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til We Meet” and “Swiri”>
for “Window on Culture” by Chang-soo Ko
The writer is a poet and a translator of poetry.
In recent weeks, I have seen two Korean films, “Until We Meet” and “Swiri.” These two movies contrast sharply in many respects, though both deal partially and fictionally with the south-north Korea issue. The one is about separated families, the other about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parts.
The first movie was written, directed and produced by Moon-jin Cho, a veteran film-director with some 50 movies to his credit including award-winning works. He is in his early sixties. The second movie, “Swiri” was written and directed by Jae-kyu Chang, a newly rising filmmaker in his 30’s. “Until We Meet” is a low-budget production while “Swiri” has broken the Korean record in high production cost. The first movie has a doubtful future at the box office while the second one has become an unheard-of Korean blockbuster. The two productions contrast conspicuously in subject matter, budget-size, , style, and audience response. The first one is a kind of family drama while the second is a spy-action movie. While the first one is largely directed at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he Korean War, the second one targets the younger generations – and understandably so.
Cho happens to be a friend of mine. I was invited to have a look at the screenplay and observe one of his first shootings on location. I spent a whole day with him while he was shooting several scenes. These observations together with conversations with him and his staff gave me revealing glimpses into the actualities of filmmaking in Korea today such as budget constraints. In his younger days, the film-director made his literary debut as a story writer, but later turned to a cinematic career.
“Until We Meet” is a kind of family drama involving a north Korean youth crossing the DMZ in search of his father living in south Korea. It is a touching tragic story about the failure of the son and the father to reunite due to the son’s loss of memory. The drama is well treated by the director who wrote the screenplay. Noticing some implausible situations in the story, I reflected on the importance of verisimilitude especially in movies dealing with day-to-day situations and historical events. I realized afresh the importance of the story and the story line in movies. Watching the previews, I could appreciate the skills of the film-director in weaving the narrative cut to cut, scene to scene, and sequence to sequence. He amply demonstrated his knowhow and experience gained in the course of his long cinematic career. His production is a low-budget, auteurial film. As a whole, “Until We Meet” for me is brilliant cinematically and in its narrative structure with an poignant sense of reality. As I understand, the film has been submitted to the Cannes film festival, though it has yet to come to the cinema-house.
The second movie, “Swiri,” at the first glance looked sophisticated technically, among other things. I could easily understand why it was fast becoming a blockbuster. It was well conceived, formed and delivered. I could easily guess how much brainstorming has gone into its planning and production stages. I was impressed by the amount and level of knowhow and technology that have gone into its making. I was amazed how the producer could have mobilized such excellent skills and facilities. Doubtless the film is one of the most sophisticated works technically and cinematically that Korea has produced, though I had some reservations about the believability of the story. At any rate I was very encouraged about a bright future for Korean cinema. “Swiri” has certainly set a new model and example for Korean movies in its efforts to secure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The film exemplifies a formidable infrastructure and a forward base for Korean cinema in moving out to world movie markets. With that kind of technical base and infrastructure, the Korean film industry will hopefully bring out more appealing and believable stories to tell world audiences. All in all, “Swiri” has given a big boost to the Korean film industry; it augurs well for the future of Korean cinema.
For many years now I have been grumbling about the failure of Korean cinema to capture world attention. I have wondered which are the most serious problems for Korean films from among subject matter, theme, story-telling, technical competency, budget , cultural tradition, imagination, or other problems involving substance and style.
Of course , “Until We Meet” and “Swiri” deal with certain aspects of the complex south-north Korea issue – and in fiction. Reflecting on “Until We Meet” as a low-budget auteurial film and “Swiri” as a high-budget entertainment-oriented movie, I conclude both these contrasting types of movies offer good models and chances for Korean cinema and both should be encouraged, pursued and supported. Film-making involves certain degrees of adventure and risk-taking. In the face of the plethora of films from all corners of the world that call for our daily attention, Korean filmmakers should not lose heart but press ahead with purpose and courage. Having observed the mainstream Korean film industry and independent film-making to a certain extent, and having been intimidated by the great numbers of movies that assail us daily, I tend to conclude this is an unavoidable challenge confronting the Korean filmmakers and producers, and that they should not give in but meet the challenge squarely. Film-making requires a high degree of planning, organization, networking as well as brilliant talent and daring flights of imagination. I hang high hopes on Korean cinema in claiming its well-deserved place in world cinema in the days to come.
Today, cinema, domestic or foreign, is part and parcel of our daily reality which cannot be easily ignored or shunned; to all intents and purposes, it is here to stay with us for a long time to come. Cinema has become a fellow traveler that will accompany us from cradle to grave and beyond. In streets and in subway trains I meet quite a few people who seem to behave as in movies. And I wonder whether we are forming a habit which makes us feel that, if we haven’t seen a certain movie, we have missed something indispensable.
Cinema today is one of the most attractive and competent commodities that vie for our time and money. Looking at bill boards, I visualize the next movies that are waiting pressingly in a long, unending queue. I cannot help but feel something is cooking all the time in all quarters. Needless to day, cinema offers us a great deal. Cinema offers us great relief from our daily anxiety and stress, and moments of uplifting artistic experience. Bravo! Cinema, Korean or foreign, but Korean first !
2011 Experimental Film and Video Festival in Seoul
by Chang Soo Ko, poet and experimental filmmaker
2011 Experimental Film and Video Festival in Seoul (Exis) took place at the cinematheque KOFA (Korean Film Archive) from 1 to 8 September. The festival was supported and sponsored, among others,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Korea Film Council, The Spanish Embassy in Seoul, The Spanish government, Korea Film Archive, and Mapo Cultural Foundation.
Apart from screening film/video works, the festival conducted conferences, forums, and workshops.
The festival was a memorable celebration of the experimental film. The festival screened over 100 entries from more than 40 countries.
In the words of Festival Director Dong-Hyun Park, the festival, in the past seven years, has contributed to diversifying films shown in Korea. Among other achievements, it has shown a large number of experimental film classics and has created the Asian Forum, an Asian experimental film network.
I happened to sit on the jury at the festival. In addition to the entries assigned to me, I saw a number of brilliant works, both domestic and foreign. Attending screenings of Spanish video works and a conference on Spain's video art history was enlightening. There was a video work featuring Salvador Dali, who made the legendary experimental film classic, "Un Chien Andalou (An Andalusian Dog)," together with Luis Bunuel.
I was greatly moved and inspired by video-works by video-artist Seoung-Ho Cho, who at the moment lives and works in New York, and has won several prestigious prizes at experimental film/video festivals including the grand prize at the 7th Annual Black Maria Film and Video Festival, one of the best-known experimental film festivals of the world. He has also won the international award for Video Art from ZKM, the media art museum of Germany. A dozen of his works were shown in the non-competitive section.
I was particularly impressed by his fabulous editing skills as well as his fertile artistic imagination. I reminded myself that I should acquire more editing skills. Film is an art of the editor as well as that of the director. Technique is a basic part of art; good art results from good technique. And it takes a special talent and skill to lift technique up to the state of art. The artist's ability to manipulate his medium is a key to embodying his artistic blueprint. I may say Cho presented a visual and auditory feast for the participants at large, and a role model for experimental film/video artists like me.
Generally speaking, the experimental film is associated with the avant-garde film, the poetic cinema, as well as Dadaist, Surrealist, even Underground artworks. It is often characterized for its lack of narrative structure, which is regarded as a distinguishing feature of commercial and documentary films. It does not necessarily abide by the grammatical rules of commercial and documentary films, which presumably have to maintain the narrative structure and observe a set of rules to make works presented understandable to the general viewing public. In other words the experimental film allows itself to conduct more experiments and explorations. It is more amenable to experimentation in all aspects of film. It has avant-garde qualities in that it explores new frontiers of film expression, both in form and content.
The experimental film has elements of expressionism in that it gives free expression to the author's vision, feelings and sentiments, paying little attention to possible audience response. Beyond the mere recording or reproduction of actual reality, it undertakes to diversity visual expressions; it seeks unique ways of expression. It often emphasizes the visual elements from among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film. It also explores the invisible world of dreams, fancies and the unconscious.
Some people may say that the experimental film is not a popular form of entertainment intended for the general audience but addresses a chosen few like-minded specialists.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it explores the frontiers of film technique and art. Like other kinds of art, it is open to development and evolution. Besides, even commercial and documentary filmmakers may choose to use the experimental film approach for part or whole of their work. Therefore, the scope of public interest and participation cannot be circumscribed in any way.
I realized, once again, th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large or small, are important places where international exchanges take place, where artists exchange notes and groom their hopes towards the future, and where artists and the audience share their artistic zeal and enthusiasm and foster their visions.
The Exis festival was a truly valuable film festival. I felt and shared a certain atmosphere of enthusiasm, aspiration, inspiration and renewed commitment among the artists and the audience. We all seemed to experience blissful moments and spiritual triumphs. It was an uplifting experience to say the least.
I concluded that events like this more than deserve full support and assistance, moral, financial and otherwise, as well as active participation by the general public. The end.
[guest column by Chang Soo Ko, poet and independent filmmaker]
The recent passing of master film-director Yu Hyon-Mok has brought a great loss for all of us in the cinema and other fields in Korea, and elsewhere in the world.. He was one of the greatest filmmakers Korea has produced. His movie Obaltan (오발탄 or The Accidentally Fired Bullet) was the best film in Korean film history on various opinion polls for a couple of decades. Personally, I regarded him as a mentor in film philosophy. Upon his demise, I was assigned the sad and painful duty of composing and reading a memorial poem at his final funeral ceremony.
The sad event occasioned some thoughts and reflections about my own position in filmmaking, as a dubious independent filmmaker depending largely on the strength of some recognition garnered at a few international video/film festivals and a long-abiding love for photography and film.
Having said this, I’ll now take the opportunity to speak about my own standpoint in filmmaking, and independent filmmaking at large in Korea these day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 number of excellent Korean independent movies I saw in recent months. These movies include, among others, Old Partner (워낭소리), Breathless (똥파리) and the Himalayas (히말라야).
Old Partner drew more than 3 million spectators, which would represent a box-office hit for many an average commercial movie. The movie addressed an issue which lay close to people’s heart and directly touched the heart-strings and imagination of the audience. Its topic and subject matter worked effectively with the spectator. And I suspected, the prevailing mood in society and around the world at the time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the financial crisis that swept the globe had some effect on the box-office. For me personally, Breathless was outstanding in terms of cinematic technique and workmanship, and in narrative structure. Breathless has earned recognition at some 13 different film festivals.
In my opinion, independent filmmaking offers an immense open playground where one could explore with relatively little fear of the mortal final consequences in profit and loss and the pain of fiasco of a commercial movie. Independent filmmaking allows far more mobility, free flights of imagination and spontaneity in creative ideation. Independent filmmakers, working in manageable units and with affordable budget, could pursue free-ranging topics and modes of expression as well as artistic excellence, with considerable agility and light armor. Incidentally, in my half-hearted and dubious commitment to filmmaking of any kind (at least in my present state of mind), I’ve been largely inclined toward the aleatory approach to filmmaking, leaving much to chance and improvisation, free from the awesome blue-print and balance sheet of the commercial movie. In this approach, the film will build up as one goes about shooting. More or less the film will shoot its way and the story evolve as the filmming proceeds. This is permissible with the independent filmmaker provided he is free from an ambition to turn out a masterpiece. The way I watch the movie scene, we have a plethora of masterpieces waiting in an endless queue.
The casual approach would be far superior to over-serious, long-planning and perfectionist one, especially for an independent filmmaker pulling himself up by the bootstrap of meager budget. Independent films in my view, allow more casualness in the filmmaking process from conception to delivery. The aleatory way would be amenable to free-thinking, free-dealing and free-wheeling independent filmmaker. As in the case of millions of still photographers around the globe these days, they would freely roam the world with a movie camera and conceive and contrive art works which hit their fancies. Somehow I’ve come to entertain a notion that casualness often whets creativity.
