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가정에서 얼룩을 빼는 기본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얼룩이 묻었을 때 비비는 것은 좋지 않다.
잘못 비비면 오히려 얼룩의 범위를 넓게 퍼지게 하고 깨끗한 바탕에 보풀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② 빛깔 실험은 다른 천에 해서 물이나 약물에 의해 빠지거나 변색하는 결과를 보도록 한다.
③ 얼룩이 생긴 즉시 빨리 처리하는 것이 좋은데, 이 때 천이 상하지 않는지, 다른 결과가 생기지 않는지 주의한다.
섬유 중에는 종류에 따라서 얼룩빼기제(劑)에 녹는 것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예를 들면 아세테이트는 아세톤에 쉽게 녹는다)
④ 얼룩빼기는 간단한 방법을 먼저 써보고 약품을 사용하는 것은 마지막 수단으로 하는데, 처음에는 물 또는 벤젠을 사용한다.
⑤ 얼룩을 뺄 때는 얼룩 밑에 무명천을 2∼3장 깔고 위에서부터 얼룩빼기제를 묻힌 천이나 브러시로 두드려 얼룩이 밑에 받친 천에
배어들게 한다.
⑥ 약제를 사용하여 얼룩을 뺀 후에는 깨끗이 빤 헝겊으로 반복하여 두드려 약제가 천에 남지 않게 한다.
⑦ 얼룩을 뺀 후에는 얼룩 뺀 부분을 다른 곳과 같게 하기 위하여 얼룩을 뺀 주위에 분무기로 물을 뿌려 둔다.
그 밖에 유지류는 휘발유나 에테르로 용해시켜 빼거나, 색소는 알코올로 녹여서 빼는 방법,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켜 빼는 방법도 있다. 녹물은 희석한 옥살산 처리를 하면 녹이 물에 녹는 옥살산으로 변화되어 제거된다. 또 촛농은 신문지에 싸서 다림질하여 촛농을 녹여 빼고, 피 · 먹물 등은 청각채를 끓여서 말린 풀과 밥알을 으깨어 얼룩 부분에 대고 문질러 흡착성을 이용하여 뺀다. 또 얼룩진 모양에 따라 찬물에 빠지는 것, 미온탕에 빠지는 것, 비눗물에 빠지는 것 등이 있다.
사용할 약제의 분량은 얼룩의 성질 및 섬유의 종류에 따라 알맞게 써야 하는데 암모니아수는 10∼20배로 희석한 것을 사용한다. 얼룩의 종류가 미상일때나 기술적으로 확실히 모를 때는 함부로 손을 대지 말고 전문가의 지도를 받거나 세탁소등에 맡기는 것이 안전.
● 볼펜자국은 물파스로
볼펜자국 위에 물파스를 가볍게 두드리면 바로 지워지고, 또 알콜 적신 거즈로 얼룩진 부분을 두드리듯 닦아내도 말끔하게 지워진다. 물파스를 바른 뒤 비누로 비벼 빨아보자. 물파스의 휘발성분으로 자국이 지워진다. 칫솔에 알코올을 묻혀 부드럽게 문지른 후 세제를 탄 물에 세탁해도 된다.
● 다리미 얼룩과 김치얼룩은 양파물로
다리미질을 하다 눌러붙어 누런 얼룩이 생기면 약국에서 구입한 과산화수소를 더운 물에 30% 정도 비율로 섞은 액체로 닦는다. 과산화수소가 없으면 대용으로 양파를 잘라 얼룩 부위를 문지른 뒤 찬물에 흔들어 씻으면 말끔히 지워진다. 김치국물도 양파즙으로 닦고 24시간이 지나면 깨끗해진다. 얼룩 안팎에 양파즙을 발라서 하룻밤 지난후 물로 씻어내면 깨끗해진다.
● 무슨 얼룩인지 잘 모를 때
옷에 생긴 얼룩이 무엇 때문데 생긴 것인지 잘 알 수 없을 때는 벤젠-알콜-물-세제액-암모니아수-식초-수산표백제 순서로 시험해 보는 것이 좋다.
● 우유와 맥주, 루즈자국은 알콜로
우유와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 얼룩은 알콜로 닦아낸다. 또 맥주 역시 얼룩진 즉시 물수건으로 닦아내면 되지만 며칠 지난 경우에는 알콜 10% 초산 10% 물 10% 혼합액으로 닦는다. 루즈자국이 옷에 났을 경우 버터를 얼룩 부위에 조금 바른 뒤 손으로 문지른다. 루즈자국이 버터에 녹아난 뒤 수건에 알콜을 묻혀 살살 두드리면 얼룩이 사라진다.
