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afe.daum.net/MPBIKE

1. 차체(Frame) 사이즈 산출 및 자전거 선택
차체 사이즈는 차체의 싯튜브(Seat Tube) 길이 기준으로,
ㄱ)C-C : BB(Bottom Bracket) 중심(크랭크가 껴 있을 때 크랭크의 중심)에서 탑 튜브(Top Tube)
가운데에 닫는 싯튜브 상단까지 길이를 기준
ㄴ) C-T : BB(Bottom Bracket) 중심(크랭크가 껴 있을 때 크랭크의 중심)에서 싯 튜브의 맨 위 까지 길이를
C-T기준은 메이커 마다 싯튜브의 윗 단을 길게 뽑기도 하고 짧게 뽑기도 해 정확한 기준 잡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C-C 길이를 사이클리스트의 기본 차체 사이즈 데이터로 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차체 사이즈를 C-T기준으로 표시한 메이커 제품은, 직접 줄자로 C-C기준으로 측정 하셔야,
사이클리스트에게 맞는 정확한 사이즈의 차체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메이커에서 제시한 지오메트리 수치에 의존하지 마지고, 측정 방법대로 직접 해당 부분
길이를 재셔서, 산출된 수치 데이터와 맞는지 확인하셔야 정확성을 기할 수 있습니다.
A. 로드 바이크(Road Bike) 차체 사이즈 산출-
로드 바이크 차체 사이즈 수치는 MTB를 비롯한 모든 변형 형태의 바이크 차체 사이즈 산출의
기준임으로 필수적으로 계산하십시오.
C-C 기준 차체 사이즈 산출법=
1, 0.65 X IL(안 다리 길이. Inseam Length)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보편적인 기준
2. 0.66 X IL(안 다리 길이. Inseam Length) :Time Trial 바이크 기준
3. IL(안 다리 길이. Inseam Length) X 2/3 :전통적 기준
C-T 기준 차체 사이즈 산출법=
1. 0.67 X IL(안 다리 길이. Inseam Length)
기타 간단한 측정 방법으로 자전거의 탑 튜브(Top Tube)를 가랑이 사이 맨 위에 대었을 때
타이어 밑단과 바닥사이의 간격을 보는 것으로 2.54cm~5cm 떨어지면 적합하다고 함.
B. MTB 차체 사이즈 산출-
위에서 산출된 로드 바이크 사이즈에서 10~12cm를 뺀 뒤 인치(2.54cm)로 환산 하면 됨.
즉 로드 바이크 사이즈 - 10~12 / 2.54= 인치로 환산된 MTB 사이즈
(/는 나누기 표시입니다. 이하 동일 합니다.)
기타 기타 간단한 측정 방법으로 자전거의 탑 튜브(Top Tube)를 가랑이 사이 맨 위에 대었을 때
타이어 밑단과 바닥사이의 간격을 보는 것으로 7.62cm~15.24cm 떨어지면 적합하다고 함.
2. 탑 튜브(Top Tube) 길이 산출
사실 쾌적하고 최고의 효율을 올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자전거 차체중의 한 부분이 바로
탑 튜브(Top Tube)의 길이 입니다.
따라서 싯 튜브를 기준으로 하는 차체 사이즈 보다, 탑 튜브(Top Tube)의 길이를
사이클리스트의 체격 조건에 맞는 자전거 선택의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그런데 대부분 이 탑 튜브(Top Tube) 산출법을 몰라, 싯튜브 기준으로 자전거 차체
사이즈를 선택하다 보니, 싯튜브 기준 차체 사이즈는 맞는데,
실제 사이클링시 몸에 무리를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유는 대부분 외국산 유명 자전거 차체가 외국 사람 신체 길이에 맞게 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즉 차체 사이즈의 기준이 되는 싯튜브 길이에 따라 자동으로 외국사람 체형에
맞게 Top Tube 길이를 산출해서 제작하기 때문이죠.