Hopefully, someday independent filmmakers will touch some mundane ecstasies and fancies on the part of the audience, remind them of their primordial cave of myths and collective memories in helping them live a fuller life, thereby courting the spectator’s attention and patronage more and more to their own independent movies. They’ll need to touch and move the spectator’s senses and soul with thrilling and sublimating action and drama, realistic imagery or flamboyant surreal visions.
In concluding, I might venture to say that the future is brilliant for Korean independent filmmakers in light of the tremendous artistic and creative urge, zeal and talent as demonstrated by Korean artists in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dance, fine arts, theater, film, etc. Korea has rich treasures of artistic and creative inspiration, talent and energy groomed by her variegated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her long checkered history. The end.
[guest column by Chang Soo Ko, poet and independent filmmaker]
The recent passing of master film-director Yu Hyon-Mok has brought a great loss for all of us in the cinema and other fields in Korea, and elsewhere in the world.. He was one of the greatest filmmakers Korea has produced. His movie Obaltan (오발탄 or The Accidentally Fired Bullet) was the best film in Korean film history on various opinion polls for a couple of decades. Personally, I regarded him as a mentor in film philosophy. Upon his demise, I was assigned the sad and painful duty of composing and reading a memorial poem at his final funeral ceremony.
The sad event occasioned some thoughts and reflections about my own position in filmmaking, as a dubious independent filmmaker depending largely on the strength of some recognition garnered at a few international video/film festivals and a long-abiding love for photography and film.
Having said this, I’ll now take the opportunity to speak about my own standpoint in filmmaking, and independent filmmaking at large in Korea these day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 number of excellent Korean independent movies I saw in recent months. These movies include, among others, Old Partner (워낭소리), Breathless (똥파리) and the Himalayas (히말라야).
Old Partner drew more than 3 million spectators, which would represent a box-office hit for many an average commercial movie. The movie addressed an issue which lay close to people’s heart and directly touched the heart-strings and imagination of the audience. Its topic and subject matter worked effectively with the spectator. And I suspected, the prevailing mood in society and around the world at the time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the financial crisis that swept the globe had some effect on the box-office. For me personally, Breathless was outstanding in terms of cinematic technique and workmanship, and in narrative structure. Breathless has earned recognition at some 13 different film festivals.
In my opinion, independent filmmaking offers an immense open playground where one could explore with relatively little fear of the mortal final consequences in profit and loss and the pain of fiasco of a commercial movie. Independent filmmaking allows far more mobility, free flights of imagination and spontaneity in creative ideation. Independent filmmakers, working in manageable units and with affordable budget, could pursue free-ranging topics and modes of expression as well as artistic excellence, with considerable agility and light armor. Incidentally, in my half-hearted and dubious commitment to filmmaking of any kind (at least in my present state of mind), I’ve been largely inclined toward the aleatory approach to filmmaking, leaving much to chance and improvisation, free from the awesome blue-print and balance sheet of the commercial movie. In this approach, the film will build up as one goes about shooting. More or less the film will shoot its way and the story evolve as the filmming proceeds. This is permissible with the independent filmmaker provided he is free from an ambition to turn out a masterpiece. The way I watch the movie scene, we have a plethora of masterpieces waiting in an endless queue.
The casual approach would be far superior to over-serious, long-planning and perfectionist one, especially for an independent filmmaker pulling himself up by the bootstrap of meager budget. Independent films in my view, allow more casualness in the filmmaking process from conception to delivery. The aleatory way would be amenable to free-thinking, free-dealing and free-wheeling independent filmmaker. As in the case of millions of still photographers around the globe these days, they would freely roam the world with a movie camera and conceive and contrive art works which hit their fancies. Somehow I’ve come to entertain a notion that casualness often whets creativity.
Hopefully, someday independent filmmakers will touch some mundane ecstasies and fancies on the part of the audience, remind them of their primordial cave of myths and collective memories in helping them live a fuller life, thereby courting the spectator’s attention and patronage more and more to their own independent movies. They’ll need to touch and move the spectator’s senses and soul with thrilling and sublimating action and drama, realistic imagery or flamboyant surreal visions.
In concluding, I might venture to say that the future is brilliant for Korean independent filmmakers in light of the tremendous artistic and creative urge, zeal and talent as demonstrated by Korean artists in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dance, fine arts, theater, film, etc. Korea has rich treasures of artistic and creative inspiration, talent and energy groomed by her variegated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her long checkered history. The end.
<고창수컬럼: (1) 한국영화는 어디로 가고 있나?>
근년에 와서 한국영화는 세계시장을 향하여 큰 발돋움을 하였다. 주로 한국 관객에게 국한되었던 종전의 한국영화와는 달리 이제 칸(Cannes), 베니스(Venice), 베를린(Berlin) 영화제등 세계의 3대 영화제를 위시하여 유럽, 미국을 포함한 세계 전역의 영화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쾌거를 이룩하였다. 이는 뛰어난 한국문화를 세계에 소개하는 입장을 떠나서도 바야흐로 문화의 시대에 당면한 한국의 문화상품으로 세계 시장을 공략하는데 있어서도 높은 고지를 차지하게 된 일대 뉴스이다.
그간 우리는 구미, 일본의 영화는 물론, 중국, 대만, 이란 등 제3세계의 영화작품이 세계인의 관심과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을 찬탄하는 한편 우리 스스로 세계무대를 향하여 발돋움하여 왔다. 필자로서는 상당 기간 한국영화의 세계 진출이 부진함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우리의 다른 분야에 비하여 영화예술의 기량이 부족하고 상상력이 부진한 것을 은근히 아쉬워하였다. 필자는 미국에서 거주하는 동안 일부 서구인들이 영화가 서구인의 전유물임을 자랑하는 것을 들을 일이 있다. 필자가 보기엔 근년에 <쉬리>(강재규 감독) <JSA>(박찬욱 감독) <박하사탕>(이창동 감독)등의 작품들은 한국영화사에서 획기적인 분수령을 이루었다. 칸 영화제에서 임권택감독의 <춘향뎐><취화선>등을 효시로 하여 본격적인 평가를 받고 홍상수감독의 작품들이 국제 영화제와 프랑스 영화관객의 관심을 끌고, <오아시스>(이창동 감독) <올드보이>(박찬욱 감독)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김기덕 감독) <빈집>(김기덕 감독) 등의 작품들이 해외영화제에서 각광을 받고, 국내 영화시장에서 <태극기를 휘날리며>(강재규 감독) <실미도>(강우석 감독) 등이 천만 관객을 돌파하는 사례를 만들어 냄으로써 국내외로 한국 영화의 붐 내지 르네쌍스를 초래하는 전례 없는 한국영화의 전성기를 실현하고 있는 셈이다. 참으로 우리의 우수한 문화가 찬란한 꽃을 피우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일본에서 많은 팬을 확보한 <겨울연가>(윤석호 감독)를 위시하여 한국영화들은 아시아 및 여타 지역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한류”에 불을 붙였고 한국의 문화뿐 아니라 우리의 국력을 세계에 과시하고 세계인의 마음 속에 한국의 문화전통에 대한 선망의 정서를 촉발하게 되었다. 이는 그간 세계화 시대에 한국의 위상에 대하여
자못 궁금하던 우리에게는 어둠을 환히 밝히는 횃불과 같은 것이다.
종전에는 세계 관객의 관심 밖에 머무르던 우리의 상업영화 및 독립영화는 이제 세계관객의 예술적 정열을 자극하고 그들의 정신.문화 생활의 중심에 자리잡게 되었다. 그것은 우리의 영화제작기술이 세게 수준에 미치게 되고 우리의 일상생활과 문화.역사 속에서 세계인의 흥미를 자아내고 감동시키는 이야기 거리와 상상의 세계를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분명한 증거인 것이다. 이는 문화뿐 아니라 정치, 사회, 경제 등 여러 분야에서 한국과 한국인의 위상이 도약함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필자: 시인, 영상작가, 문화컬럼니스트
<Whither Korean Cinema?>
by Chang Soo Ko - poet, filmmaker, columnist
In the more recent years, Korean cinema has moved by leaps and bounds toward the world movie market. Unlike in the past when Korean cinema was largely confined to Korean cinema houses, it has scored remarkable feats at maj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such as the Cannes, Venice and Berlin festivals but captured the hearts of movie audienc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Europe and America. In addition to introducing our unique culture and lifestyle to the outside world, this is a big news about Korean cultural commodities reaching the world market in this epoch of culture. While admiring Chinese, Taiwanese, Japanese and other Asian films winning high tributes from spectators around the globe, we’ve been aspiring toward the self-same world arena. While for a long time I was anxious to see Korean movies accessing the world market; I was afraid that, in stark contrast to other arts, our filmmaking capacity fell short of the mark and that our imagination was not quite up to par. While staying in Western countries, I occasionally heard Westerners bragging film was exclusive to Western talent.
It is my considered view that Shiri (directed by Je-gyu Kang), JSA (directed by Park Chan Wook), Perpermint Candy (directed by Chang-dong Lee) were among movies which constituted a watershed in Korean film history. Korean films spearheaded by ChunHyang and Chihwaseon (both directed by Kwon-taek Im), followed by Old Boy (directed by Park Chan Wook) and Binjip (directed by Ki-duk Kim) won both praise and prize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director Sang-soo Hong’s works drew the spectator’s admiration at film festivals, particularly from French film audiences. Meanwhile, Taegukgi (directed by Je-gyu Kang) and Silmido (directed by Woo-suk Kang) became blockbusters drawing over 10 million spectators. These and other movies have brought about a boom or a renaissance for Korean cinema, catapulting to great heights of excellence and recognition. Our unique culture - film and otherwise - has begun to blossom splendidly.
Winter Sonata (directed by Suk-ho Yu),which won a host of fans in Japan, and other Korean movies have added fuel to the “Korean Waves” that has captured the hearts and minds of spectators in Asia and elsewhere, showcasing the rich Korean culture and traditions. Besides, they have largely removed much of our uncertainty and dubiety about Korean movies in the past decades.
Our commercial and independent films, which largely remained at the peripheries have begun to appeal to the artistic sensibilities of world audiences, now occupying a place at the center of their spiritual and cultural life. This clearly indicates that our movie-making technology has attained global standards, our filmmakers weaving stories from within our daily life and from our cultural heritage which move and fascinate world audiences and by creating intriguing worlds of imagination and fantasy. All in all, this means a heartening promise not only for our cultural caliber but also for other areas of our endeavor.
[초현실주의 영화]
1. 초현실주의 운동
1) 개론
초현실주의 운동은 제1차세계대전과 2차대전 사이 1920년대 Paris를 중심으로 전개된 문학과 미술 분야에서의 운동임. 프랑스에서 Andre Breton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는바, Andre Breton은 1924년 초현실주의 선언 (menifeste au surrealisme)을 발표함.
Andre Breton, Jean Cocteau 등의 작가와 Saovador Dali, Joan Miro, Rene Magritte, Tangy, Max Ernst, Duchamp 등 화가가 참여함.
그들은 Freud 심리학의 여향을 많이 받고, 특히 잠재의식과 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무의식이 자연 세계 보다 더 사실적인 세계를 나타낸다고 믿었다.
미술에 있어서는 일상적인 사물을 몽상적인 setting 에 놓고 얼핏 보아서 전혀 상관이 없는 사물들을 병치시켰다. 예술 및 문학 운동으로서 꿈에 시현된 상상력을 의식적 제어 없이 표현하는 것을 강조함.
Surrealism은 Dadaism에서 파생되었다는 말도 있으나 Baudelaire, Rimbaud 등의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보는 사람도 많다.