● 커피 홍차 사이다 주스 얼룩
커피와 홍차는 당분이 포함되지않은 탄산수를 거즈에 묻혀 두드리고,사이다와 주스는 얼룩이 진즉시 묽은소금물에 거즈를 적셔 두드린다.
● 호주머니에서 알사탕이 녹았을 때
아이들이 호주머니에다 알사탕을 넣고 먹다가 녹아서 얼룩이 지게 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런 때는 무즙을 헝겊에 싼 것이나 무 자른 것으로 두드리면 쉽게 없어진다. 이것은 무의디아스타아제로 녹이는 방법이므로 다소 시간을 들여야 한다.
● 버터의 얼룩
비눗물로 닦아낸 다음, 기름기가 남아 있는 부분을 벤젠으로 두드리듯이 닦아낸다.
● 간장·소스·식초의 얼룩
향신료를 포함한 간장이나 소스의 얼룩을 풀어 주는 데는 소금물과 설탕물이 효과적이다. 먼저 소금물을 칫솔에 묻혀 두드리고 30분 정도 그대로 둔다. 그 다음 설탕물을 칫솔에 묻혀 잘 두드리면 얼룩이 빠진다. 그런 후에 중성세제로 부분세탁하면 된다. 또 한가지 방법은 무즙을 얼룩 위에 수북이 얹어 두었다가 잠시 후 물수건으로 두드리듯이 닦아내는 것이다.
● 참기름·들기름 얼룩
벤젠으로 두드리듯 닦고 물수건으로 마무리한다. 돗자리나 카펫, 기구 등에는 바짝 마른 밀가루 또는 중소(중탄산소다)를 기름 묻은 자리에 수북이 쌓아 하룻밤 지나서 털어내고 깨끗한 물걸레로 닦아내면 된다.
● 계란의 얼룩
알콜을 흠뻑 적신 거즈로 두드리듯이 닦아낸 다음 비눗물로 닦아낸다.
● 혈액, 우유 등의 얼룩
즉시 찬물(더운 물은 혈액의 단백질을 응고시킴)로 빨면 쉽게 지워지는데, 비벼 빨아도 지워지지 않을 경우 효소세제액 40℃의 미지근한 물에 1시간 정도 담근 뒤 물로 헹군다. 무즙을 내어 거즈 등으로 문질러도 지워진다. 짭짭한 소금물에 담갔다가 빨아도 빠진다.
● 얼룩을 뺄 때는 흐린 날을 이용
얼룩빼기는 흐린 날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약품이나 수분의 증발이 맑은 날보다는 흐린 날이 더 완만하게 이루어지기 때문. 급하게 증발하면 오히려 더 더러워진다.
● 풀물이 들었을 때
옷에 풀 물이 들었을 때는 세제와 알콜을 혼합한 물을 쓰면 잘 지워집니다.
● 의류에 혈액이 묻었을 때
얼룩은 묻은 즉시 빼는게 가장 중요하며, 어떤 얼룩이든 오래되면 잘 지워지지 않습니다. 혈액의 경우에도 금방은 찬물로 빨면 쉽게 잘 지워지는데, 오래된 거라면 암모니아수나 소금물에 담갔다 빨면 되며, 그래도 얼룩이 남아 있다면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햇볕에 산화시켜야 합니다. 그리고 혈액이 묻은 곳은 절대 뜨거운 물을 사용하면 안되며, 그러면 혈액이 응고돼 버려 지우기가 더 힘들어집니다.
● 와이셔츠에 땀얼룩이 졌을 때
땀얼룩은 그냥 빨아서는 잘 지워지지 않으며, 미지근한 물에 암모니아를 몇방울 넣어 담갔다 빨아도 되며, 중탄산소다를 같은 방법으로 써도 됩니다.
● 귤즙이 묻었을 때
귤즙은 암모니아를 탄 물이나 소금물로 빨면 잘 지워집니다.
● 사탕이나 과자 얼룩이 졌을 때
먼저 무를 강판에 갈아서 즙을 내서 얼룩진 곳에 묻혀 놓았다가 세제로 빨면 잘 지워집니다.
● 껌이 묻었을 때
옷에 껌이 묻었을 때는 우선 대략적으로 떼어낸 뒤, 휘발유를 사용해 녹여 내면 됩니다.
● 음식 기름이 묻었을 때
음식 기름은 그냥 세제만으론 잘 지워지지 않습니다. 이럴 땐 식초를 탄 물에 거즈를 적셔서 한번 닦으면 됩니다. 그래도 남은 얼룩이 있을 땐 세제를 풀어 빨면 됩니다.
