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
명리신탐-초급강의 file 중 앞부분, 십간론에서 다음과 같은 구절을 읽었습니다.
“십간(十干)은 각각(各各)이 갖고 있는 기운(氣運)이 순수한 것으로 기(氣)의 취산(聚散)을 말할 뿐이며 방위적 개념이 약하므로 극(剋)은 있으되 충(沖)은 성립되지 않는다.”
이제야 천간 충(갑경충, 병임충...)을 암기하고 있는 초보자인 제게는 얼른 납득이 가지 않는 구절입니다. 사주 원국에서, 또는 대운 등에서 천간충을 논하는 것이 잘못된 것인가요? 천간 충에 대한 개념, 작용 등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도움말씀 부탁 드립니다.
답변...................
沖이라는 것은 剋의 일부로서 剋작용이 특화된 모습을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굳이 沖을 말하게 된다면 반드시 方位의 개념이 성립되어야 하며
方位의 개념이 성립되지 않는다면 그저 剋을 論할 뿐입니다
沖의 성립
-. 음양이 같아야 한다.
-. 오행이 극 되어야 한다.
-. 방위(계절)가 정반대로 되어야 한다.
天干과 地支..
1. 天圓地方(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
하늘은 방위적 개념이 없어 방향성이 주어지지 않으니 圓으로 말하는 것이며
땅은 동서남북 四方이 라는 방위가 규정되어 방향성이 결정되는 것을 말하게 되니
方이라 한 것이 됩니다.
2. 天動地靜
干은 氣的 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그 기운이 動하게 됩니다.
이것은 不定한 位(공간, 방위)를 갖게 되는 것으로 이미 沖의 개념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地支는 質的 작용이 靜한 상태로 자신의 位가 고정되게 되어 방위적 개념이
견고해지게 되니 沖을 論할 수 있게 됩니다..
3. 예
甲과 庚이 부딪치게 되는 경우
甲이라는 伸하는 기운과 庚이라는 屈하는 기운이 부딪치는 것이 됩니다.
甲이라는 方位가 東方이라는 포괄적 의미의 방위로 地支처럼 정확한 방위가 서지
않으며 氣의 聚散에 의해 그 形이 유지 되는 것이므로 그저 剋과 制를 論 할 뿐입니다..
寅과 申이 부딪치는 경우
寅이라는 方位는 卯라는 正東의 방위에 아직 이르지 못한 北東의 艮方을 말하는 것으로
자신의 位가 정확하게 정해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정 반대 방향이라는 개념이 성립되게
되며 이 方에 있는 申金을 만나게 되면 沖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질문 2.
천간 각각에는, 사주에 같이 있으면 좋은 천간이 있는데(병화는 임수가 있으면 좋다는 식), 일간이 병화일때 바로옆에 임수가 있어, 병임충의 관계에 있어도 좋다는 것으로 이해해도 되겠습니까? 일간의 충은 충으로 보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습니다만, 일간의 합은 일간의 본성을 잃는다하여 좋지않은 것으로 논하는데, 일간 충은 논하지 않는다면 모순되지않는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답변................
丙火와 壬水의 관계는 오행상으로는 水剋火라는 기본 틀에서 벗어 나지 못하지만 干支적 입장에서 보게 되면 꼭 剋의 관계만으로 말 할 수 없습니다..
丙火는 작용이 밝고 가벼워 위(上)에 머물게 되며 壬水는 기운이 무겁고 어둡기 때문에 아래(下)로 모이게 됩니다..두 기운이 丙火는 위에 이르고 壬水는 아래에 이르게 되는데 어찌 오행상으로 剋만을 論할 수 있겠습니까..?
중요한 것은 命을 바라보는 시각인데 五行적 시각에서 벗어나 干支적 입장에서 바라 보아야 합니다.
四柱의 구성은 五行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干支로 되어 있다는 것에 주의 해야 합니다.
五行으로 말할 수 있다면 木火土金水로 사주를 표현하면 될 것을 굳이 六十甲子 干支를 동원할 필요가 없겠죠..
질문 3.
천간충 중에, 갑경충, 병임충은 길한 작용으로, 을신충, 정계충은 흉한 작용으로 나누어 생각해도 되겠습니까?
답변..........
어느 쪽이 좋고 나쁘다 말할 수 없습니다. 命이 원하는 喜忌에 따라 달라지겠죠
하지만 甲庚의 작용보다 乙辛의 작용이 더 심화된 剋의 모습을 들어나게 됩니다..
4.
그리고, “월(月)의 천시(天時)를 얻는다”는 것은 무슨 뜻인지요.
답변.............
월지의 힘을 받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일간 입장에서 말한다면 이것을 득령이라 해도 무방하다 할 수 있겠군요.
天時: 월령의 도움을 얻은 것
地利: 일지의 도움을 얻은 것
人和: 비겁의 도움을 얻은 것
님의 건승을 기원하며...火風鼎 ..올림...
첫댓글 참 유익한 글입니다. 아주 중요한 내용들인데 조금 진도가 나가면 간과해 버리기 쉬운....꼼꼼이 읽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몇개월 전만 해도 잘 이해를 못했는데 이제는 조금이해가 됩니다. 공부의 힘인가 봅니다. 천간지지 체성이 무엇보다도 제일 중요하다는 것을 조금씩 느끼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개념정립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해 100% 미세한 설명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