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단양우씨 용우종친회 원문보기 글쓴이: 우병구
시 대 |
연 대 |
이 름 |
비 고 |
신라시대
|
제35대경덕왕16년(757) |
수주현(水酒縣) 예천군(醴泉郡) |
상주관하 |
고려시대 |
태조18년(935) 성종2년(983) 명종2년(1172) 신종6년(1203) |
보주(甫州) 양양(襄陽) 기양현(基陽縣) 보주(甫州) |
상주목관하 안동부관하
|
조선시대 |
태종13년(1413) 태종16년(1416) 고종31년(1894) 고종33년(1896) |
보주군(甫州郡) 예천(醴泉) 경상도 예천군 경상북도 예천군 |
|
근 대 |
1907년 1914년 1923년 1937년 |
동로면을 문경군에다인면을 비안군에 용궁군을 병합 안동군에서 감천면 편입 영주군에서 상리면,하리면 편입 예천면이예천읍으로 승격(1읍11면) |
|
2. 예천의 위치
동쪽은 안동시와영주시, 남쪽은 의성군과 상주시, 서쪽은 문경시,북쪽은 단양군에 접하고 지리적 좌표는 북위36°27′에서 36°51′과 동경 128°15′에서 128°37′에 위치하며 내륙성기후로 연평균기온 11.7℃, 연평균 강우량은 955㎜이다.
3. 상리의 연혁
시 대 |
연 대 |
이 름 |
비 고 |
신라시대 |
무열왕5년(658) 경덕왕 |
적아현(赤牙縣) 은정현(殷正縣) |
신라와고구려접경 예천군 |
고려시대 |
현종9년(1018) |
은퐁현(殷豊縣) |
안동부소속 |
조선시대 |
고종32년(1895) 1914년 1923년 |
풍기군 서면 상리 영주군 상리면 예천군 편입 |
|
예천군에서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가장 높은곳에 위치한 이곳은, 북으로 소백산맥(백두대간)을 경계로 충북 단양군 대강면과, 동으로는 부용봉 줄기를 경계로 영주시 봉현면과, 남으로는 하리면ㆍ용문면과, 서로는 문경시 동로면과 접하고있는 상리면은, 북서부는 해발1,000m이상의 산지요 중앙부에는 소백산맥에서 흘러내린 가재봉(佳哉峯)이 해발851m 면중앙부를 차지하여 동쪽을 영동이라 하고 서쪽을 영서라한다.동쪽에는 옥녀봉 890m,자구봉784m이 있으며 남쪽에는 865m의 매봉이있는 등 높은 산지로 이루어져있다. 양쪽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는 하리면에서 만나고 1450년 조선문종의 태실을 명봉사경내에 모셔진 명당으로 산세와 풍경이 아름다운 고장이다. 임야가 약80%를 차지하고 밭이 약12% 논이 약8%를 차지하여 밭농사 중심으로 마늘,약초,담배,과수,고냉지채소 같은 특수작물을 재배하여 소득을 올리고 있다.
4. 용두리
1895년 풍기군 서면 상리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따라 풍기군 상리소속 야항동,용두벵이,음달마,내동을 병합하여 용두동이 되어 영주군에 편입되었다가 1923년에 예천군에 편입되었다.
♣.내동(안마)-용두리에서 소백산맥을 향해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현재는 전가구가 이주하여 황무지가 되었다.
♣.야목(也項 야항)-지형이 也 자형을 하고 있어서 야항이라하고 용두리의 중심마을이다.
이조철종때 출생한 효자 야계공 도시복은 명심보감 효행편에
나오는 출천지 효자로 이곳에서 출생한 자랑스런 인물이다.
♣.음달마(陰達)-용두리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이마을은 뒷산(명봉 圓覺山)이 높아 해가 일찍지므로 음달마로 부른다.
♣.용두(龍頭),용두벵이-용두리 첫부락으로 마을 뒷산 형상이 마치 용의 머리 모양을 하고 있어서 용두라 했다.
해발평균 700-800m로 4개의 자연 부락이었으나 안마가 없어지고 3개부락이 약 2㎞사이에 띄엄띄엄 산재해 있는 전형적인 산촌의 모습을 하고 있다.