● 흰 담요가 누렇게 변했을 때
이럴 땐 과붕산소다를 따뜻한 물에 한스푼 정도 넣어 녹인 후 담요를 두 세시간 정도 담궜다가 빨면 희게 됩니다.
● 맛에 따른 얼룩 제거법
보통 얼룩이 묻었을 때 맛에 따라 지우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산성 얼룩인 과일물이 묻었을 때 알카리성 세제나 암모니아수로 지우는 방법도 있습니다
● 고추장얼룩 지우는 방법
흰색 런닝이면 꼬추장이 묻었을때 중성세제에 빙초산을 조금타서 담구었다가 세탁을 하시면 제거 가능합니다. 완전 제거가 되지 않았을때에는 옥시크린을 걸죽하게 타서 바르고 열탕 하시면 제거 됩니다.
- <유화물감의 얼룩>
학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유화물감은 묻은 즉시 벤젠이나 솔벤트를 사용하여 빼면 잘 빠지지만 시간이 지난 것은 짠 소금물에 물감이 묻은 곳을 잠시 담가 두었다가 물로 빤 다음에 식초를 신맛이 날 정도로 푼 물에 다시 한번 담갔다가 맑은 물로 헹구어 내고 다음에 더운물로 빨래 비누 칠을 해서 빨면 잘 빠진다.
- <석유의 얼룩>
휘발유로 두드리듯 닦아내면 기름기가 빠지지만 자국은 남아 있으므로, 중성세제를 (식기세척제) 이용하여 세탁을 다시 하여야 한다.
- <식용유의 얼룩>
솔벤트로 두드리듯 닦고 중성제세(식기세척제)로 세탁을 하면 된다.
- <자전거 기계기름의 얼룩>
옷에 자전거 기계기름이 묻어 얼룩이 진 경우에는 헝겊에 휘발유나 솔벤트를 묻혀 비비면빠진다. 그리고 남은 얼룩은 중성세제(식기세척제)로 빨아주면 빠진다.
- <고름의 얼룩>
고름이 묻은 부분에 에틸알콜을 뿌리고 잠시 물에 담가 둔 후 중성세제를 이용하여 세탁을 하면 빠진다.
- <사이다,콜라,주스의 얼룩>
가제를 엷은 소금물에 적셔 얼룩 부분을 두드리듯 닦아내면 되는데 오래된 경우에는 글리세린을 약국에서 구입하여 2배액으로 닦아내야 한다.
- <홍차,커피의 얼룩>
곧바로 화장지에 더운물을 적셔서 얼룩진 자리위에 살짝 눌러줍니다. 이렇게 해서 얼룩이빠지지 않을 때는 탄산수를 이용하면 된다. 얼룩진 부분 아래에 손수건을 대고 당분이 포함되지 않은 탄산수를 적신 가제로 두드리듯이 닦아 냅니다. 그렇게 하여 커피나 홍차의 색을 뺀 다음 이어서 뜨거운 물수건으로 얼룩진 부분을 잡고 누르듯이 닦아내야 완전히 지워진다. 또 오래된 얼룩은 비눗물로 지우든가 무명옷인 경우는 암모니아 30배액, 모직물인 경우는 글리세린 10배액으로 두드려서 지우면 된다.
- <주머니에 사탕이 녹았을 때>
아이들이 먹다가 사탕을 주머니에 넣고 세탁을 하게 되면 사탕이 녹아 옷을 버리게 된다. 이럴 때에는 무즙을 강판에 갈아 가제에 싸서 무 즙액을 사탕이 녹은 자에 발라 주면 되는데 빠질 때 까지 반복하면 된다.
- <김치국물 얼룩>
김치국물이 흰옷에 묻었을 경우에는 옷을 물에 담근 후 꾹 짜서 옥시크린 액을 발라 주거나 락스를 칫솔에 묻혀 발라주면 없어진다. 그리고 양파즙을 내어 발라준 후 다음 날 세탁을 하여도 없어진다.
- <카레의 얼룩>
카레도 묻은 즉시 세탁을 하면 없어진다, 하지만 오래되어 세탁을 하여도 없어지지 않는것은 흰색에 면이나마 종류에 옷은 표백을 하여야 한다.
- <간장,소스,식초의 얼룩>
긴장이나 소스의 얼룩을 빼는데는 소금물과 설탕물이 효과적이다. 우선 소금물을 칫솔에묻혀 두드리고 30분 정도 그대로 두고, 그 다음 설탕물을 칫솔에 묻혀 잘 두드리듯이 닦아내면 얼룩이 빠진다. 그런 후에 중성세제( 식기세척제)로 부분세탁하면 된다.
