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성 두통의 다양성에 대해서 탐구중
침으로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을까? 탐구중!!
아래 그림을 잘 보면서 후관절 증후군, 신경차단술의 관점으로 침치료를 시행하면 상당한 효과를 보는 경우가 매우 많다.
잘 하기 위해서는 해부학적 구조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정확히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panic bird...




경추성 두통 신경차단술 진단법.pdf
ABSTRACT
The term cervicogenic headache (CEH) was introduced by Sjaastad and coworkers in 1983. In 1990 Sjaastad et al. published diagnostic criteria for CEH. In 1998 refinements of these criteria were published, emphasising the use of diagnostic nerve blocks in patients with CEH as important confirmatory evidence.
- 1983년 처음으로 경추성 두통이 소개됨.
- 1998년 경추신경의 진단적 차단술로 강력한 증거가 제시됨.
However, the standardization of diagnostic nerve blocks in the diagnosis of CEH remains to be defined. Herein
we present an overview of diagnostic nerve blocks in the cervical area. Suggestions as to their role in the diagnosis
of CEH are given.







첫댓글 감사합니다