문학운동으로서는 주로 France에 국한되었으나 현대미술운동으로서는
초현실주의는 그 목표가 무정부주의적이며 합리성과 형식을 부정함에는 동질성이 있으나 Dada는 모든 것을 무의미 상태로 축소하였지만 초현실주의는 긍정적이었고 무의식의 작용과 인간심리에 대한 성과 죽음의 영향에 관한 Freud 의 정신분석학 사상에 영향을 많이 받고 소재를 문자 그대로 표현하는 것을 무시하고 서로 관련성이 없는 형태와 개념이 상호작용, 발생하는 상징적이고 몽환적인 세계를 그려냈다. 즉 눈 보다는 마음이 보는 세계를 표출함.
문학 운동으로 시작된 초현실주의의 기수 Andre Breton은 Paul Eluard, Pierre Reverdy와 같이 일했고, 논리적이 아니고 심리적인 접근 방법을 취함.
2)Dadaism
ㄷ다이즘은 코와 New York에서 1915-16에 시작되어 Berlin과 Paris로 확산된 예술 운동임. Dada라는 이름은 처음 시인 Tristan Tsara와 화가 Jean Arp, Marcel Duchamp, Janco등이 사용함.
Dada는 의도적으로 도전적이었으며 미학적 선입관을 파괴하려는 목표가 있었다. 기존 예술, 철학, 논리를 왜곡, 파괴하고 1차세계대전의 환멸, 전쟁의 광기에 대한 저항으로서 의도적인 광란으로 대체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다다주의자들은 “ready-mades”, 무의미 시, collage, 무정부주의적 활자법, 망칙한 극장 사건들을 실험대상으로 함.
다다는 초현실주의의 전주곡이었으며, 1923년에 사실상 끝났으나 그 후 많은 예술운동에 여향을 줌.
사념과 진술간의 논리적 관계를 억제, 절대 자유를 구가하고, 무의미한 “성명서” 들을 발표함.
비슷한 운동이 독일, 홀란드, 이태리, 러시아, 스페인 등에 확산됨. 1924년경 이 운동은 초현실주읠 발전한.
어떤 면에서 보아 반 사실적 소설과 부조리 연극의 전초였음.
다다는 예술 자체의 존재를 반대하고 반미학적 창작물을 만들내어 대중을 경악, 실망시킴.
[Dadaism과 Surrealism]
20세기초는 예술에 있어서 전위적 실험의 활발했다. 당시 전위예술의 중심지였던 파리에는 예술 표현의 새로운 방법을 발견하려는 시도가 현저했는데, 특히 조형예술에 있어서 여러 가지 주의주장이 대두하였다. 그 가운데 입체주의가 그랬는데 입체주의는 회화와 조각뿐 아니라 문학과 영화 분야에서도 파편화 경향이 짙어졌다. 1차대전 이후 전위예술 운동에는 냉소주의, 환멸, 심지어 허무주의 풍조가 불거졌다.
Dadaism 은 이러한 사회적, 예술적 환경에서 발생하였다. 화가, 작가, 지성인들은 문명에 대한 강한 반발로서 이 운동에 가담하였다. 그들은 소위 문명 자체가 세계대전의 요인이었다고 생각하였다. 유머, 비합리성(비이성성), outlandishness을 주 무기로 하는 이들 미신타파주의자는 전통적 가치체계를 무너트리려고 그 대신 개인주의, 향락주의, 무정부주의를 내세웠다. 이들은 반지성적, 반도덕적, 반미학적이었다. 모든 사회적 금기 inhibitions- 성적, 예술적, 개인적 금기- 를 무시하였다. 다다들은 검열받지 않은 유치한 즉흥성을 구가하였다. 다다들은 전통문화와 fine arts이 파산되었다고, 근본적으로 야만적인 혁명가들은 이들 광기들은 중산층 문화의 보루를 공격하므로써 epater la bourgeoisie하려고 하였다. 새 운동은 저녹적 미학에 빠졌고 예술에 있어서 decency와 “양식”에 대한 전면적 공격을 가했다. 다다는 전혀 새로운 예술 –자유롭고, 야비하고, 재미있고 흥미로운- 예술을 만들려고 하였다. 예술은 무조건 혁명 그 자체여야 한다고 그들은 외쳤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이 돌았다고 생각했다.
Dadaist들은 표현수단으로 영화를 택했는데 결국 영화는 새로운 매체로서 미학적 전통이 얕았고 그 발전을 억제할 규칙이 별로 없었다. Dadaist는 특히 Mack Sennett의 희극에 나오는 미친 듯한 추격장면에 열광하였는바, 그들이 보기엔 인생의 부조리를 잘 반영한다고 믿었다. 영화는 또한 eclectic하며, 다다들은 전통적 기술과 예술적 순수성을 멸시한 다다는 영화매체의 실험적 가능성에 열광하였다. 닥치는 대로 촬영한 것을 영화를 만들 수 있었다. 무엇이든 할 수 있을 때에 문제 될 것이 하나도 없는 것이다. 다다들은 영화에 내러티브 구조를 사용하지 않았는데 그들은 플롯plot는 논리와 coherence에 기초하고 있다고 믿었다. 편집을 하면 sequence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장면을 보여줄 수 있으며 따라서 감독은 “의미”가 없는 넌센스의 세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사실상 다다는 예술의 유기적 개념을 모두 거부하였다.
Jean Epstein은 1921년 “스토리도 없고, 머리도 꼬리도 시작도 끝도 없는 상황만이 존재한다”라고 선언하였다.
다다의 음침한 음울한 철학적인 함축에도 불구하고 영화 자체는 즐겁고, 해방적이고 재미가 있었다. 1920년대에는 이들 영화의 상영과정은 영화 자체 보다 더 재미있었다. 1923년 파리 체류 중 미국사진작가 Man Ray는 어느 다다 모임을 위한 영화를 만들어줄 것을 요청받고, 압핀, button 등의 물건을 필름 우에 뿌려서The Return to Reason 이라는 영화를 만들어냈다. 그는 나체의 여인이 창문 앞에서 몸을 고격하게 움직이고 햇빛과 그림자가 그녀의 상반신에 추상적인 그림자를 던지는 장면도 포함시켰다. 그는 이 장면들을 풀과 섞어서 날조하듯 편집하였다. 상영장에서는 시인들이 알지 못할 시 구절을 고래고래 외우고 사이렌을 울리고 종을 치는 가운데 Ray의 영화는 영사기 속에서 찢어졌다.
영화는 결국 하나의 폭동으로 이어지고 관중은 영사실을 부시는 광란이 벌어졌다. 어느 학자는 이것이 성공적인 다다 행상였다고 평하였다.
다다 영화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1924년에 제작된 Rene Clair 작 Entr’acte와Fernand Leger의 Balet mecanique였다.
Surrealism은 어조, 내용, 기술에 있어서 dadaism과는 달랐다. Surrealism은 의식적으로 “예술성”을 표방했고 신비, anxiety와 과대망상 paranoia을 강조하였다. 유머도 성질이 달랐다. 재미와 ancorda이 특징인 다다의 jolly rambunctiousness 대신에 Surrealist 희극은 그로테스크와 macabre의 경향이 짙었다. 이들 영화에 나오는 위트는 일종의 black comedy성격을 띄었으며 병적인 농담과 잔인성을 강조했다.
스페인 출신 Bunuel은 그 희극성이 도착적인 데가 있었다. 맑스주의의 영향을 받은 초현실주의자들은 그 밚ㅇ이 좀더 신중하고 체계적이었다. 그들은 bourgeois 가치가 silly 할 뿐 아니라 위험하고 repressive 하다고 여겼다. 다다의 무정부 상태가 새로운 좌경적 정치적 색채를 띄고 자본주의와 그들이 반도적이라고 생각하는 사회제도 특히 카톨릭교회를 더 노골적으로 공격하였다. 1930년대에 이 맑스주의 경향은 특히 Bunuel의 작품에서 더 표면화 되었다.
Surrealism은 Freud의 영향이 컸는데 그의 사상은 당시의 지성인들 사이에 유행하였다. Freud의 무의식에 대한 이론 그 자체의 언어를 지닌 존재론으로서의 꿈에 대한 관심, 성sex의 상징에 대한 강조는 영화작가들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 잠재의식의 우물을 파면 더 참다운 현실이 나타나고 의식적인 행태를 좌우하는 현실이 나타날 것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초현실주의자들은 정상보다는 ㅂㅇ적인 상태를 탐색하고, 깨어있는 상태보다는 꿈과 악몽을 선호하였다. 이들 예술가들은 노이로제, 히스테리, 광기 등에 열중하였다.
초현실주의자들은 모든 원시 미술, 취함, 어린이 게임, 판타지, 사회적 aberration일탈, 에 큰 관심을 보였다.
그들은 특히 통제되지 않은 예술행위, automatism에 열광하였다. 의식의 흐름이라는 문학적 테크닉의 기초가 된 자유연상법은 많은 초현실주의 영화에 활용되었다. 영화는 꿈의 해괴한 정확성을 표출하는 이상적인 매체라고 믿었으며, Dali의 말대로 예술은 “구체적인 비합리성”이라고 믿었다.
초현실주의는 다다의 유산을 dw지 않았으며 다다처럼 대중의 분노를 불러내는 능력이 있었다. 1930년에 Bunuel이 감독한 L’Age d’Or는 첫 상영시 일대 센세이션을 야기시켰다. 이 영화는 결국 금지되었는데 이는 맑스와 프로이드를 괴상하게 섞어놓은 것 같은 작품이며 야만적인 정치, 종교적 풍자, 사디즘, 매소키즘, 무책임한 잔인성 등의 장면으로 차 있다.
초현실주의자의 가장 뛰어난 영상 작가는 Jean Cocteau였다. 자기는 초현실주의자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Jean Cocteau는 화가, 시인, 비평가, 극작가, 소설가로 두각을 나타냈다. 그는 예술 장르를 잘 구분하지 않고, 말, 소리, 또는 영상으로 작품을 만드는 사람은 모두 시인이라고 생각했다. 영상시인은 “빛의 잉크”로 시를 쓸 뿐이었다. 영화는 사상을 담은 그릇으로는 가장 좋은 그릇이며 시인-감독으로 하여금 잠이나 꿈에서만 볼 수 있는 세계를 관중에게 보여주었다. 그의 올페우스 삼중주 Orpheus trilogy인 Blood of a Poet(1930), Orpheus(1950)과 Testament of Orpheus는 시적 창작 신비를 탐색하는 작품이었다.
일반적으로 다다 보다 테크닉을 덜 중요시한 초현실주의는 비교적 더 현실적이다. 초현실주의자들은 그들의 mis-en-scene들이 혼란스러운 것이 특징이다. 사물은 통상적인 맥락에서 이탈되어 있고 자의적이고 엉뚱한 자리에 놓이게 된다.
Un Chien Andalou(An Andalusian Dog)에서 Bunuel 광 Dali는 당나귀 시체를 피아노 위에 놓는 장면을 연출한다. 아무런 설명이나 해명이 없이 관중으로 하여금 해괴한 장면과 사건의 이유를 스스로 추축하게 만든다. 초현실주의는 이런 시상스러운 것을 그것 자체로 즐겼으며 자기들의 작품에 대한 비평가들의 해석에 냉소하였다. 개가 전혀 나오지 않는 영화에 대하여 “이 영화는 아무것도 상징하지 않는다”라고 해명하였다.
<세계적 사진작가 Sebastiao Salgado 한국전>
현존하는 다큐멘터리 사진의 거장 Sebastiao Salgado 한국전이 7월 7일부터 9월 3일까지 서울신문사 건물(광화문 근처 프레스센터 건물) 1층에 있는 서울갤러리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세계가 낳은 뛰어난 사진작가의 사진전에는 170 여편의 유명한 사진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일반입장료는 8천원이나, 15명 이상의 단체는 일인당 1천원이며, 65세 이상은 무료입니다.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과 실험영화>
고 창 수 (시인, 영상작가, 컬럼니스트)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EXiS2005: Experimental and Video Festival)가 2005년 9월 7일- 9월13일 사이에 서울 낙원동에 위치한 서울아트시네마와 삼청동에 있는 SpaceCell에서 개최된다. 이는 국내 유일의 실험영화축제이며 “영화? 영화!”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있다. 주최: 다이애고날 필름 아카이브; 주관: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집행위원회: 후원: 서울특별시/문화관광부/영화진흥위원회/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한국독립영화협회.