아튼 탑 튜브(Top Tube) 길이 산출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UB(윗 몸 길이. Upper Body Length) X 0.7525 +
FA(아래 팔 길이. Forearm Length) X 0.078 +
TA(전체 팔 길이. Total Arm Length) X 0,07 -
1cm= 탑 튜브(Top Tube) 길이
3. 스템Stem) 길이 산출
자전거를 사이클리스트의 체격 조건에 맞도록 조정해 주는 스템(Stem) 길이 산출법입니다.
TA(전체 팔 길이. Total Arm Length) X 0.2 - 4= 스템(Stem) 길이
재는 지점은 모두 중간 지점에서 중간 지점입니다.
4. 오버럴 리치(Overal Reach) 길이 산출
오버럴 리치(Overal Rreach) 길이<일반적으로 탑 튜브(Top Tube) 길이와
스템(Stem) 길이를 합산한 것으로 계산되나, 이것은 별도 산출법입니다>는
사이클리스트의 체격에 맞는 안장의 수평 위치와 핸들 바의 위치를 정하는
아주 중요한 수치로, 몸에 무리를 주지 않는 쾌적하고 효율적인 사이클링을
위한 중요한 조정(Fitting) 기준이 됩니다.
산출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UB(윗 몸 길이, Upper Boddy Length) + TA(전체 팔 길이. Toral Arm Length) / 2
= 오버럴 리치(Overal Reach)
b. UB(윗 몸 길이, Upper Boddy Length) + A(팔 길이. Arm Length) / 2 + 4
= 오버럴 리치(Overal Reach)
핸들 바(Handle Bar) 가운데 지점에서 안장의 중심 부분까지의 기본 세팅 길이가 됩니다.
5. 크랭크 암(Crank Arm) 길이 산출
페달이 장착되어 사이클리스트의 힘을 자전거에 전달해 주는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는
크랭크(Crank Arm)의 길이 산출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H(신장)/2+82.5
b. IL(안 다리 길이. Inseam Lenth) X 1.06 + 82.5
c. OL(바깥 다리 길이. Outseam Lenth) X 1.06 + 82.5
d. UL(윗 다리. Upper Leg) X 1.47 + 82.5
위 4가지 크랭크 암 길이 산출법 중 c계산법이 보편적으로 많이 쓰입니다.
그리고 산출된 크랭크 암 길이 수치와 가까운 크랭크 암을 선택하시면 되고,
타임 트라이얼(Time Trial) 경기나 스프린트(Sprint.)시, 고단 기어를 사용하고 크랭크 암의
회전을 적게 하면서도 속도를 올리고자 할때나, MTB의 경우처럼 긴 언덕을 오를 때,
크랭크를 적게 돌리고 큰힘을 얻고자 할때는 2.5~5mm 긴 크랭크 암을 사용합니다.
반대로 크랭크를 빨리 돌려 속도를 올리고자 할 때는 좀 짧은 크랭크를 사용하면 힘의
손실이 적다고 합니다.
여하튼 위 산출법에 의해 나온 수치에 페달의 두께와 슈즈(신발)의 페달과 닫는 부분의
두께를 합산하면 보다 실제 사이클링시 효과적인 크랭크 암의 길이가 됩니다.
참고로 로드 바이크의 경우
신장이 150cm~1168cm까지는 167.5mm
신장이 169m~177cm R까지는 170.0mm
신장이 178cm~185cm 까지는 172,5mm
신장이 186cm~199cm까지는 175mm 길이의 크랭크 암을 사용하면 됩니다.
그리고 사이클링 특성상 긴 언덕을 오르는 경우가 많은 MTB와, 로드 바이크로 긴 산악
구간의 긴 경사로를 오를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은 회전으로 큰 힘을 바퀴에
전달하기 위해 위에 나온 수치 보다 5mm긴 크랭크 암을 사용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