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 정리 |
(1) 원시 ․고대의 문학 구지가 |
학년 ( ) 반 ( ) 번 이름 ( ) |
갈래 |
주술요, 집단 무가, 4구체 한역 시가, 노동요 |
성격 |
주술적, 집단적 |
제재 |
거북 |
주제 |
임금(수로왕)의 강림 기원 |
출전 |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
특징 |
① 현전하는 최고(最古)의 집단 무요(巫謠) ② 주술성을 지닌 현전 최고의 노동요(勞動謠) |
1구 |
불러내기 |
대상에 대한 호명 |
2구 |
명령하기 |
대상의 행위 요구 |
3구 |
가정하기 |
가정적 상황의 설정 |
4구 |
위협하기 |
위협적 행위의 표현 |
주술 |
|
상징 |
․‘내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 : 명령 어법과 직설적 표현을 사용하여 소원을 이루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부분 |
․‘거북’ : 신령스러운 존재, 장수하는 동물
․‘머리’ - 신 : 모습을 감추기도 하고 나타내기도 함. - 생명 : 목은 생명의 상징이므로, 목이 떨어지는 것은 죽음을 의미함. - 남근 : 외형이 남근과 유사하므로 생명력을 상징함. - 우두머리 : 가장 위에 있는 존재 |
* 구하구하(龜何龜何) : 거북을 신격화 하여 호명하는 구절. 소원을 들어줄 대상신을 먼저 불러 모신 뒤에 소원을 말하는 것이 순서이기 떄문에 첫머리에 호명을 함. ‘何’는 호격조사. * 수기현야(首其現也) : 강림한 신에게 소망을 말하는 부분으로 노래의 중심 구절. * 약불현야(若不現也) : 가정적 상황을 제시하여 4구의 위협적 표현을 통해 욕망을 성취하려는 의지를 드러냄. * 번작이끽야(燔灼而喫也) : 계시는데 소원을 들어주지 않으면 구워 먹겠다는 위협으로 전형적인 주술적 내용. 같은 계통의 주술가인 ‘해가(海歌)’에 영향을 줌. |
|
구지가 |
해가 |
공통점 |
․주술적인 표현과 명령 어법(요구와 위협)을 사용함. ․작품에서의 ‘거북’은 신성한 존재를 의미함. | |
차이점 |
․4언 4구의 한역 시가 ․기원후 42년에 창작 ․수로(首露)왕의 강림을 기원 ․왕의 출현을 기원하는 공적이고 집단적인 노래 |
․7언 사구의 한역 시가 ․기원후 8세기경 창작 ․수로(水路) 부인의 귀환을 기원 ․빼앗긴 여인의 구출이라는 사적이고 개인적인 노래 |
<교과서 풀이>
1. 그들이 살고 있는 북쪽 구지(龜旨)에서 무엇을 부르는 이상한 소리가 났다. (72 : 5) : 초월적인 힘의 존재 암시
2. 하늘이 나에게 명하기를 이곳에 나라를 새로 세우고 임금이 되라고 하였으므로 : 건국의 정당성과 신성성
3. 산봉우리 꼭대기의 흙을 파면서 노래를 부르되 : 노동요의 성격
4. 구하구하(龜何龜何) : 부름
수기현야(首其現也) : 명령
약불현야(若不現也) : 가정
번작이끽야(燔灼而喫也) : 위협
* 거북 : 신령스러운 존재 * 머리 : 생명, 우두머리, 임금 * 구워서 먹으리 : 소원 성취를 위한 주술적 위협
5. 뛰면서 춤을 추어라. 그러면 곧 대황을 맞이하여 기뻐 뛰놀게 될 것이다. : 영군가(迎君歌)
6. 자줏빛 줄이 하늘에서 드리워져서 땅에 닿아 있다 (72: 19): 임금이 신성한 존재임을 암시
7. 여섯 알은 화해서 어린아이가 되었는데 용모(容貌)가 매우 훤칠했다.(73 : 2) : 난생(卵生)이라는 점. 용모가 훤칠하다는 점에서 그들의 비범성을 짐작할 수 있음.
8. 나라 이름은 대가락이라 하고, 또 가야국이라고다 하니 이는 곧 여섯 가야 중의 하나이다. ~남쪽은 나라의 끝이었다. (73 : 9~12) : 수로왕의 탄생 설화임과 동시에 가야국의 건국 신화임을 알 수 있음.
<새겨 읽기> 74쪽
1. ‘대왕’이 하늘에서 내려오는 것을 그린 부분을 찾아보자
(답) 자줏빛 줄이 하늘에서 드리워져서 땅에 닿아 있다.
2. 흙을 파고, 노래 부르고, 춤추는 동작을 농사일을 하는 동작과 비교해 보자.
(답) 흙을 파는 행위 → 김을 매는 것, 노래 부르고→농사를 하면서 노동요를 부르는 것
춤추는 동작→ 농사를 하면서 신명을 내는 것이나 풍악을 울리는 것과 비슷함.
3. ‘단군 신화’의 신단수(神檀樹)와 같이 천상과 지상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찾아보자.
(답) 금합을 싸고 있는 보자기의 자줏빛 줄
4. ‘머리’와 함께 원시․고대인이 생명의 상징으로 여긴 것을 찾고, 그렇게 판단한 근거를 설명해보자.
(답) 알 여섯 개는 나중에 6가야의 임금이 될 존재들이다. 따라서 이들은 고귀한 생명의 상징이다.
<연결짓기> 구지가와 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자.
|
|
구지가 |
해가 |
|
공통점 |
1) 주술성을 지니고 있음. 2) 초자연 존재에 대한 호명→소원의 표출→가정→위협 | |
차이점 |
시상전개 |
호명→가정→위협 |
호명→위협의 이유→가정→위협 |
어조 |
위협적 |
위협적이면서도 회유하려는 느낌 | |
내놓으라는 대상 |
수로왕(首露王) |
수로(水路)부인 | |
거북의 역할 |
거룩한 생명, 임금을 상징 |
수로 부인을 빼앗아 간 바다의 용을 상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