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대 |
특징 |
동심원이론 | |
제Ⅰ지대 :중심 업무 지구 (CBD) |
도시의 경제·사회·행정·교통기능이 집중하는 곳으로서 시민생활의 중심 상점·사무실·오락시설 등 각종 시설이 집중하는 지구 이 지구의 외연부에는 도매업이나 트럭운수업, 철도업 등이 위치 |
||
제Ⅱ지대 :전이지대 (점이지대) |
제Ⅰ지대의 업무시설 및 경공업 등이 비집고 들어와 주택지대로서의 거주환경을 악화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지대 내측에는 공장지구가, 외측에는 악화일로에 있는 주택지구가 위치 주거지역은 대체로 저급주택과 빈민가의 발생으로 슬럼(slum)이 형성 | ||
제Ⅲ지대 :노동자 주택지대 |
제Ⅱ지대에서 이주해 온 공장노동자의 주택지구접근성의 유리함(출근이 용이) 때문에 노동자들이 거주 | ||
제Ⅳ지대 :주택지대 (우량주택지대) |
중산층에 속하는 사람들이 단독주택이나 아파트에 거주 교통조건이 양호하여 접근성이 좋은 곳에는 위성도심(setellite loops) 혹은 업무부도심(business sub-center)라 불리는 부도심(sub-CBD)가 형성 | ||
1.중심 업무 지구 |
4.중산층 주택 지구 | ||
제Ⅴ지대 :통근자 지대 |
도시의 경계선을 넘어 CBD로부터 30~60분의 통근시간 범위 내에 있고, 위성도시의 성격을 가지는 소도시나 bed-town을 이루기도 함 고속도로에 면한 곳에는 고급주택이 산재하고, 이곳 주민의 직장은 주로 중심업무지구 | ||
2.점이 지대 |
5.고급 주택 지구 | ||
3.저급 주택 지구 |
6.통근권 |
4) 비판
교통로가 동심원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함
동심원이론의 비판 : M.R. Davie의 <도시성장의 패턴(the pattern of urban growth)>
- 중심업무지구(CBD)는 원형이 아닌 불규칙한 형태이고, 주요 교차점에 부도심지 형성
- 중공업은 수상 혹은 철도교통을 따라 입지함
- 경공업 도시 전역에 입지
- 저급지역은 공업지역과 교통지역 인접지역에 위치함
- 고급주택이나 중급주택은 어디에서나 분포
동심원이론은 선진국보다는 후진국에 적용이 용이
동심원이론을 실제 도시에서 바로 적용하는 데는 여러 가지 무리가 있으나, 상대적 시간 및 비용거리의 개념을 적용한 공간상에서의 도시공간구조는 동심원 형태로 설명가능
2. 선형 구조설(호이트, H. Hoyt : 1939)
1) 내용
<미국 도시에 있어서 근린주택지구의 구조와 성장>연구에서 주장
142개 미국 도시 연구결과, 각 기능이 도심에서 뻗은 교통로를 따라 방사상의 부채꼴(Sector Structure)로 형성된다고 주장함
교통축을 따라 도심에서 외곽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분화함
도시 내 거주지 유형 : 상류층의 거주지 입지선택능력에 의해 결정됨
내부구조 : 방사상의 교통로에 의한 지대분포의 유형에 의하여 선상 배열
호이트는 주택적 토지이용(residentail land use)만을 분석지표로 사용하고 주택지역을 다시 부분지역으로 재구분하여 지대(rent)를 선정
주택지역의 각 블록의 평균지대는 그 블록의 성격을 잘 반영하므로 지대의 패턴은 주택지역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간주
평균지대별로 블록을 구분하면, 고지대지역(high rent area)·중지대지역(middle rent area)·저지대지역(low rent area)로 구분하고, 이들 지대지역의 분포패턴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
높은 임대지역의 형성은 도시 전체의 성장을 이끄는 경향이 있음
2) 선형이론의 내부구조
고급주택지역의 발전방향 |
선형이론 |
고급주택지의 성장은 기존의 교통로, 상업중심지와 같은 도시주변부의 중심지의 방향을 향하여 진행 홍수의 위험이 없는 구릉지, 공업용으로 이용되지 않는 호수·만·바다의 연안을 뻗어 나가는 경향 도시주변부로 성장하며 자연적 또는 인공적 장벽을 피하여 성장 지역사회의 지도자급 저명인사들이 거주하는 주택지역을 향하여 성장 사무소·은행·상점의 이동경향은 고급주택지역을 그것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인 주요 운송망인 고속도로를 따라 발전 장기간에 걸쳐 동일한 방향으로 성장 낡은 주택지역 내의 기존 업무중심지 근처에 형성되는 경향 부동산투자업자는 고급주택지의 성장방향에 영향 |
|