올해 2회를 맞이하는 이 페스티벌은 국제영화제로 그 규모를 넓히게 된다. 실험영화의 여러 가지 측면 중에서 아카데믹하고 전위적인 도전정신을 지니고 있고 또한 이를 높은 예술적 수준으로 승화시키는 작품들만을 추구하는 영화제이다. 아시아에서 거의 유일하게 실험영화만을 고집하는 영화제 중 하나로 이미 전 세계의 많은 실험영화인들의 폭넓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기획부문보다는 경쟁 또는 비경쟁 부문을 통해 현재 활동하고 있는 또는 현재 활동하거나 시작하려는 국내외 작가들을 현시점에서 소개하려고 한다. 올해의 슬로건은 “영화? 영화!”이나, 영화에 대한 본질적 탐구는 영화의 본질적인 요소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새롭게 생각해보는 과정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한 깨달음과 더불어 영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다. 상영작의 수준과 그 수는 다른 어느 대규모 국제 영화제와 맞먹는다.
영화의 본질을 집요하게 탐구하며 전통적인 영화의 표현방식을 근본부터 철저하게 해체하고 새롭게 구성했던 홀리스 프램튼(Hollis Frampton)의 회고전을 통해 선보이는 고전들은 물론이고 가장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혁신적으로 새로운 차원의 이미지를 창조해내는 컴퓨터그래픽 작품들은 테크노풍의 현대적 전자음과 어울린다.
올해 처음으로 국제영화제로 도약의 기회를 맞이하는 EXiS2005는 세계 곳곳에서 보내준 많은 관심으로 예상보다 많은, 총 30개 이상의 국가에서 출품한 450여 개의 작품들이 예심에 참가했다. 그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예술적인 실험을 보여준 96개 작품을 선정, 국제경쟁부문에서 상영한다. 개막작은 미국의 대표적 실험영화작가인 Hollis Frampton 작 “Nostalgia”이며 폐막작은 경쟁부문 상영작 중 각 부문 수상작으로 결정된 작품이다. 그 외 중요행사로서는 Hollis Frampton 회고전, Robert Haller의 실험영화 강연회 등이 계획되어 있다. (이상 주최측 자료에 의거함)
실험영화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는 일이 있는데 나는 이런 비근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실험비행사(test pilot)가 새로 제작된 또는 고안된 비행기를 시험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실험비행사는 그 항공기의 본질, 목적, 특성, 성능, 가능성 등의 여러 가지 한계성을 시험, 실험해 본다고 말할 수 있다. 그는 비행기가 다할 수 있는 기술적 또는 기교적 가능성을 모험적으로 탐색, 실험해 볼 것이다. 즉 일반인들이 타는 여객기에서는 속도, 고도, 운행 여러 면에서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한계, 비행의 안락함, 안전성 등을 고려해서 어떤 한계를 넘지 않겠으나 시험비행에서는 일반 탑승객도 염두에 두겠지만 항공기 자체의 한계점을 탐색, 시험해 보는 경우도 있을 법 하다. 같은 맥락에서, 일반 관객의 영화에 대한 감수성, 기대, 도덕-윤리적 태도 등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 대중영화작품과 비교해 볼 때, 실험 영화는 일반적, 상식적인 기준이나 여망, 미적-기술적 표준 보다는 영화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 예술적 본질과 가능성, 한계성 등을 최대한으로 시험, 탐색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일반 관객 보다는 매니아, 전문가, 아방가드적인 특별하고 제한된 시청자를 상대로 하기 때문에 상업영화로서 만들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러나 실험영화는 영화 전반의 첨단을 아우르는 전위적 위치를 차지하며, 일반 영화작가들이 실험영화에서 자기 영화의 아이디어를 얻어가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고 있다. 그리고 작가에 따라서는 상업영화 속에 실험영화를 삽입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영화를 흔히 허구(fiction), 기록(documentary), 전위(avant-garde) 영화로 구분하는데, 그러한 경우 실험영화는 전위에 속할 것이다. 전위영화는 한 때 실험영화(experimental film), 시적영화(poetic cinema), 독립영화(independent cinema), 지하영화(underground)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려졌다.
영화사가들은 전위영화를 다다(Dadaist) 및 초현실주의(Surrealist) 영화(1920-1931), 시적영화 및 실험영화(1954-1960), 구조주의 영화(1954-1960)로 나누는 경우가 있다. 실험영화는 그 실험성 때문에 표현주의적 표현법을 활용하고 농축되든가 왜곡된 기발한 영상, 생략-난해하고, 비논리적-비현실적-부조리한 내용과 영상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많고 이상스러운 특수효과를 쓰는 때가 많다.
우리에게 익숙한 실험영화 작품 및 작가로서는 아래를 들 수 있을 것이다:
A Trip to the Moon(1902년 Georges Melies 작), Un Chien Andalous(1929년Luis Bunuel 및 Salvador Dali 작), The Blood of a Poet(1930년 Jean Cocteau 작), Meshes of the Afternoon(1943년 Maya Deren 작), Dog Star Man (1959-1964년 Stan Brahkage 작), Allures(1962년 Jordan Belson 작), Empire(Andy Warhol작: Empire State Building을 8시간 보여주는 작품). 본인 생각으로는 현대 영화작가 중에서도 Stanley Kubric, Ingmar Bergman, Michelangelo Antonioni, Federico Fellini 등등의 작가들은 그들의 영화작품 안에 실험적인 장면들을 많이 만들어냈다.
디지털 영상시대이고 변화와 변혁의 격동기인 오늘 날 영화는 holograph, multiple projections, computer graphics 등 다종다양한 매체 및 영사방법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실험영화의 장래 전개는 그 양상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영화의 기술적, 예술적 변화와 더불어 “The only constant is change”(변하지 않는 것은 변화 밖에 없다)라는 옛 격언을 상기하면서, 우리는 급격한 변화와 변천에 적절히 대처해야 할 것이다.
필자: 고창수(시인, 영상작가, 컬럼니스트)
<Seoul Experimental and Video Festival (EXiS2005) and the Experimental Film>
EXiS2005 will take place September 7 - 13 at the Seoul Art Cinema and SpaceCell, respectively located at Nakwon-dong and Sam-cheong-dong. This is the only experimental film festival of its kind and carries the slogan “Cinema? Cinema!”this year. It’s organized and hosted by the Diagonal Film Archive and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Seoul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Festival; sponsored by the Seoul Metropolitan Cit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Film Promotion Committee, the Korea Cinemateque Council, and the Korea Independent Filmmakers Association.
This festival, which greets its second anniversary this year, is enlarging its scope as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film festival is characterized by an academic and avant-garde spirit of challenge and seeks works which sublimate the spirit to a high artistic standard. As one of the film festivals in Asia which insist on experimental films, the Seoul festival has come to attract wide and broad attention from numerous experimental filmmakers of the world. The festival aims to introduce filmmakers, both domestic and overseas, who are actively engaged or are beginners in the area at the present point in time. This year’s festival slogan is “Cinema? Cinema!” The quest for the essential qualities of film necessarily involves an exhaustive analysis of and an innovative thinking about the quintessence of film. Its real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it offers a fresh realization about and a new perspective on film. The Seoul festival’s standards in terms of the works screened and their numbers equal those of a bi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classic film works are showcased, among others, through the retrospective screening of the works of Hollis Frampton who deconstructed and newly organized the traditional modalities of cinematic expression by delving into the essential properties of film. Works of computer graphics which create new dimensions of imagery by using newest technology go well with modern electronic sounds of the techno type.
EXiS2005, which this year for the first time finds an opportunity to leap to new heights as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ill be screening more than 450 entries from over 30 countries, which far exceed usual expectations. The opening movie happens to be Nostalgia by Hollis Frampton, who is a representative experimental filmmaker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closing ceremony will feature award-winners from each category. (The above is the writer’s unofficial translation of the host’s publicity material.)
I have often been asked the basic nature of the experimental film. My answer has been largely based on an analogy drawn from test flights. I think we can visualize test pilots who test newly-made or -conceived airplanes. Test pilots would presumably test and experiment with an airplane’s essential qualities, purpose, special functions and performance, potentials, etc. They would explore and test the technological, technical and artistic possibilities of the aircraft. While ordinary passenger planes would not disregard or transgress the physical and spiritual limits, safety and comfort levels of an ordinary passenger in terms of speed, altitude, operational modalities, etc., test pilots would imaginably cautiously venture into the outer edges of the airplane’s limitations while keeping in mind the ordinary passenger. By the same token - in contrast to standard popular movies which would stay within the boundaries of normal sensitivities, expectations and moral-ethical attitudes of the average spectator, the experimental filmmaker may test and explore to a maximum extent the film’s technical and artistic potentials and limitations. In that regard, the experimental film would normally appeal more to film buffs and maniacs, film specialists as well as avant-garde filmmakers. Therefore, more often than not, they may very well fail to be produced as a commercial movie. Being an avant-garde in the craft of filmmaking, experimental films may occasionally offer fresh insight and inspiration for ordinary movie-makers. Movie-directors may often glean fresh insight and inspiration from experimental works.
Some film writers classify film into Fiction, Documentary, and Avant-garde categories. In that case, the experimental film would naturally belong to the avant-garde. The avant-garde film has been called by different names, i.e. experimental film, poetic cinema, independent cinema, underground film, etc.
Film historians have categorized the avant-garde film into Dadaist and Surrealist Film (1920-1931), Poetic Cinema and Experimental Film (1954-1960), Structurist Film (1954-1960), among others. The experimental film, particularly because of its experimental nature, massively utilizes expressionistic modes of cinematic expression together with condensed or distorted imagery, elliptical-difficult and illogical-unrealistic-absurd content and imagery as well as outlandish special effects.
Some of the better-known experimental works and authors familiar to us would include the following:
A Trip to the Moon (directed by Georges Melies in 1902), Un Chien Andalous (directed by Luis Bunel and Salvador Dali in 1929), The Blood of a Poet (directed by Jean Cocteau in 1930), Meshes of the Afternoon (directed by Maya Deren in 1943), Dog Star Man (directed by Stan Brahkage in 1959-1964), Allures (directed by Jordan Belson in 1962), Empire (directed by Andy Warhol in 1930-1987). In my view, contemporary filmmakers such as Stanley Kubric, Ingmar Bergman, Michelangelo Antonioni and Federico Fellini, among others, have occasionally created footages of experimental film for their own commercial productions.
In this age of digital imagery and maelstroms of change and innovation, today’s film employs a whole series of new and novel media and modes of presentation including holographic cinema, multiple projection environments and videotronics as well as computer graphics, among many other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s not easy to predict the future manifestations and evolution of the experimental film. We’d would do well to face with a corresponding mindset the whirling changes and innovations in the technical and artistic aspects of film and by recalling the ancient maxim, “The only constant is change.”
By Chang Soo Ko (poet, filmmaker, columnist)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과 실험영화>
고 창 수 (시인, 영상작가, 컬럼니스트)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EXiS2005: Experimental and Video Festival)가 2005년 9월 7일- 9월13일 사이에 서울 낙원동에 위치한 서울아트시네마와 삼청동에 있는 SpaceCell에서 개최된다. 이는 국내 유일의 실험영화축제이며 “영화? 영화!”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있다. 주최: 다이애고날 필름 아카이브; 주관: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집행위원회: 후원: 서울특별시/문화관광부/영화진흥위원회/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한국독립영화협회.