현재 성주도씨,영월엄씨,예천임씨,평해황씨가 각각 5-6집이 살아가고 있으나 옛날에는 우리 단양우씨가 용두동 마을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주인 노릇을 하였습니다.
우리 우씨는 14세손(實)의 4형제분중 셋째 貞道의둘째 아드님이신 希宗님(16세손)이 이곳으로 이주하시면서 그간 15대 약450여년전에 세거 하였다 첫째집 元道선조님은 영주시 용암대(龍岩坮)-현재 영주시 하망동에서 터를잡아 약 600여년 세거 하고 있다.
영주 용암대는 마을이 용의 형상을 한 모습이며 그 용의 머리는 희귀한 거암이며 그 입에는 흡사 진주를 물고 서쪽으로 기어가는 형용이다. 이곳은 오늘날까지 단양우씨가 600여년간을 세거하여 왔으며 여말에 이곳에 정착한 수암공을 기리기 위해 수암정을 세웠고 후손에게 강학하였다.
첫째 元道 영주시 용암대
둘째 至道 영주시 이산원리
셋째 貞道 영주시 풍기 내현-16세손 璡宗
예천군 야항 상리용두-16세손 希宗이 터를 잡아 15대째 현재 약450 여년 세거하여 그 역사적 뿌리를 내리고 있다.
넷째 淳道-영주시 장수
예천상리는 우리 단양우씨의 8세손이신 문희공 역동선생님의 발자취가 오늘에도 면면히 살아 숨쉬는 곳으로 그 땅 이름에서 역사적 발자취를 찾아보자.
◉도촌(道村)-13세기 중엽인 고려 원종때 역동 우탁선생님이 이곳에서 학문과 도를 닦던곳이라고 도촌이라 하는데 뒷산은 388m의 서재봉이 있다.
◉사별(새빌師別=두성斗星 )-역동우탁선생님이 도학을 완성하자 가르치던
스승이 떠나게 되니 사제간에 이별을 한곳이라 하여 새빌이라 한다.
◉음정(陰亭 =雲亭운정)-역동우탁선생님이 새빌동쪽 산밑에 운정을 지었기에 정자에 그늘이 져서 그렇게 불렀다.
◉왕갓(왕곡旺谷)-음정 북서쪽에 있는 곳으로 역동 우탁선생님이 그의 스승 법선사를 찾아 이곳을 왕래하였다고 붙여졌다.
◉구두곡(邱斗谷 ),구도九道,구도곡求道谷-역동우탁선생님이 이곳에서 오래도 록 도를 구하다가 드디어 대성했다는데서 부른다.마을 입구에 집채 만큼 큰바위에 九道라 씌어있다.
◉사실,사곡沙谷-평사낙안형(平沙落雁形)이라는 골짜기에 생긴마을이며 앞 산에 역동우탁선생님이 공부하던 곳이라는 백운봉이 있다.
◉오도재(悟道峴)-도촌리에서 보곡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역동우탁선생님이 도를 깨친 곳이라 한다.
◉쌍학사(雙鶴寺)-서가재봉 밑 역동우탁선생님이 수도하시던 큰바위 절벽
밑에 있었음.가재봉의 이름은 역동우탁선생님이 명명하셨다.
◉역동선생님 묘소-상리우체국 뒷산에 위치한 역동선생님의 묘소는 선생님 께서 공부하신 쌍학에서 멀지 않은 곳으로 묘소를 둘러싼 돌,문.무 석,상석,비석을 고루갖춘 것인데 선생님의 묘소는 정도전(봉화정가) 의 도굴을 우려하여 후손들이 전국적으로 세곳에 흩어 썼으며 그 중의 한곳이 이곳에 있다. 지금도 우리 단양 우씨는 봉화정가와는 혼인을 금하고 있습니다. 우리 집안은 선생님이 노후를 마치신 안 동시 예안면 정정리 묘소에 참배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알고, 그흔적을 밝혀, 길이 후손들에게 캐우쳐 세세손손 조상의 뿌리를 심어 주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다음 자료 수집을 기약하고 필을 놓습니다..
참고문헌: 1. 경상북도 지명유래총람-경상북도교육위원회. 1984.
2. 내고장 예천-예천군. 1981.
3. 예천촌락사-예천군.1992.
첫댓글 면희님, 병구님 감사합니다. 좋은 글 읽게 되었습니다. 또한 좋은 정보를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