 경우다. 일반적으로 분진의 입자지름이 작을수록 또 분위기 중의 수분이 적을수록 분진폭발이 일어날 기회가 증가되며, 착화에너지는 혼합가스폭발의 경우보다 크다고 한다. 분진폭발을 일으키는 중요한 물질에는 마그네슘, 티탄, 지르콘, 알루미늄, 황, 비누, 석탄산수지, 폴리에틸렌, 경질고무, 송진, 석탄, 전분, 소맥분, 등의 분말이다.
분진폭발을 방지하려면 착화원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기기계기구는 방폭구조의 것을 사용하고, 정전기스파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며, 충격에 의한 불꽃을 발생시키기 쉬운 금속제품을 용기 안에 넣지 않도록 한다. 착화원이 있어도 착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불활성가스(질소, 탄산가스 등)를 집어넣어 폭발하한계 값을 높게 한다. 정전기는 마찰, 박리 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그 발생전압은 액체 등의 유속이 커지는데 따라서 높아진다. 또 정전기가 방전하는 경우의 방전에너지 W는 다음 식을 사용해 표시하며, 정전기에 의한 공기중의 방전은 300V 정도 이상의 전압이 필요하다고 되어 있다.
W=½C
V2=½Q[J]
여기서, C는 정전용량(F : 패럿(farad)), V는 대전전압(V : 볼트), Q는 정전기량(C : 쿨롬(coulomb))이다.
정전기의 발생은 주로 다음 경우에 발생한다.
(1) 배관 등의 안에 비전도성액체나 분진이 유동할 때.
(2) 탱크 안에 비전도성액체 속을 금속성시료채취 통 등을 이동시킬 때.
(3) 고무의 풀칠, 도료의 분무도장, 종이ㆍ비닐천의 되감기 할 때.
이러한 정전기의 폭발을 방지하는 대책으로 다음 방법이 있다.
(1) 배관, 용기 등에 접지한다.
(2) 분위기를 가습(加濕)한다(상대습도를 65% 정도 이상으로 유지한다).
(3) 공기를 이온화한다.
(4) 제전기를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분진폭발 [dust explosion, 粉塵爆發] (산업안전대사전, 2004. 5. 10., 최상복)
셋째로
불필요한 고열(즉, 공장 내부 및 산업현장의 뜨거운 열기)을 예방 및 개선하고 방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산업환기의 목적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으나 우리가 생활하는 공장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배출(EA) 하고 차가운 공기 즉, 신선한 외기(OA)를 공급하는 것이 열기로 인한 불쾌한 공장 내부의 작업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기 때문에 분명 고열 방지 역시 산업환기의 목적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공장의 국소환기와 전체환기)
공장이나 산업현장에서 가동되는 수많은 열원들로 인하여 공장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고 건물의 벽체와 지붕재 단열 문제로 인하여 복사열이 발생하며, 여름철 습기 및 공장 내부의 오염된 혼탁한 공기, 유해가스 등으로 인하여 불쾌감이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더욱이 지구의 온난화로 인한 온도 상승은 예전의 단열만으로는 외부의 뜨거운 복사열을 차단할 수가 없을뿐더러, 공장 내부와 산업 현장에서 우리가 체감하는 온도는 예전과는 확연히 다름을 느끼실 것입니다.
공장이나 산업 현장에서 작업할 때 공기의 흐름이 조금이나마 느껴진다면 작업자들의 불쾌감은 조금이나마 줄어들 것입니다.
공장환기의 기본인 환기시설 - 국소배기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불쾌함의 근원을 없앨 것인가? 내부의 호이스트 등... 공장 내부의 환경과 조건으로 인하여 국소배기가 곤란하여 전체환기를 선택할 것인가?
*** 주의 사항 ***
대기와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 및 화학물질은 공기정화장치(집진시설, 정화시설 등...)를 통하여 배출하여야 한다.
폭발성이 강한 유해가스 등을 배출하고자 할때는 용도에 맞는 방폭모터를 사용하여야 할것입니다.
방폭이란? 위험물의 폭발을 예방하거나 또는 폭발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것
환기공사를 계획하고 계신다면---
첫째로, 우리 공장의 적합한 방법을 적용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할 것이며, 둘째로, 환기장치는 동력팬 및 무동력팬 - - 어떤 형태로?- 규격은? - 수량은? --- 어느 만큼의 동력으로? - 얼마큼의 환기량을 필요로 하는지? 등... 봄, 여름, 가을, 겨울 - 계절에 따른 활용도와 공장 건물과의 조화 등을 복합적으로 따져봄으로써 가성비가 가장 좋은 환기공사로 보답받게 될 것입니다.
(다음은 가장 적합한 환기 방법이란 제목으로 블로그를 작성해 볼까 합니다.)
더 많은 정보와 설치사례를 원하시면
또는
참조하세요.
상담 문의 : 1566 - 3985
전 송 : 032 - 349 - 2585
031 - 315 - 8877
건강함으로 항상 행복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