올해 2회를 맞이하는 이 페스티벌은 국제영화제로 그 규모를 넓히게 된다. 실험영화의 여러 가지 측면 중에서 아카데믹하고 전위적인 도전정신을 지니고 있고 또한 이를 높은 예술적 수준으로 승화시키는 작품들만을 추구하는 영화제이다. 아시아에서 거의 유일하게 실험영화만을 고집하는 영화제 중 하나로 이미 전 세계의 많은 실험영화인들의 폭넓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기획부문보다는 경쟁 또는 비경쟁 부문을 통해 현재 활동하고 있는 또는 현재 활동하거나 시작하려는 국내외 작가들을 현시점에서 소개하려고 한다. 올해의 슬로건은 “영화? 영화!”이나, 영화에 대한 본질적 탐구는 영화의 본질적인 요소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새롭게 생각해보는 과정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한 깨달음과 더불어 영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다. 상영작의 수준과 그 수는 다른 어느 대규모 국제 영화제와 맞먹는다.
영화의 본질을 집요하게 탐구하며 전통적인 영화의 표현방식을 근본부터 철저하게 해체하고 새롭게 구성했던 홀리스 프램튼(Hollis Frampton)의 회고전을 통해 선보이는 고전들은 물론이고 가장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혁신적으로 새로운 차원의 이미지를 창조해내는 컴퓨터그래픽 작품들은 테크노풍의 현대적 전자음과 어울린다.
올해 처음으로 국제영화제로 도약의 기회를 맞이하는 EXiS2005는 세계 곳곳에서 보내준 많은 관심으로 예상보다 많은, 총 30개 이상의 국가에서 출품한 450여 개의 작품들이 예심에 참가했다. 그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예술적인 실험을 보여준 96개 작품을 선정, 국제경쟁부문에서 상영한다. 개막작은 미국의 대표적 실험영화작가인 Hollis Frampton 작 “Nostalgia”이며 폐막작은 경쟁부문 상영작 중 각 부문 수상작으로 결정된 작품이다. 그 외 중요행사로서는 Hollis Frampton 회고전, Robert Haller의 실험영화 강연회 등이 계획되어 있다. (이상 주최측 자료에 의거함)
실험영화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받는 일이 있는데 나는 이런 비근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실험비행사(test pilot)가 새로 제작된 또는 고안된 비행기를 시험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실험비행사는 그 항공기의 본질, 목적, 특성, 성능, 가능성 등의 여러 가지 한계성을 시험, 실험해 본다고 말할 수 있다. 그는 비행기가 다할 수 있는 기술적 또는 기교적 가능성을 모험적으로 탐색, 실험해 볼 것이다. 즉 일반인들이 타는 여객기에서는 속도, 고도, 운행 여러 면에서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한계, 비행의 안락함, 안전성 등을 고려해서 어떤 한계를 넘지 않겠으나 시험비행에서는 일반 탑승객도 염두에 두겠지만 항공기 자체의 한계점을 탐색, 시험해 보는 경우도 있을 법 하다. 같은 맥락에서, 일반 관객의 영화에 대한 감수성, 기대, 도덕-윤리적 태도 등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 대중영화작품과 비교해 볼 때, 실험 영화는 일반적, 상식적인 기준이나 여망, 미적-기술적 표준 보다는 영화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 예술적 본질과 가능성, 한계성 등을 최대한으로 시험, 탐색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일반 관객 보다는 매니아, 전문가, 아방가드적인 특별하고 제한된 시청자를 상대로 하기 때문에 상업영화로서 만들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러나 실험영화는 영화 전반의 첨단을 아우르는 전위적 위치를 차지하며, 일반 영화작가들이 실험영화에서 자기 영화의 아이디어를 얻어가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고 있다. 그리고 작가에 따라서는 상업영화 속에 실험영화를 삽입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영화를 흔히 허구(fiction), 기록(documentary), 전위(avant-garde) 영화로 구분하는데, 그러한 경우 실험영화는 전위에 속할 것이다. 전위영화는 한 때 실험영화(experimental film), 시적영화(poetic cinema), 독립영화(independent cinema), 지하영화(underground)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려졌다.
영화사가들은 전위영화를 다다(Dadaist) 및 초현실주의(Surrealist) 영화(1920-1931), 시적영화 및 실험영화(1954-1960), 구조주의 영화(1954-1960)로 나누는 경우가 있다. 실험영화는 그 실험성 때문에 표현주의적 표현법을 활용하고 농축되든가 왜곡된 기발한 영상, 생략-난해하고, 비논리적-비현실적-부조리한 내용과 영상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많고 이상스러운 특수효과를 쓰는 때가 많다.
우리에게 익숙한 실험영화 작품 및 작가로서는 아래를 들 수 있을 것이다:
A Trip to the Moon(1902년 Georges Melies 작), Un Chien Andalous(1929년Luis Bunuel 및 Salvador Dali 작), The Blood of a Poet(1930년 Jean Cocteau 작), Meshes of the Afternoon(1943년 Maya Deren 작), Dog Star Man (1959-1964년 Stan Brahkage 작), Allures(1962년 Jordan Belson 작), Empire(Andy Warhol작: Empire State Building을 8시간 보여주는 작품). 본인 생각으로는 현대 영화작가 중에서도 Stanley Kubric, Ingmar Bergman, Michelangelo Antonioni, Federico Fellini 등등의 작가들은 그들의 영화작품 안에 실험적인 장면들을 많이 만들어냈다.
디지털 영상시대이고 변화와 변혁의 격동기인 오늘 날 영화는 영사막이 없는 입체 홀로그래픽 영화(holographic cinema), 다중영사환경(multiple projection environments), 비디오트로닉스(videotronics), 컴퓨터그래픽(computer graphic) 등 다종다양한 매체 및 영사방법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실험영화의 장래 전개는 그 양상을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영화의 기술적, 예술적 변화와 더불어 “The only constant is change”(변하지 않는 것은 변화 밖에 없다)라는 옛 격언을 상기하면서, 우리는 급격한 변화와 변천에 적절히 대처해야 할 것이다.
필자: 고창수(시인, 영상작가, 컬럼니스트)
<Seoul Experimental and Video Festival (EXiS2005) and the Experimental Film>
EXiS2005 will take place September 7 - 13 at the Seoul Art Cinema and SpaceCell, respectively located at Nakwon-dong and Sam-cheong-dong. This is the only experimental film festival of its kind and carries the slogan “Cinema? Cinema!”this year. It’s organized and hosted by the Diagonal Film Archive and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Seoul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Festival; sponsored by the Seoul Metropolitan Cit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e Film Promotion Committee, the Korea Cinemateque Council, and the Korea Independent Filmmakers Association.
This festival, which greets its second anniversary this year, is enlarging its scope as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film festival is characterized by an academic and avant-garde spirit of challenge and seeks works which sublimate the spirit to a high artistic standard. As one of the film festivals in Asia which insist on experimental films, the Seoul festival has come to attract wide and broad attention from numerous experimental filmmakers of the world. The festival aims to introduce filmmakers, both domestic and overseas, who are actively engaged or are beginners in the area at the present point in time. This year’s festival slogan is “Cinema? Cinema!” The quest for the essential qualities of film necessarily involves an exhaustive analysis of and an innovative thinking about the quintessence of film. Its real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it offers a fresh realization about and a new perspective on film. The Seoul festival’s standards in terms of the works screened and their numbers equal those of a bi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classic film works are showcased, among others, through the retrospective screening of the works of Hollis Frampton who deconstructed and newly organized the traditional modalities of cinematic expression by delving into the essential properties of film. Works of computer graphics which create new dimensions of imagery by using newest technology go well with modern electronic sounds of the techno type.
EXiS2005, which this year for the first time finds an opportunity to leap to new heights as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ill be screening more than 450 entries from over 30 countries, which far exceed usual expectations. The opening movie happens to be Nostalgia by Hollis Frampton, who is a representative experimental filmmaker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closing ceremony will feature award-winners from each category. (The above is the writer’s unofficial translation of the host’s publicity material.)
I have often been asked the basic nature of the experimental film. My answer has been largely based on an analogy drawn from test flights. I think we can visualize test pilots who test newly-made or -conceived airplanes. Test pilots would presumably test and experiment with an airplane’s essential qualities, purpose, special functions and performance, potentials, etc. They would explore and test the technological, technical and artistic possibilities of the aircraft. While ordinary passenger planes would not disregard or transgress the physical and spiritual limits, safety and comfort levels of an ordinary passenger in terms of speed, altitude, operational modalities, etc., test pilots would imaginably cautiously venture into the outer edges of the airplane’s limitations while keeping in mind the ordinary passenger. By the same token - in contrast to standard popular movies which would stay within the boundaries of normal sensitivities, expectations and moral-ethical attitudes of the average spectator, the experimental filmmaker may test and explore to a maximum extent the film’s technical and artistic potentials and limitations. In that regard, the experimental film would normally appeal more to film buffs and maniacs, film specialists as well as avant-garde filmmakers. Therefore, more often than not, they may very well fail to be produced as a commercial movie. Being an avant-garde in the craft of filmmaking, experimental films may occasionally offer fresh insight and inspiration for ordinary movie-makers. Movie-directors may often glean fresh insight and inspiration from experimental works.
Some film writers classify film into Fiction, Documentary, and Avant-garde categories. In that case, the experimental film would naturally belong to the avant-garde. The avant-garde film has been called by different names, i.e. experimental film, poetic cinema, independent cinema, underground film, etc.
Film historians have categorized the avant-garde film into Dadaist and Surrealist Film (1920-1931), Poetic Cinema and Experimental Film (1954-1960), Structurist Film (1954-1960), among others. The experimental film, particularly because of its experimental nature, massively utilizes expressionistic modes of cinematic expression together with condensed or distorted imagery, elliptical-difficult and illogical-unrealistic-absurd content and imagery as well as outlandish special effects.
Some of the better-known experimental works and authors familiar to us would include the following:
A Trip to the Moon (directed by Georges Melies in 1902), Un Chien Andalous (directed by Luis Bunel and Salvador Dali in 1929), The Blood of a Poet (directed by Jean Cocteau in 1930), Meshes of the Afternoon (directed by Maya Deren in 1943), Dog Star Man (directed by Stan Brahkage in 1959-1964), Allures (directed by Jordan Belson in 1962), Empire (directed by Andy Warhol in 1930-1987). In my view, contemporary filmmakers such as Stanley Kubric, Ingmar Bergman, Michelangelo Antonioni and Federico Fellini, among others, have occasionally created footages of experimental film for their own commercial productions.
In this age of digital imagery and maelstroms of change and innovation, today’s film employs a whole series of new and novel media and modes of presentation including holographic cinema, multiple projection environments and videotronics as well as computer graphics, among many other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s not easy to predict the future manifestations and evolution of the experimental film. We’d would do well to face with a corresponding mindset the whirling changes and innovations in the technical and artistic aspects of film and by recalling the ancient maxim, “The only constant is change.”
By Chang Soo Ko (poet, filmmaker, columnist)
<<부산국제영화제와 우리 예술작품의 세계 진출>>
고 창 수 (시인, 영상작가, 컬럼니스트)
I. 부산국제 영화제 (PIFF: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1. 제10회 부산국제영화제 조감
부산 해운대 해변가 대형 스크린 무대에서 열린 개막식은 나에게 전례 없는 감회를 주었으며 특히 지난 10년간 부산국제영화제가 자라온 모습이 생생하게 각인되었다. 금년에는 8개 부문에 73개국에서 보내온 307편의 영화가 선보이고 10월 6일-13일 8일 간의 행사에 20만명에 달하는 관객이 참여하고, 6,000여명의 초청인사와 국내외 영화인, 1,600명에 달하는 국내외 취재진, 칸 Cannes, 베를린Berlin, 토론토Toronto, 선댄스Sun Dance 등 영화제의 집행위원장과 관련자들, 세계적 스타들, 이란의 압바스 카이로스타미, 대만의 허우샤오시엔, 프랑스의 장 자크 아노등 거장 감독들이 부산을 찾았다. 허우샤오시엔 감독은 올해 부산이 창설한 아시아영화아카데미(AFA)의 교장직을 맡았으며 카이로스타미 감독은 마스터클래스 강의 및 심사위원을 맡았다. 일본의 원로 82세의 스즈키 세이준 감독은 산소호흡기를 착용한 채로 여러 행사에 참석했고, 이란의 모흐센마흐말바프 감독도 참석했다.
