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차례 지내는 방법 순서
① 묘지의 앞, 집에서는 깨끗한 곳에 제의 기구를 올려 놓는다.
(병풍, 의자, 제상, 향상, 술상, 촛대, 모사, 자리)
② 자손들이 정한 위치에 평상시의 공수를 하고 선다.
③ 제주수축(題主修祝) : 지방은 모든 조상을 내외분씩 따로 쓰고,
축문은 한 장으로 쓰는데 봉사자는 제일 웃조상과의 관계를 쓰고,
차례 대상은 웃조상부터 차례로 쓴다.
④ 설위진기(設位陳器) : 4대 봉사의 경우 신위쪽을 보아
왼쪽부터 고조고·비, 증조고·비, 조고·비, 고·비 순으로 배설한다.
⑤ 식어도 상관없는 음식을 제상위에 차린다.
(과실, 포, 식혜, 나물, 김치, 간장, 시접, 술잔, 식초)
⑥ 신위(지방)를 의자위에 모신다.(묘지에서는 필요 없다.)
⑦ 강신분향(降神焚香) :
신주라면 먼저 참신을 하고 다음에 강신을 한다고 했으나,
참신을 먼저 했으면 그 다음에 강신을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참신을 먼저하고도 강신을 하는 고례의 제도로 보아
먼저 하는 참신은 신주를 뵙는 것이지 조상을 뵙는 것이 아니라고 여겨진다. 당연히 강신을 먼저 해야 한다.
분향은 향긋한 향을 태워 하늘에 계실지도 모르는 조상의 신령이
향기를 타고 오시라는 상징적인 행사이다.
· 주인이 향안 앞에 북향해 읍을 하고, 꿇어앉는다.
· 왼손으로 향로 뚜껑을 열고 향합 남쪽에 놓는다.
·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에 넣어 태우기를 3번하고,
왼손으로 향로 뚜껑을 덮고 오른손으로 향합 뚜껑을 덮는다.
· 주인은 일어나서 한발 뒤로 물러나 읍하고 두 번 절한다.
⑧ 강신노주(降神?酒) :
기제와 같으나 웃대 조상부터 차례로 모신다.
뇌주는 향그러운 술을 땅바닥에 부어 적셔서
지하에 계실지도 모를 조상의 혼백을 모시는 절차이다.
▶ 동집사는 주가 앞으로 가서 술병의 뚜껑을 열고
행주로 술병 주둥이를 깨끗이 닦은 다음 주전자에 술을 붓는다.
(술을 따르기 편한 술병이면 주전자가 필요 없다.)
▶ 동집사는 주전자를 두 손으로 받쳐 들고
주인의 오른쪽 앞에서 서쪽을 향해 선다.
▶ 서집사는 소탁 앞으로 가서 강신잔반을 두 손으로 받쳐 들고
주인의 왼쪽 앞에서 동쪽을 향해 선다.
▶ 주인은 읍하고, 주인과 두 집사가 함께 꿇어앉는다.
▶ 서집사는 강신 잔반을 주인에게 주고
주인은 두 손으로 강신 잔반을 받아서 받쳐 든다.
▶ 동집사는 주인이 든 강신잔반에 술을 따른다.
▶ 주인은 왼손으로 잔대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을 집어 모사에
서쪽에서 동쪽으로 3번에 나누어 술을 모두 지운다.
▶ 주인은 잔을 잔대 위에 올려 놓고,
잔반을 서집사에게 주고, 서집사는 두 손으로 받는다.
▶ 주인과 두 집사가 함께 일어난다.
▶ 동집사는 강신잔반과 주전자를 원 자리에 놓고 제자리로 물러난다.
▶ 주인은 한 발 물러나서 읍하고, 두 번 절하고 제자리로 물러난다.
⑩ 참신(參神) :
주인, 주부 이하 모든 참례자가 조상에게 뵙는 절차이다.
여러 조상을 모시더라도
남자는 재배, 여자 4배를 한 번만 하면 모든 조상에게 하는 것이 된다.
⑪ 뜨겁게 먹어야 하는 음식을 차린다. 모든 제수를 올린다.
⑫ 진찬(進饌) :
적을 적의 자리에 서쪽부터 육적, 계적, 어적·적소금의 순서로 동시에 차리고, 기제에서 메와 갱을 올리는 자리에 서쪽에 고위 떡국, 동쪽에 비위 떡국을 올리는 것이 다르다.
⑬ 헌주(獻酒) :
주인이 향안 앞에 나가 읍하고 주전자를 들고 윗대 고위와 비위의 잔반부터 아랫대까지 제상 위의 잔반에 차례대로 모두 술을 가득 따르고 재배한다.
⑭ 삽시정저(揷匙正箸) :
주부가 향안 앞에 나가 몸을 굽혀 예를 하고 윗대 조상부터 차례대로 계반개를하고 고위 떡국에 숟가락을 꽂아 담그고 시접위에 젓가락을 걸치고 이어서 비위도 그렇게 한 다음 향안 앞에서 4배한다.