1. 중심 업무 지구 | |
2. 도매업, 경공업 지구 | |
3. 저급 주택 지구 | |
4. 중산층 주택 지구 | |
5. 고급 주택 지구 |
3) 특징
도시의 형태 변화에는 상업기능이 주거기능보다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침
선형이론의 비판 : W. Firey
- 사회적·문화적 요소들이 토지이용을 제약하므로 이러한 요소들을 중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토지이용이 물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사회체계의 성격·구조로도 나타낼 수 있다고 주장
- 물리적인 공간도 입지과정에 있어 문화적으로 성격 지어짐(문화적인 요소 중요)
- 문화에 따라 달라지는 가치체계의 소산으로 사회체계를 고려해야 함
- 도시성장이 선형으로 나타나는 것은 고급주택지보다는 상업지의 확대와 성장으로 인한 경우가 많음
- 도시이론의 기본적인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채로 경험적 왜곡
- 도시의 토지이용이 현실적으로 선형패턴으로부터 동떨어지게 나타나는 점에 대하여 설명불충분
3. 다핵심 이론
1) 해리스와 울만(Harris & Ullman : 1945)
도시의 토지 이용 패턴은 단일핵심이 아니라 다수의 핵심들이 주변에서 형성된다고 주장
2) 내용
공간구조를 CBD, 도매상업·경공업·중공업지구, 주택지구, 소핵심 위성도시 등의 핵심지역으로 구분
도시가 확장될수록 핵심들이 많아짐
전문적인 활동을 필요로 하는 활동은 그 편익에 근접하는 집중
유사한 활동은 집중하는 것이 이익 증대 - 집적효과
어떠한 활동은 집중이 불이익이므로 이격 - 분산 유리
어떠한 활동은 지리적으로 양호한 입지임에도 높은 지대를 부담하기 어려워 별도의 핵을 형성
도시내부에는 중심핵을 지향하여 도시기능을 분리시키려는 요인 작용
- 핵심부가 고지대일 것
- 도시활동의 중심은 시외교통과 토지공간의 형편 등에 따라 좌우되는 경우가 있음
- 각기 다른 도시활동은 분산, 유사한 기능은 한곳에 집중하는 것이 유리
3) 다핵심이론의 내부구조
도시내부 토지이용의 핵심요소 |
다핵심이론 | |
CBD는 도시 내부의 교통기관이 모여서 교통이 편리하며 지가가 비싼 곳에 입지 도매업지구와 경공업지구는 도시내부 가운데 시외교통기관의 초점이 되는 곳에 접근하여 입지 중공업지구는 도시주변부 근처에 입지하며 이유는 도시주변부에서 토지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로나 철도의 순환선이 지나거나 간선도로가 교차하는 곳은 도심근처보다 오히려 양호한 교통서비스 제공 고급주택지역은 배수가 양호한 고지대에 입지하며, 저급주택지역은 공장지역이나 철도연변에 형성되기 쉽고, 도시중심부의 낡은 주택지역에는 저소득층의 주민들의 침투가 용이함 소핵심지(minor nuclei)는 문화센터·공원·근린상업지구·주변업무지구 또는 작은 공업중심지에 형성되며 대학은 준독립적인 지역의 핵을 형성 교외는 주택이건 공업지역이건 간에 대부분의 대도시에서 볼 수 있는 특징 중 하나 |
| |
1. 중심 업무 지구 |
6. 중공업 지구 | |
2. 도매업, 경공업 지구 |
7. 주변 업무 지구(부심) | |
3. 저급 주택 지구 |
8. 신주택 지구 | |
4. 중산층 주택 지구 |
9. 신공업 지구 | |
5. 고급 주택 지구 |
4) 특징
부심이나 신공업지구가 도시 발달의 또 다른 핵이 되어 도시성장 유도
이질적 활동은 분리시키고 유사 기능은 집적이 유리
핵심지역이 많고 기능과 특성이 서로 다른 현대의 거대도시 설명에 적합한 이론
다핵심이론의 비판 : E.M.피셔(E.M.Fisher)와 R.M.피셔(R.M.Fisher)의 <도시의 부동산>연구
- 도시 내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토지이용 3가지 : 주택지·공지·가로
- 동심원, 선형이론과 마찬가지로 건축물 1층의 토지이용만을 고려
- 토지이용의 개념이 건축물을 의미할 뿐, 도로·공원·교통 등의 용지에 대해 규정되어 있지 않음
- 각 지대와 전 도시지역의 지역적 성장을 고려한 것으로 유동성이 큰 현대도시에 더 적합
- 전통적 도시공간구조 모형은 대부분 도시내부의 토지이용패턴에서 동심원·선형·다핵심의 각 패턴이 결합되어 있음
- 도심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 형태를 나타내고, 간선도로를 따라 토지이용에 큰 영향을 받으며, 수 개의 핵을 중심으로 다양한 공간적 패턴을 나타냄
4. 다차원이론
1) 시몬스(J. W. Simmons)