개막식 전후에 만난 국내외 영화인들과 개회식장에서 소개된 국내외 영화인들을 보면서 한국 영화가 도달한 세계적인 위상을 감지했다. 외국 신문, 잡지 기타 언론매체도 부산국제영화제를 “아시아 최고의 영화제” “아시아의 칸Cannes영화제” 등등으로 극구 찬양하는 것을 알고 있는 터라 나는 그러한 높은 위상이 계속 발전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했다. 무엇보다고 영화제를 이끌어온 영화제 집행부요원들과 정부, 기업, 민간의 지원에 대하여 감사하는 마음이 생겼다.
근번 10차 영화제에는 90편의 세계최초상영작 (world premieres)이 상영 되었고 총 307편의 영화 가운데 112편이 완전 매진되었다고 한다. APEC 영화특별전, 영국특별전, 이만희감독 회고전을 포함하여 영상센터 건립 기념식, 국제학술대회, 핸드프린팅, 오픈토크, 마스터클래스, 야외무대인사, 관객과의 대화 등 수많은 행사가 거행되었다.
개막영화인 대만의 세계적 거장감독 허우샤오시엔(Hsiao Hsien Hou) 작 “쓰리타임즈(Three Times)”는 1911년, 1966년, 2005년 등 각각 다른 시대 남녀간의 사랑을 다루고 있는데 변천 속에서 인간의 연애 심리와 표현방법 등을 절묘하게 묘사한 영상과 음악이 뛰어난 작품이었다.
2. 부산국제영화제의 발전상
지난 10년 동안 부산국제영화제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온 것에 대하여는 이구동성으로 거론하는데 그 중에서도 아래의 업적을 특별히 언급할 필요가 있겠다.
가. 근번 영화제는 지난 10년의 눈부신 성장, 발전을 확인함과 동시에 향후 10년의 도약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분명 아시아 최고 영화제로서의 체모를 더욱 튼실하게 하는 계기였다.
나. 그간 부산프로젝트마켓(PPP)은 재능이 있는 영화감독들이 국제적 지원을 받게 하는 기회를 마련해주었으며, 거기에서 많은 영화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는 특히 아시아의 유망한 영화감독들을 발굴하는 효과적인 창구가 되었으며, 근번 영화제의 개막작 “쓰리 타임즈” 도 PPP의 도움을 받은 바 있다. 허우샤오시엔감독도 개막작 “쓰리 타임즈”가 PPP 지원으로 만들어졌음을 언급하면서 부산영화제가 유능한 감독과 투자자를 연결해주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내년부터 기능할 ‘부산필름마켓’은 영화의 기획.촬영.판매를 총괄하는 토털 마켓이 될 것이다. 근번 영화제를 통하여 아시아 필름인더스트리 네트워크 (AFIN: Asian Film Industry Network)가 출범하였고 내년 문을 열 부산영화마켓(PFM: Pusan Film Market)와 영화산업박람회(PIFCOM)는 부산을 아시아 지역의 주동자로 만드는 초석이 되는 셈이며, 또한 아시아 영화계를 주도할 영화인력의 교류를 확대할 아시아영화아카데미(AFA: Asian Film Academy)의 출범도 그 의의가 매우 크다. 이렇게 하여 부산은 명실 공히 아시아를 대표하는 영화제, 아시아 영화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하게 되었다.
다. 부산국제영화제가 그간 한국 및 아시아 영화를 국제시장에 소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온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라. 금번 부산영상센터의 건립기념식과 함께 영화제전용극장이 없던 큰 애로가 해소되었다. 이는 영화제의 시기 결정 등 여러 가지 사항을 타결하는 관건이 될 것이다.
마. 내가 만난 미국 영화 평론가는 부산국제영화제와 한국영화 발전상에 관하여 감탄하면서, 어떤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서 그렇게 되었는가 궁금하다고 말했다. 매우 성실해 보이는 그는 한국영화에 관한 책을 들고 있었다. 나는 불교, 유교, 노장사상, 신선사상, 무속 등 다채로운 문화적 전통을 가지고 기독교 등 현대 세계 문명. 문화에도 익숙한 한국인들의 상상력이 발동하고 있는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3. 전망
부산국제영화제의 장족의 발전을 축하하면서 장래에 대하여 희망적인 관측을 하는 가운데 영화제의 장래에 대하여 대내외적으로 거론되는 일부 우려가 있는데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가. 모든 영화제는 창립 후 10년이 되면 혁신(innovation)의 필요가 생기는 데, 그 중에 기획 및 예산의 개선, 증액 등의 문제가 포함된다. 안정적인 예산 확보 문제는 앞으로 다져야 할 사항으로 보인다. (올해에는 54억5천 만원의 예산이 들었는데, 국가보조가 15억, 부산시 지원이 18억, 협찬금, 입장료수입이 포함된 것으로 안다.)
나. 재기하는 도쿄영화제 및 홍콩 영화제와 어깨를 겨루는 일이 그렇게 쉽지 않을 것이다. 필름마켓이 잘 되어야 경쟁력이 커질 것이다.
다. 허우샤오시엔 감독은 상업영화 외에 비주류영화를 지원할 필요성을 피력하면서, 그래야만 대만, 홍콩처럼 계속 성장이 가능함을 지적하였다.
라. 칸 영화제는 전문인을 위한 것인 반면 한국영화는 팬 중심이라는 논평도 있는데, 이는 참고, 검토할 여지가 있다.
마. 영화제의 특질과 색깔을 더 다질 필요가 있겠다. 아시아의 덜 알려진 영화를 발굴을 하는데 초점을 맞추든가 상업적인 세계주류 영화 발굴에 치중하든가 선택의 필요도 있다.
4. PIFF, 한류, 한국영화, 영화 (필자 개인 소감)
아시아 최고의 영화제로 성장한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하여 나는 무척 흐뭇한 감명을 받고 있으며 한국영화 내지 한국 문화. 예술의 세계 진출 창구로서의 그 역할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부산국제영화제는 현재 아시아 전역과 그 너머로 퍼지고 있는 한류현상과도 연관이 있다고 본다. 한류는 일시적인 현상인가 계속 전개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한류도 국제 사회적 현상이므로 변수가 많고 우리의 일방적 노력이나 여망만으로는 매사가 결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그리고 한류의 동기는 문화적 예술적인 요인이 주가 되겠지만 그 외에도 경제, 사회적인 요소도 개재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가 동서양 문화의 교차로에서 성공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여타 아시아인들이 반가워하고 선망의 눈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겠다.
한국 영화는 그간의 놀라운 도약에 비추어 앞으로 우리의 역사, 전통과 현실 속에서 독특하고 아기자기한 이야기를 엮어내고 우리의 뛰어난 예술적 재능과 상상력을 발취하여 세계 관객을 사로잡는 작품을 계속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영화산업도 하나의 경제사회 현상인바 국제관계와 사태진전에는 변수가 많으므로 일방적인 추측이나 자신감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 근번 부산영화제에서 각광을 받은 초저예산 영화 “좋은 배우” (촬영예산 300만원)와 관련하여, 앞으로 저예산 영화를 육성, 지원하는 특별 시설,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외국의 사례에 비추어 볼 때, 편집 서비스 및 기자재 이용의 저렴한 편의제공 등 독립영화작가들을 지원하는 방안이 계속 증진될 필요가 있다.
한편, 개인적으로 그간 생각해온 일인데, 문화의 시대는 문화의 향유를 드높이고 인간 복지를 증대하는 시대임과 동시에 어떤 의미에서 사람을 들뜨게 하는 시대이다. 매일 같이 쏟아져 나오는 영화를 다 보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것은 마치 백화점에 밀려드는 오만 가지 상품처럼 우리의 소비욕을 자극하는 것이기도 하다. 인간의 꿈과 환상이 심하게 자극되는 시대라는 의식을 가지면서, 영화창작에 관심이 있는 나로서는 대량생산되는 세계영화의 질과 양에 기가 꺾이고 주눅이 드는 것도 솔직한 심정이다. “영화의 바다”라는 비유를 들으면서, 영화제작이 이제 막대한 기업이 되고 막강한 힘이 된 것과 영화산업이 인류의 문화활동에 중차대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느낀다.
.
II. 우리 예술작품의 세계 진출 개선방안
1. 서론
예술작품의 해외 보급은 상당한 문화적 편견에 당면하게 된다. 오늘날 세계에 막대한 문화적 영향력을 주고 있는 서구문화는 여타 문화에 대하여 편견을 가지고 있으며, 서구 청중이 새로 접하는 타 문화권에서의 예술작품에 대하여서 일단 편견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서구인들이 중국이나 인도, 일본 등 일부 아시아 나라의 예술작품의 우수성을 인정하는 것은 널리 알려졌지만, 여타 아시아 국가의 문화와 예술에 대하여도 똑 같은 관심을 가진다고 볼 수는 없다. 문화적 편견은 정치-사회적 태도에서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 흔히 정치-경제적으로 강대국인 나라의 문화와 예술에 관하여서는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 예술작품의 해외 보급에는 예술외적 요인이 많이 작용한다.
“모든 예술은 음악의 상태를 지향한다”는 Walter Pater 의 말도 있지만, 음악이나 기타 시청각 예술은 다소 쉽게 언어권을 초월하여 다른 문화와 공통성을 찾아내는 보편성이 있다. 음악이나 여타 시청각 예술은 문학 보다 언어의 장벽에 덜 부딪친다. 따라서 언어의 장벽을 넘어가는 과정에서 겪는 변질, 손상, 왜곡, 무산 등의 애로가 덜하다. 본인이 알기에 가령 음악의 유통구조는 세계화의 제도적 장치가 잘되어 있다. 가령 한국의 음악도가 어느 저명한 음악학교를 다니던가 적절한 기회에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발휘한다면 그 재능은 효과적으로 개발될 것이며, 세계음악계에 등단하는데 적절한 안내와 편의를 제공 받게 될 것이다. 그것은 음악시장의 유통과정이 잘 형성되어 있고 그 수요자가 진정한 재능을 찾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여타 시청각예술에도 상당히 적용된다고 본다.
우리 예술작품의 세계진출을 증진하기 위하여서는, 독자를 깊게 감동시키고, 크게 깨우쳐주는, 깊은 울림과 메아리를 가진 예술작품이 더 많이 나와야 할 것이다. 세계화라는 관점에서 보아, 기존 판단기준, 예술교육 등에 보완할 사항이 있을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지역성이 곧 세계성이라는 생각은 모든 경우에 유효하지는 않을 것이다. 세계청중, 관객에게 지적, 철학적, 예술적 깨우침과 교훈을 주고 강력하게 호소하는 내용과 형식을 가진 작품이 더 나오는 것은 바람직하다.
우수한 한국 예술작품이 더 많이 보급되기 위하여서는 우리가 세계화의 요청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우리의 우수한 전통을 지키는 가운데 세계 시청자들의 취향과 관심을 의식하면서 그들에게 감동을 줄 작품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내는 것도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된다.
한국예술품의 세계 진출에 있어서, 가급적 많은 우수한 작품이 소개되는 것이 바람직스러움은 두 말할 여지가 없지만, 그러나 생소한 문화권, 언어권으로 진출하는 일은 어렵고 많은 노력과 예산이 소요된다. 수출상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술작품의 제작과 해외 보급에도 고도의 노하우와 마케팅 전략이 요구되는 것은 말할 나위 없다. 문학작품의 경우 한 언어 속에 나서 그 언어 속에서 사라져 버리는 요소들이 많고, 또한 다른 언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무산되는 요소들도 많아서 한국적인 아름다움이 외국어로 옮겨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다른 예술분야에도 적용되는 면이 있을 것이다.