⑮ 축문을 읽으려면 이 때 읽는다.
▶ 시립(侍立) :
주인 이하 모든 참례자가 7~8분간 공수하고 공손히 서 있는다.
▶ 낙시저(落匙著) :
주부가 삽시 정저의 순서로 낙시저하고 집사는 모든 뚜껑을 덮는다.
주부는 제상의 서쪽으로 가서 고위에서 숟가락을 뽑아 시접에 담고 고위 젓가락을 내려 시접에 담는다. 이어서 제상의 동쪽으로 옮겨 비위의 시저도 그렇게 한다. 이때 시저로 시접바닥을 구르거나 밥을 떠서 숙수(숭늉)에 말거나 젓가락을 다른 제수위에 올려놓는 일은 하지 않는다.
▶ 사신(辭神) : 주인 이하 남자는 재배, 주부 이하 여자는 4배한다.
▶ 납주(納主) : 신주는 봉주할 때와 반대로 가묘에 모신다.
▶ 분축(焚祝) : 독축자는 지방과 축문을 태워 재를 향로에 담는다.
(21) 철찬 (撤饌) : 제상 위의 제수를 내린다.
(22) 음복 (飮福) : 참례한 자손들이 제수를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
(23) 철기구(撤器具) : 모든 제의 기구를 원 자리로 치운다.
▶ 합설(合設)과 각설(各設)
차례 등 제사에서 4 대조 까지 합설 제향 하려면 축문식과 봉사손 문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요사이 명절의 차례에는 축문을 읽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원래는 축문을 읽어야 하는 것이다. 다만 현대에는 축문을 읽지 않는 사람이 많을 따름일 뿐이다.
▶ 차례축문 한글서식을 예로들면
"이제 단군기원 2004년 설날에 큰아들 ㅇㅇ향교 ㅇㅇ갑돌은 아버님 ㅇㅇ ㅇㅇ어른과 어머님 부인 ㅇㅇ ㅇ씨 어른 산소에 감히 밝혀 아뢰나이다. 계절이 바뀌어 이미 햇수를 고쳤으니 산소를 우러러 뵈오며 슬픈 마음 하늘과 같아 끝 간 데를 모르겠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갖은 음식을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공경을 다해 받들어 올리니 어여삐 여기사 흠향하옵소서"
기일 제사의 축문을 참고해 사실대로 격에 맞게 쓰되, 위의 예시는 설날에 묘지에서 지내는 경우 이므로 집에서 지낼 때에는"설날"을 "한식" 또는 "한가위" 등으로 고치면 될 것이고"어른 산소"에를 집에서 위패를 모시고 지낼 때는 "앞에"라고 쓸 것이며,"이미 햇수를 고쳤으니"는 설날의 경우 이므로 한식에는 "이미 비와 이슬이 내렸으니"로 단오에는"만물이 자라 울창하니" 한가위에는 "이미 찬이슬이 내렸으니"라 쓰면 될 것이다.
"산소를 우러러 뵈오며"묘지의 경우 이므로
집에서는"세월이 흐를수록 더욱 새롭게"로" 슬픈 마음 -- 끝 간 데를
모르겠나이다"는 부모의 경우 이므로
조부모 이상에게는 "기리는 마음 이기지 못하겠나이다."로
아내에게는" 슬픈 마음 이기지 못하나이다."
아랫사람에게는"가슴 아픔을 이기지 못한다. 로
"공경...받들어 올리니"는 웃어른 에게만 쓰고
아내와 아랫사람에게는 "마음을 다해 상을 차렸으니"라고 쓰며
"흠향 하옵소서" 는 웃어른께만 쓰고,
아내에게는 "흠향하소서"
아랫사람에게는"흠향하라"
"어여삐 여기사"를 배우자나 아랫사람에게는 "두루"라 쓰면 될 것 이다.
◐ 합설과 각설에 대하여
국조오례의 진설도는 考(남자조상), 妣(여자조상)위를 한 상에 차리는 것이 현대의 진설법과 같으나, 신분에 따라 다르고, 율곡 제의초, 사계의 가례집람, 도암의 사례편람 등 진설각설을 정리해 보면 현대 감각에 맞는 통일된 진설법이 요구 된다. 그러려면 먼저 문제점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합설과 각설 : 고례에는 고비각설(考妣各設)이었으나, 현대는 모두 고비합설(合設)을 한다. 그러려면 무엇을 따로 차리고 어떤 것을 함께 담을 것인가를 정한다.
●각설(各設) :
산 사람도 따로 담아서 먹는 메(밥). 갱(국). 술. 국수. 떡. 숭늉은 따로 담아야 할 것이다.
● 합설(合設) :
반찬과 과실은 한 접시에 담고, 수저도 시저거중(匙箸居中)의 원칙을 지켜 한 접시에 신위 수대로 시저를 담아 신위 앞의 중앙에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