- <술,맥주의 얼룩>
술자리에 가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술이나 맥주 등 알콜 성분의 얼룩이 생기는 수가 많습니다. 이럴 때 바로 담배 연기를 뿜거나 물을 적신 손수건 등으로 닦아주면 의외로 쉽고 간단하게 뺄 수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빼기 어려울 때는 메틸알콜1, 식초1, 물8 의 비율로섞은 물에 담가 빨고 여러 번 헹구어 주면 된다.
- <옷에 껌이 묻었을 때>
아이 들이 껌을 씹다 아무 곳에나 버리어 곤란 할 때가 많습니다. 이럴 때는 얼음을 비닐에 싸서 껌 부위에 놓아 두면 딱딱하게 굳어 지는데 이때 때어 내면 되고 머리카락이나 카펫에 묻었을 경우에는 솔벤트를 구입하여 뿌려주고 수건으로 닦아내면 잘 빠진다.
- <옷에 엿이 묻었을 때>
엿이 묻었을 경우 더운물에 넣고 비비면 빠지고 무를 갈아 즙을 발라주어도 잘 빠진다.
- <실크 옷의 얼룩을 깨끗이 없애려면>
실크 옷의 얼룩을 뺄 때에는 주의를 기우려야 한다. 우선 전에는 벤젠을 사용하여 빼는 것이 많았지만 요즘에는 벤젠을 사용하지 않고 세탁소에서 솔벤트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한다. 솔벤트를 분무기에 넣고 뿌린 후 수건으로 닦아내거나 칫솔로 얼룩부분을살살 문질러 얼룩을 지운 후 울세제나 드라이 전용세제로 주물러 빨면 된다.
- <풀물의 얼룩>
구정이나 추석 때 산소에 가서 풀 물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은데, 먼저 풀물이 묻은 옷을 손빨래로 빨래비누를 칠하여 세탁하고 풀물이 들어 얼룩진 곳은 알콜이나 암모니아수를 수건이나 화장지에 묻혀 가볍게 두드리면 풀 물이 깨끗이 빠진다.
- <페인트의 얼룩>
페인트를 칠하다 페인트가 묻었을 때는 경유를 이용하여 빼면 의외로 잘 빠진다. 경유를 페인트자국에 묻혀놓고 칫솔로 문지릅니다. 그런 다음 중성세제를 이용하여 손으로 문질러빨면 빠진다.
- <진흙의 얼룩>
아이들이 나가놀다 보면 진흙을 묻혀오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에는 우선 잘 털어낸 후 중성세제를 푼 물에 넣고 비벼주면 빠진다. 오래되어 빠지지 않는 것은 붕산 100 배액으로 닦아내면 된다.
- <다리미 얼룩>
흰 옷을 다리다가 다리미의 온도가 너무 높아 옷이 눌어붙으면 아무리 빨래를 잘 해도 얼룩이 지워지지 않는다. 이럴 때에는 약국에서 과산화수소를 구입하여 더운물에 30 % 정도의 비율로 섞어 분무기에 넣고 여러 번 뿌려 닦아낸 다음 물로 헹구면 누런 얼룩이 지워진다. 그리고 미지근한 물 10cc에 옥시풀 3cc 암모니아 한 방울을 혼합하여 액을 여러 번 바른 후 물로 빨아도 누른 자국이 없어진다.
- <감물 얼룩>
얼룩이 졌을 때 즉시 마른 수건으로 훔치고 색소가 남은 부분은 가제에 식초를 묻혀 두드리든가 아니면 암모니아 50배액으로 닦아낸 다음 비눗물로 씻어내면 된다.
- <케첩의 얼룩>
붉게 보이나 무늬물은 변하고. 유기산, 섬유소, 색소가 주성분이며 수용성 얼룩이 된다. 오래된 것은 변하므로 표백이 필요하고, 물 또는 고급알코올계세제 2∼3% 수용액을 바르고, 브러시로 두드리거나 또는 물에 짠 수건으로 두들겨 빼냅니다. 아니면 10∼20배로 엷게한 암모니아수를 물과 혼합하여 뿜어 끼얹고 헹구며 닦아냅니다. 오래되어 황갈색으로 변색 흡착되어있는 것은 위 방법으로도 제거되지 않으면 일단 고급알코올계세제 2∼3% 수용액으로 제거한 후 표백을 하여야 한다.
