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교시
(1) 사회복지실천론
지난 6회에 시험에 비해 7회 시험에서는 합격률이 15%가 떨어졌다. 점점 단순한 이론을 묻는 문제가 아닌 타 과목과 연계하여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력을 묻는 문제가 많아지는 추세이다. 특히 사회복지실천론에서는 보기에서 주어진 상황에 따른 이론을 묻는 등 한층 진화하고 대충 내용을 알아서는 풀기 힘든 문제들이 자주 등장한다. 그리고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부분들도 문제로 출제될 가능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7회 시험에서는 사회적으로 다문화가족이 증가하고 있고 사회복지실천의 관심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수험생들도 관심을 가져야 함을 암시하는 듯한 문제가 출제되었다. 출제분포는 전체적으로 지난 시험들과 비슷하게 이번 시험에서도 교과목지침서에 충실하여 골고루 출제되었다고 본다. 수험서를 성실하게 공부한 학생들은 쉽게 풀 수 있을 정도로 평이한 수준의 문제도 많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난이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 조항을 제시하고 옳은 내용 혹은 옳지 않은 내용을 선택하는 문제의 출제빈도가 최근 높아지고 있고 단순한 개념을 묻기보다는 사례제시형 문제로 출제되고 있다. 또한 사례제시형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개념 숙지가 이루어져야 하고 윤리적 딜레마에 처해 있을 때 어떤 기준에 의해 행동을 해야 하는지 그 기준을 알고 있어야 한다. 기준은 윤리적 원칙과 윤리적 결정지침 등이 적용된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역사관련 문제는 다소 까다롭다. 역사가 길지 않지만 구체적인 연도를 제시하고 세부적인 부분까지 확인해야 하는 내용들로 출제되기 때문이다. 수험생들은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의 특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큰 줄거리로 파악한 뒤, 구체적인 내용과 연도는 신경 써서 암기해두기 바란다.
(2) 사회복지실천기술론
7회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평이한 수준이었다. 기본에 충실한 수험생이었다면 어려움 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주로 실천모델과 기법위주의 문제가 많이 출제 되므로 이론 위주의 학습방법 보다 사례를 적용한 학습방법이 중요하다. 이번 7회는 실천모델의 특성과 기법 그리고 가족·집단의 실천기법이 주를 이루었다. 실천모델에서는 예년과 비슷하게 실천모델의 사례제시형 문제가 출제되었으며 실천모델의 관점을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수험생들은 실천모델을 학습할 때 관점-이론-모델-실천기법을 연관지어 학습하는 것과 더불어 관련 사례를 적용해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족영역에서는 새로운 경향의 출제 문제는 없었으나 앞으로 변화된 가족의 특성과 실천기법을 사례와 함께 학습하여 다음 시험에 대비하도록 하자. 집단 영역에서는 집단사회복지실천단계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묻는 문제들이 출제되었다. 이 외에도 사회복지의 정체성을 묻는 문제와 사례를 제시한 윤리쟁점 문제가 출제되었다.
(3) 지역사회복지론
이번 7회 시험에서도 예년과 유사한 경향들이 지속되었다. 지역사회의 개념,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 지역사회복지의 이념 등 단순한 이해와 암기로 풀 수 있는 문제도 지속적으로 출제되고 있다. 과업 중심, 과정 중심, 관계 중심으로 대변되는 지역사회실천 목표 각각을 이해하고 있는지,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각각의 강조점, 목표, 변화전략, 전술과 기법, 실천가의 역할 등을 상호 비교하여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과 관련한 내용들은 출제 비중이 매우 높고, 매년 지속적으로 출제되었던 부분인데 최근 들어서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줄어들었다. 사례를 제시하고 사례에 적합한 실천모델을 고르는 유형도 출제되고 있기 때문에, 각 모델의 특징, 사례 등을 비교해서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회행동이 확대되고 있는 흐름을 생각해본다면, 사회행동의 전술과 관련한 내용들은 지속적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높다.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추진체계와 지역사회복지계획은 매년 빠짐없이 출제되는 부분이다. 지역사회복지운동에 관한 문제는 출제비중이 높았다가 최근에는 다소 주춤한 상태이다. 한편 지역아동센터 등에 관한 문제는 처음 출제되었다. 앞으로도 기본적인 이론, 실천기법 등에 관한 이해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전달체계가 변화하는 경향들도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