<도시의 토지이용에 관한 기술적 모델>연구에서 도시의 내부구조가 3차원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도시 내부의 사회적 패턴을 다수의 독립된 차원으로 분석
미국과 캐나다의 도시를 연구한 결과, 사회계층(social rank), 도시화(urbanization), 거주지의 인종별 분리(segregation)의 세 가지 차원(사회적 패턴)이 있음을 규명
2) 방법
구분 |
내용 |
사회계층 |
인구의 경제수준·교육수준·직업수준을 의미 |
도시화 |
가족구성·세대의 유형·부녀자 노동력 등을 반영 |
거주지의 인종별 분리 |
인구의 인종 또는 민족의 구성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차원 |
3) 특징
사회계층, 도시화, 인종별 분리의 3인자는 인자분석법에 의해서 공간적 패턴이 상이한 차원을 나타냄
동심원, 선형, 다핵이론은 경관적인 의미에서 도시를 설명
5. 3지대론
1) 디킨슨(Dickinson : 1947)
중세(15~16세기)시대의 건축물이 도시의 중심핵으로 남아 있는 유럽의 내부구조
도시 성장을 시가지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근거한 이론
2) 방법
내부구조 : 시가지 형성을 시간차로 구분·배열, 도심을 중심으로 3개의 동심원 형로 공간 분화
중앙지역 : 역사가 오랜 취락의 특성을 간직하고 과거의 성벽과 많은 건축물이 존재
중간지역 : 산업혁명기의 시가지로 주거와 영세공장이 산재하고 주거환경 열악
외부지역 : 1차세계대전이후 발전한 주택지로 공원 및 녹지 공간을 확보한 지역
3) 특징
중심지대(옛 시가지), 중간지대(근세 시가지), 외곽지대(현대적 시가지)
철도, 하천, 운하에 면해서 기사지가 확대됨에 따라 선상보다는 면상으로 확대
지대 |
특징 |
3지대론 |
중심지대 (central zone) |
CBD로서 도시중심부에 위치 접근성이 높아 각종 서비스기능이 입지 가옥의 밀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수직적 팽창도 현저함 |
|
중간지대 (middle zone) |
주택지가 대부분이나 거주환경은 악화 사회적 퇴폐(social degeneration)와 사회적 혼란(social disorganization)으로 항상 퇴화의 상태 | |
외곽지대 (outer zone) |
교외지대(suburban zone 또는 rural-urban fringe) 자동차의 등장으로 발전되기 시작 도시와 농촌의 성격이 혼재 | |
1.중심 지대 | ||
2.중간 지대 | ||
3.외연 지대 |
6. 제3세계의 도시공간구조
1) 특징
18~19세기 유럽의 식민지배를 받은 도시
경제를 통제하고 튼튼한 국제적 유대를 유지하고 있는 소수의 엘리트 계층이 존재
이주민의 정착과 자원의 수탈이 편리하도록 항구 도시가 주로 건설됨
경제적인 측면보다 통치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형태를 띔
제3세계의 도시는 종종 역전된 동심원 모델의 형태를 띔
2) 라틴 아메리카
엘리트 집단이 CBD의 인근에 출현하고 외곽쪽으로 점차 저스득층이 입지
대규모 중간계급의 형성이 미약
최외곽지역에는 종종 무단 점거자들에 의한 열악한 환경의 무허가 불량주거지구가 형성
라틴 아메리카의 도시구조 |
멕시코시티 : 산타페구역 |
|
|
3) 공간구조모형
|
|
동심원이론 |
선형이론 |
|
|
다핵심이론 |
3지대론 |
4) 도시내부구조론
종류 |
대표학자 |
내용 |
동심원설 |
버제스 |
생태학적 개념, 도시의 팽창(침입→경쟁→계승)의 과정으로 분화, 교통이 미치는 영향을 간과 |
CBD, 전이지대, 근로자, 중산층, 통근자 지대 | ||
선형설 |
호이트 |
경제학적 입장, 교통노선을 따라 확대, 부채꼴 모양, 상류층의 입지 선택능력이 우선됨 |
CBD, 도매/경공업, 저급, 중급, 고급지구 | ||
다핵설 |
해리스 울만 |
지리학적 입장, 토지이용이 단핵에서 다핵으로 변화 통합됨, 부도심 주위에 각기능이 형성 |
CBD, 도매경공업지구, 저급주택지구, 중산층주택지구, 고급주책지구, 중공업지구, 부심, 신주택지구, 신공업지구 | ||
다차원 이론 |
시몬스,벨 윌리암스 |
각종 이론의 통합시도, 세가지 차원의 공간 패턴 |
동심원(도시화),선형(사회계층), 다핵심이론(인종분리현상) | ||
삼지대론 |
디킨스 |
도시 성장을 시가지의 역사적 발전근거에 둠 |
중심지대(옛시가지), 중간지대(근세시가지), 외곽지대(현대적 시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