2. 세계진출 강화 방안
가. 혁신정신 고취 필요성(우리 전통을 기리고 보존하는 한편 세계적 변화를 수용, 반영하는 예술창작 상의 실험정신도 장려할 필요가 있을 것임.)
나. 예술교육에서 세계화 강조 필요
다. 예술작품의 형식, 내용의 심화, 다양화, 흥미 증진 필요
라. 우수한 우리 문화유산을 소재로 하여 세계 독자의 흥미를 돋구는 작품을 더 창작하는 것이 바람직함
마. 세계화의 관점에서, 또한 자연 발생적인 예술활동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리 작품의 내용과 표현을 더 다양화하는 가능성도 검토 해야 할 것임.
바. 마케팅 전문화
1) 국제적 에이전트 활용
2) 예술작품의 배포, 보급망 정비
사. 예술창작 지원 및 보급 상의 국제적 고려
1) 해외 보급 예술작품 심사과정의 국제적 수준 유지
2) 해외 보급 작품 선정과정의 융통성 제고
가) 작가 위주의 선정과 작품 위주의 선정을 병행
나) 뛰어난 작품을 예외적으로 활용
아. 외국 언론, 출판사, 편집인, 평론가 등의 친한 태도 조성
자. 세계적 예술상 수상 지원 촉진
3. 우수한 예술작품의 판단 기준
예술작품의 우수성을 가늠하는 평가기준에는 아래의 사항이 포함될 것으로 안다.
가. 해당 작품이 얼마나 인간이 처한 처지, 조건을 잘 묘사, 조명하였는가, 또한 얼마나 이러한 처지, 조건을 개선하는데 이바지 하였는가
나. 얼마나 인간에게 교훈과 지혜를 주고, 인간의 자기인식 및 세계인식을 심화시켰는가
다. 얼마나 인류의 문화를 순화, 심화, 승화, 미화하였는가
라. 얼마나 인류의 지식, 경험, 지혜를 풍부히 하였는가. 얼마나 아름답고 훌륭한 가공의 세계를 창조하여 인간의 정신세계와 삶의 공간을 넓히고 굳건하게 하여주었는가
마. 얼마나 많은 아름다움과 감동을 인류를 위하여 만들어냈는가
바. 얼마나 인간 구원의 등불을 밝혀주었는가
예술작품의 보급에 있어서 정치사회적, 문화적인 편견을 피할 수가 없으며 독자들의 흥미와 취향도 예술 외적인 요인으로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또한 예술작품에 대한 관심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다.
4. 결론
결론적으로 말하여, 서구의 가치관, 미의식 등이 세계 곳곳에 침투하여 왔으며 세계인의 미적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서구 문화는 지적 호기심, 발전에 대한 욕구, 도전에 대한 응전 정신이 강하다. 서구 문화. 예술사를 보면 새로운 시각, 발견, 발명, 지식에 대한 강렬한 욕구와 탐색이 그 특징인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동양의 가치관도 그런 요소가 없는 것은 아니나, 여하간 서구인들의 예술적 욕구 및 지향을 충족하기 위하여서는 예술작품 속에 새로운 발견, 새로운 지식 및 각성, 탐색과 깨달음의 요소가 많이 담겨 있어야 한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 예술작품의 세계 진출에서 유념해야 할 사항이다. 세계인들에게 새로운 세계관, 존재에 대한 통찰과 지식, 지혜를 주고 지적.예술적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예술작품이 더 많이 소개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우수한 한국 예술작품이 더 많이 보급되기 위하여서는 우리가 세계화의 요청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우리의 우수한 전통을 지키는 가운데 세계 독자들의 취향과 관심을 의식하면서 그들에게 감동을 줄 작품을 의도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된다.
우리의 고유한 미의식, 가치관, 우리의 뛰어난 감성과 상상력으로 만든 예술작품이 그대로 세계인들을 매료시키는 경우도 허다할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끝
<<PIFF and Promotion of Korean Works of Art in World Market>>
Chang Soo Ko, poet, filmmaker and columnist
I. An overview of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IFF)
The opening ceremony on the stage with the big open-door screen by Haewoondae beach of Pusan impressed and moved me more than former PIFF opening ceremonies I’ve attended. Above all, I could clearly sense the remarkable progress PIFF has made during the past decade. This year, in 8 different areas a total of 307 films from 73 different countries were presented. During the festival period October 6 to 13, the festival accosted some 200,000 viewers, more than 6,000 invited guest and domestic and foreign cineastes, some 1,600 domestic and foreign media people, executive directors of the Cannes, Berlin, Toronto, and Sundance film festivals and their staff, world-class movie stars, Iranian film-director Abbas Kariostami, Chinese Taipei’s Hsiao Hsien Hou, France’s Jaque Anoaux, among others. Director Hou became the president of AFA Asian Film Academy, whereas Director Kairostami taught a master class and acted as a jury. Japan’s master director Suzuki Seijun, aged 82, attended several events earring an oxygen mask. Iran’s Orsenmajmabaf also attended the festival.
Meeting domestic and foreign cineastes and watching the movie celebrities introduced at the opening ceremony, I could perceive the global height that Korean cinema has reached. Being aware that foreign press and other media have acclaimed PIFF calling it “Asia’s best film festival,” “Asia’s Cannes festival” etc., I strongly hoped that the high profile will continue to develop. More than anything else, I was thankful to the executive staff of the festival, government, enterprise, and civilian support.
Some 90 world premieres were screened at the festival, and some 112 movies from among the 307 entries were sold out. A huge number of events took place including APEC special exhibit, U>K. special events, Lee Man Hee’s retrospective, Film Centre, international symposiums, hand-printing programs, open talks, master classes, outdoor stage…. Dialogue with the views.
The opening movie was master filmmaker Hsiao Hsien Hou’s “Three Times,” which dealt with the love affairs of 1911, 1966 and 2005, exquisitely portraying the psychology of love and modes of expression, and was marked with its outstanding imagery and musical effects.
2. PIFF’s progress
Nobody would gainsay the brilliant progress that PIFF has made during the past decade. From among the many feats, one could mention at least the following:
1) The 10th festival is largely seen as having confirmed the notable growth and progress of the festival for the past 10years and has set the basis for the leaps in the coming decade. It has certainly been an occasion for consolidating its stature as Asia’s best film festival.
2) PPP( Pusan Promotion Plan) has provided opportunities for talented fill directors to get international support. It has helped produce many a movie. It has served as an efficient window for finding Asia’s promising film directions. The opening film “The Three Times” of the present film festival had received PPP’s support. Director Hou himself mentioned the fact that “Three Times” was made with the assistance of PPP, giving a high score mark to the fact that PIFF links talented film directors with investors. The Pusan Film Market, which will begin functioning next year, will be a total market covering planning, shooting and sales of movies. Through this festival, AFIN (Asian Film Industry Network) was launched. The PUsan Film Market PFM and PIFCOM, which will start operations next year, will lay cornerstones for making Pusan a linchpin in the Asian region. Besides, the launching of the Asian Film Academy AFA, which expected to expand the exchange of the cinematic manpower who will lead Asian movie world is most significant. Pusan has thus surfaced as the film festival representing Asia and the center of film festivals and Asian movie industry both in name and .
3) It is well known that PIff has played a linchpin role in introducing Korean and Asian films in the world market.
4) With the ceremony launching the construction of the Pusan Movie Film Centre has solved the serious problem created by the absence of any cinema exclusively for PIFF. This will provide keys to settling various things including the decision of festival periods.
5) An American film critic I met admired the rapid progress PIFF has made, and was wondering what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to such progress. I notice he was holding in his hand a book about recent Korean cinema. I told him that Koreans with their age-old traditions in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and Shinsunism and Shamanism while being familiar with Christianity and other aspects of modern civilization and culture were giving full rein to their imagination.
3. Prospect
Some of the concerns being expressed by people both in Korea and overseas about the future of PIFF, while congratulating PIFF for its long strides made and making hopeful speculations about its future, include the following. PIFF would be well advised to take them with a grain of salt.
1) Most film festivals face requirements for innovation once they celebrate their 10th anniversary, including needs to improve or expand planning and budget. It seems that the securing of a stable budget seems to be a matter to be secured.
2) It won’t be that easy to keep abreast of Hong Kong and Tokyo which are reviving as the best festival. Film Market will reinforce competitiveness.
3) Director Hou, emphasizing the need to support non-mainstream movies in addition to supporting commercial movies, He pointed that thereby KPIFF could continue to grow as in the case of Taiwan and Hong Kong.
4) While Cannes festival is for the experts, Koran PIFF is fan-oriented. This point could best be reviewed.
5) It’ll be necessary to beep up the festival’s characteristics and stature. PIFF would need to either focus on excavating less known films or finding commercial .mainstream films b4. P
4. PIFF, Hanryu, Korean movies, movies (the writer’s own impressions)
I’m deeply moved by the fact by the progress of PIFF as Asian’s bet film festival. I gang high hopes on its role as a window to introduce Korean movies and Korean culture and arts in general.
I think PIFF is in some ways linked the Hanryu phenomenon where PIFF is spreading to the Asian region and beyond. While there is debate whether hanryu is is temporary phenomenon or will continue to expand. Hanryu, after all, is a phenomenon in the international phenomena. hanryu,, as a global international and social phenomena with numerous variables. And not everything will be determined by our own side-sided efforts or expectations. And the motives for hanryu may comprise cultural and artistic factors, but one must consider economic, social and other factors. Asians may be welcoming the successful way we are meeting problems at the crossroads of East West cultures, and watching us with admiration.
Korean cinema, in light of the remarkable leaps and bounds they have made in the past years, will in all probability , on the strength of our outstanding artistic talents and imagination, will continue to produce works that will capture the minds of world audiences by weaving unique and captivating stories out of our rich history, traditions and reality. Movie industry, however, is a social and economic phenomenon and carries numerous variables which may affect its intentional relations and developments, and will not be determined one-sided guesses conjecture and confidence. Especially, concerning the low-budget move “Good Actor”(shooting budget 3 million won), it occurred to me again the need to for special facilities and ways of support to promote low-budget films. In view of foreign examples, services for editing services and low cost use of equipment and facilities for editing will need to be enhanced to support independent filmmakers.
On the other hand, I have harbored the notion that on a personal estimation that the age of culture will enhance man’s enjoyment of culture and increase mankind’s welfare, but at the same time it will inflate man. It is impossible to watch all the movies that pour out day in and day out. It is similar to uncountable numbers of movies that pour into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center, stimulating our consumption desires. Being aware that this age will overly stimulate man’s dreams and fantasies, I one who is interested in making films, feel overpowered and intimidated by the quality and quantities of movies that are mass-produced around the world. Hearing the expression “sea of movies”, I realize one again that movie industry has become indomitable huge power-centers and occupying a momentous position in man’s cultural activities.
II . Ways to improve the entry of our artistic works into the world market
1. Introduction
Advance of art works overseas encounter considerable cultural prejudices. The Western cultures, that are exerting enormous cultural influences around the world have had prejudices against other cultures, In the same vein, we may conclude that Western audiences are biased against artistic works from other cultural spheres. Of course, it is well known that Westerners recognize the excellence of art works from China, Japan, and India, among others. We cannot however conclude that they are interested as much in the art works from other countries of Asia. Cultural prejudicies are largely influenced by political-social attitudes. One tends to show more interest in cultures and arts of those which are more powerful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Non-artistic factors affect the supply of artistic works.