- <계란의 얼룩>
계란이 묻은 즉시 처리할 때는 젖은 수건으로 닦아 낸 다음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을 하면 빠진다. 하지만 시간이 지난 후에는 메틸 알콜을 가제에 묻혀 닦아 낸 후 중성제세를 이용하여 세탁하면 된다.
- <혈액>
우유 등의 얼룩. 앞으로. 혈액이 묻은 즉시 찬물에 세탁을 하면 빠진다. 하지만 시간이 지난 후 에는 혈액의 색이 변하기 때문에 지우기 힘들어지는데 이것은 효소제액을 이용하여 빼거나 아니면 무를 강판에 갈아 혈액이 묻은 곳에 하루 저녁정도 방치한 후 세탁을 하면 빠진다.
- <초콜릿 얼룩>
아이들이 많이 먹는 초콜릿은 묻은 즉시 처리하면 빠지는데 오래된 것은 솔벤트를 이용하면 바로 빠진다. 솔벤트는 세탁소에서 구입할 수 있다.
- <아이스크림 얼룩>
아이들에 여름 기호 식품인 아이스크림은 당분, 지방, 단백질, 전분질 ,색소가 주성분인 유용성 얼룩과 수용성 얼룩이기 때문에 솔벤트를 이용하여 처리하면 지방은 빠지나 다른 성분은 남게 된다. 그러므로 그후에 중성제세(식기세척세제)로 처리한 후 미지근한 물로 헹구어주면 빠진다.
- <옷에 묻은 루즈>
루즈는 여성들이 가장 많이 묻히는 얼룩이다. 이것은 중성세제를 묻혀 빨아도 빠지는데 이렇게 해도 빠지지 않을 경우에는 솔벤트를 뿌려준 후 칫솔로 문지러 주면 빠진다.
- <파운데이션, 크림의 얼룩>
솔벤트(드라이용), 휘발유, 올리브기름 등을 수건에 적셔서 두드리듯이 닦고 중성제세로 세탁을 하면 빠진다.
- <잉크의 얼룩>
푸른 잉크나 검은 잉크인 경우에는 로드유를 바르고 닦아내면 잘 빠진다. 그리고 즉시 처리하면 물로도 상당히 많이 지워지는데 오래된 잉크는 레몬 조각에 소금을 묻혀 문지른 후 중성세제로 세탁을 하면 된다. 무명이나 모에 묻은 잉크는 레몬과 소금을 문지른 다음 알코올로 닦아내고, 염소에 상하지 않는 흰 면이나 화학섬유는 락스를 10배로 희석한 액을 면봉에묻혀 잉크자국에 문지르면 지워진다.
- <매직잉크의 얼룩>
매직잉크를 완전하게 지우는 약품은 아직 나온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뺄 수는 있는데 로드유를 묻혀 닦아내거나 흰색 일 경우 표백을 하면 된다.
- <옷에 묻은 볼펜 자국>
옷에 묻은 볼펜 자국은 빨아도 잘 지워지지 않는다. 이런 경우 알콜을 이용하면 쉽게 지워진다. 이 경우도 로드유를 이용해도 된다.
- <먹물의 얼룩>
먹물이 묻은 자국도 완전하게 빠지는 약품이 나온 것은 없다. 다만 어느 정도 흉하지 않을정도의 상태를 만드는 것인데, 우선 밥풀에 가루비누를 섞어 이겨서 얼룩이 진 부분에 문질러 발라두고 그것이 마르기 시작하면 빨래비누를 이용하여 세탁을 하면 된다.
- <크레파스의 얼룩>
크레파스는 솔벤트(드라이용)를 이용하며 쉽게 빠지고 흰 종이를 얼룩이 진 부분의 위 아래에 대고 종이에 다림질을 한 후 비눗물로 씻으면 깨끗해진다.
- <녹물의 얼룩>
약한 천에 묻은 녹물은 옷이 상하기 쉬우므로 약품보다는 탱자나무의 즙을 이용하면 좋다. 녹물이든 자리에 물을 흠뻑 적신 다음 익은 탱자물을 녹물이 든 곳에 묻혀 두세 번 비비면 쉽게 녹물이 빠진다. 아니면 수산을 50배액으로 희석 한 물에 2~3분간 담근 다음 충분히 헹구어 주어도 빠진다.
- <양촛물이 옷에 떨어졌을 때>
양촛물이 떨어졌을 때는초를 말끔히 긁어낸 다음 안팎으로 흰종이를 대고 뜨거운 다리미로 문지르면 종이에 양초기름끼가 전부 흡수된다. 그런 다음 중성세제로 세탁을 하면 빠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