“ All art aspires to the condition of music,” said Walter Pater. Music and other audio-visual arts rather easily cross over barriers of language and find common ground with other cultures, universal qualities. Music and other audio-visual arts encounter less barriers than literature, therefore suffer less transformation, damage, distortion, evaporation than literature. As I understand, the channels of circulation for music is well equipped with institutional machinery for globalization. For instance, a Korean music student attends a celebrated school of music or demonstrates outstanding musical talents at appropriate occasions, his talents will be developed effective, and be accorded proper guidance and conveniences in entering world music circles. That’s because the musical circulation channels are well formed the consumers are looking for genuine talents. This applies to a certain extent to other audio-visual arts.
In order to expedite the supply of our art works to the world market, we must produce art works that move deeply readers and audience, and produce deep echoes and reverber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ization, we may need to reconsider our existing criteria for judgment and education and training in arts.
“Local is Global” may not be valid in all cases. It is desirable that more art works are produced which give and enlighten artistically intellectual, philosophical and artistic lessons and enlightenment to world audiences.
In order for excellent Korean art works to be supplied in great quantities, it will be necessary that we respond more positively to the calls for globalization, and deliberately produce works which will move them, while being aware of the viewers likes and dislikes penchants, while keeping and preserving our superior traditions.
In the advance of Korean art works to the world market, it is needless to say that we need to introduced many good works. Advance of art works to new cultures and language regions involve difficulties and require intensive efforts and budgets. As in the case of export products, production and overseas supply of art works require high degrees of knowhow an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case of literary works, literary works contain many elements which are born in one langue and but disappear when transplanted into another, preventing Koran beauty from being translated into another language. This applies to some extent to other artistic fields.
2. Modalities for reinforcing advance into world
1) Need for the spirit of innovation (While upholding and preserving our own traditions, we need to accommodating global changes, and reflect them in artistic creation through a spirit of experimentation.
2) Need to emphasize globalization in art education
3) Need to increase deepen, diversify and increase entertaining elements in the form and content of art works
4) It is necessary to produce more works based on our excellent cultural heritage and provoke the interest of world audiences
5)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ization, and to the extent of not disturbing the artistic activities that occur spontaneously, we mus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iversify he content and expression of our art works
6) Specialization of marketing
a. utilize the services of international agents
b. reform distribution and supply channels of art works
7) Global considerations in supporting artistic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art works
a. maintain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judgment of art works to be distributed overseas
b. flexibility of selection procedures for art works to be distributed overseas
a) parallel selection of works by particular artists, and selection of works by work
b) special and exception use of outstanding works
3. Judgments criteria for excellent art works
It is my estimation that judgmental criteria for the for measuring the excellence of art works include the following:
1. How much the work in question have well described human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and have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2. How much lessons and wisdom and deepened man’s understanding of himself and of the world
3. How much it has purified, deepened, sublimated, and beautified mankind’s cultures.
4. How much it has enriched mankind’s knowledge, experience and wisdom. How much beautiful and superior world of fiction it has created, thereby enrich and man’s spiritual world and enlarge space of life.
5. How much beauty and moving experience it has offer mankind
6. How much it has illuminated the torchlight for human redemption
It is not possible to totally avoid socio-political and cultural prejudices in the supply of art works. The spectator’s interest and penchant are affected by non-artistic elements. Interest in art works differs from period to period, from region to region.
4. Conclusion
In concluding, Western values, esthetic attitudes have pervaded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esthetic values for people around the world. Western culture is characterized by intellectual curiosity, desire for progress, and a spirit of response to challenges. When we look at the history of Western cultural and arts, it is characterized by strong desires and explorations for new perspectives, discovery, invention, and knowledge. This is not to say that Eastern cultures lack these elements. Anyway, in order to satisfy Westerner’s artistic desires we realize the art works must contain new discoveries, new knowledge and realization, explorations and enlightenment. This must be kept in mind for in our efforts to promote advance of art works to the world market. We need to introduce to world audiences art works which new world views, insights and knowledge into human existence, and wisdom, provoke intellectual and artistic curiosities. At the same time, for more of work art works to be demanded, we need to respond more for calls for globalization and while keeping our excellent traditions, and thinking more about the world spectators’ penchant and interest, and deliberate produce art works that move them.
Needless to say, art works based on our unique esthetic sense, values, and our outstanding sensibility and imagination, just as they are, captivate world people.
<The Worlds of Nam June Paik> by Ko Chang-soo for “Window on Culture”
* The writer is a poet and a translator of poetry
In seeing Nam June Paik’s works at a current exhibition, I saw the stature of an adventurer who confronts an unknown world with a hero’s courage. I was awed by the magnitude of his daring and challenging spirit as an artist. I was amazed how boldly he explores the world of fact and fiction, reality and dream; how gracefully and lyrically he shuttles between the known and the unknown.
Nam June Paik is avant-garde in every sense of the word. To my mind he constitutes a surpassing example of an artist’s exploration and experiment. He must offer example and encouragement to artists in general; he is certainly a great role model for many a forward-looking artist.
Needless to say, Nam June Paik is a great artist. He appears able to view his own life from a transcendental perspective, making his own life into an artwork, with the great sense of humor that marks his works. This sense of humor derives presumably from his worldview. As we are told, his works may be based on a philosophy of “why not” and “changing the rule of the game.” In fact he seems to challenge the very concept of art. He proclaims, possibly with his tongue in his cheek, “art is not not not art.” Anyway, he has created art works as “freely as Picasso,” “as lyrically as Renoir,” “as profoundly as Mondrian.”
A hallmark of his genius seems to be his admittedly irrepressible urge for artistic expression. Further, he has the courage to challenge the world with his own ideas and messages, in the face of possible ridicule and defiance. It is a quality of self-assertiveness rarely found in artists to that extent. It appears he is not afraid to challenge tradition until it accepts and accommodates his innovations. I’m also impressed by his free- and far-ranging intuition and imagination in exploring “heaven and earth.”
One of his fortunate fortes has been the ability to harness and innovate video and other technologies in creating new forms of art. At the same time, he demonstrates an acute sense of the aesthetic, social and other potentials of these technologies. We may say that in his artworks he humanizes technology in a wonderful manner.
His genius and ingenuity twinkle in such works as “TV Garden,” where television images are glittering blossoms amidst natural plants. “One Candle” is a charming example of how he can convert a candle flame into enlightening virtual imagery. It is also amazing how he can easily and effortlessly weave simple motifs and designs into a cosmic panorama in a most persuasive way, as illustrated by his laser sculptures.
In some of his video and laser works and performances, I seem to notice the articulation of the Son (Zen) approach to seeing and saying things. He often uses the language of paradox, which happens to be an idiom of the Korean Son (Zen) Buddhism, too.
With regard to the question how far art could and should stray from fact and reality, I believe that artists should occasionally venture outward and forward from tradition and convention to create a brave new world of dream and vision; that they should constantly forge ahead to enlarge the dimensions and significance of human existence and experience. By the same token, I’ve long entertained the notion that human imagination is not rootless, but remains rooted, however remotely, in man’s individual and collective experience from time immemorial.
In concluding I’d like to cite some comments by curator John G. Hanhardt:
“ No artist has had a greater influence in imagining and realizing the artistic potential of video and television than Korean-born Nam June Paik... Through a vast array of installations, video-tapes, global television productions, films, and performances, Paik has reshaped our perceptions of the temporal image in contemporary art…Nam June Paik’s unique achievements, the precedents set by his creative accomplishments, and the wide range of his work, attest to the key role he has played in expanding our understanding and definition of the arts through media. The Worlds of Nam June Paik not only acknowledges his importance but also testifies to the extraordinary impact the moving image will continue to have on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end.
Ko Chang-soo: fax 597-2468, tel. 6242-0246
<백남준의 세계>
백남준의 작품을 보면서, 나는 미지의 세계를 영웅적 용기로 직면하는 모험가의 모습을 보았다. 그의 도전적이며 모험적인 예술가로서의 정신이 거대함에 나는 외경심을 느꼈다. 그가 사실과 허구, 현실과 꿈의 세계를 대담하게 탐색하는 것에 놀랐고, 그가 기지의 세계와 미지의 세계 사이를 우아하게 또한 서정적으로 오가는 것에 감탄하였다.
백남준은 모든 면에서 전위예술가이다. 필자 생각으로 그는 예술가의 탐험과 실험의 탁월한 시범을 보여준다. 그는 예술가 전반에게 시범과 격려를 준다. 많은 미래지향적 예술가들에게 큰 모범이
될 것이다.
말할 나위 없이 백남준은 위대한 예술가이다. 그는 자신의 삶을 초월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자신의 삶 자체를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만드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함에 있어서 그의 작품들을 특징지우는 놀라운 유머를 보여준다. 이러한 유머감각은 그의 세계관에서 생기는 것 같다. 흔히 평하듯 그의 작품은 “왜 안돼” 또는 “게임의 규칙을 바꾸자”는 철학에 기초를 두고 있는지 모른다. 사실 그는 예술의 개념 자체에 도전하는 것 같다. 그는, 농담조로 , “ 예술은 아니 아니 아니 예술”이라고 선언한다. 어쨌든 그는 “피카소처럼 자유자재로” “르노와르처럼 서정적으로” “몬드리안처럼 심오하게” 예술창작을 하여왔다.
그의 천재성의 특징으로서는 그가 말하듯 예술표현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욕구를 들 수 있겠다. 또한 그는 자기 자신의 생각과 메시지를 가지고 세계에 도전하는 용기를 가지고 있다—남의 반대와 비웃음을 당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예술가들이 그 정도로 가지는 경우가 드문 자기주장의 능력이다. 그는 전통이 자기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받아드릴 때 까지 전통에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의 다행한 장점은 그가 새로운 예술양식을 창조하는데 비디오와 다른 기술을 활용하고 혁신하는 능력을 가졌다는 사실이다. 동시에 그는 이들 기술의 미학적, 사회적 및 기타 잠재력을 예리하게 의식하고 있는 듯하다.
텔레비전 영상이 자연적 수목 사이에서 번쩍이는 꽃잎이 된 “TV Garden”같은 작품에서 그의 천재성은 빛난다. “One Candle”이란 작품은 하나의 촛불을 달관적인 가상영상으로 바꾸는 그의 재능을 보여준다. 그의 레이저조각에서 볼 수 있듯이, 그가 단순한 모티브와 디자인을 설득력있게 우주적 파노라마로 쉽게 짜내는 능력을 보여준다.
비디오 및 레이저 작품과 퍼포먼스에서 필자는 사물을 보고 말하는 선불교의 방법이 표출된 것을 본다. 그는 종종 역설의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게 바로 한국선불교의 언어이기도 하다.
예술이 얼마나 사실과 현실에서 떠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필자는 예술가들이 이따금 전통과 관습에서 벗어나 과감하게 모험하여 꿈과 비전의 새로운 세계를 창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가들은 항상 인간존재와 경험의 영역과 의미를 넓혀나가야 한다고 믿는다. 나는 인간의 상상력이 뿌리가 없는 것이 아니라, 아득한 옛날부터 인간의 개별적 및 집단적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믿어왔다.
마지막으로, Hohn G. Hanhardt 큐레이터의 논평을 인용하고자 한다.
“비디오와 텔레비전의 예술적 가능성을 상상하고 실현하는데 있어서 어느 누구도 백남준 만큼 지대한 영향을 미친 작가는 없을 것이다. 광범위한 설치 작업과 비디오 영상, 범세계적으로 TV망을 연결한 작업, 영화, 퍼포먼스 등을 통해 그는 현대미술에서 시간적인 이미지에 대한 우리의 지각을 새롭게 형성시켰다. 백남준의 특별한 예술적 성취와 그의 이같은 창조적인 성취에 의해 수립된 전례들, 그리고 그의 광범위한 작업은 백남준이 비디오를 통해 예술을 이해하고, 새로이 규정하며, 의미를 확장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증명한다. 이번 “백남준의 세계’전은 그의 작가로서의 중요성 뿐만이 아니라 동영상 이미지가 21세기에도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전시가 될 것이다.”
첫댓글 반복하여 읽어보고 있습니다 . 회장님! 감사합니다.
오늘도 회장님께 방문 했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